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통과 지역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 : Essays on Transportation and Local Labor Marke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치호

Advisor
이정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역 노동시장거가대교장소 기반 정책(place-based policy)이중차분법이동성통근여성 노동공급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2.2. 이정민.
Abstract
This thesis focuses on spatial distribution of economic activities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transportation on local labor markets using Korean microdata on employment, internal migration, and income.
The first chapter analyzes the effec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on local economy. I exploit the Geoga Bridge case, which provides significant reduction in transportation cost compared with alternative routes and causes highly localized effects on surrounding regions. I find that the construction of Geoga Bridge led to a 12.2 percent growth in the employment of Geoje. In particular, I find that employment in retail sector increased by 34.5 percent, implying that improvement in accessibility stimulates local service sector. One potential explanation is that the Geoga Bridge helped attract tourists from the nearby counties that experienc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cessibility. These results have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that, depending on the situation, enhance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at allows greater access to a large city could be beneficial for small counties such as Geoje. The analysis with the redefined treatment group of broader range of regions shows that most of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Geoje can be explained by a reallocation of employment from the surrounding counties.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and suggest that consideration of reallocation effect is crucial in assessing the effect of place-based policy such as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the Geoga Bridge case, the straw effect appears to have occur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Busan or Changwon to Geoje, contrary to the concerns of the Geoje citizens.
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effect of mobility on the elderlys labor employment outcome. I utilize the variation in access to urban rail transit(URT). An URT station in each county is associated with a 0.51 percentage points increase in the employment rate of the population aged 50-75. However, by decomposing the result by commuting mode, it is found that increase in employment of the workers commuting on foot account for most of the increase in overall employment. Hence, the increased employmen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increased labor demand induced by URT stations rather than the enhanced mobility of elderly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coefficient for the sample of population aged 25-50 is significantly smaller, which suggests that mobility does not play a role in inducing employment per se but in the distribution of the induced employment. The free ride program for citizens aged 65 or older does not affect their labor supply.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effect of local commuting conditions on labor supply of local married women. I use average commuting time of married men as a proxy of the local commuting condition. To control endogeneity problems, I then use average commute time of married men in a county of birth as an instrument for average commute time for each observation. 10 minutes increase in the average commute time of local married men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10.6 percentage points for married women with children none of whom are younger than 5 years old, while for other married women the estimated effect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negative association is stronger for women with a college degree than for women with a high school diploma. These results are distinct from those of the United States, which appears to originate from the peculiarity of Korea such as growing obsession with education after elementary school entrance. Hence, to close the large gap of employment rate of women among regions and enhance average employment rate of women, understanding and policies for groups susceptible to long commute are needed.
본 연구는 경제활동의 공간적 분포에 주목하여, 한국의 고용, 인구이동, 임금 등에 대한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장에서는 대체 교통인프라 대비 교역비용의 차이가 커 처치효과(treatment effect)의 크기를 추정하기 용이하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지역이 비교적 명확한 거가대교 건설 사례를 활용하여 교통인프라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거가대교 건설 전후 지역 고용의 변화를 DID를 사용한 실증분석 결과, 거가대교 건설은 거제시 고용을 약 12.2%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소매업에서 고용이 34.5% 증가하는 등 서비스업의 기여가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광자원이 풍부한 거제시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소비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교통인프라의 발달이 부산과 같은 대도시와의 접근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거제시와 같은 소도시에 오히려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한편 처치군의 범위를 다르게 하여 추정한 결과에서 거제시의 고용 증가분은 주변 지역의 그것 대비 현저히 크지만 그 초과분의 대부분은 주변 지역으로부터의 경제활동의 재배치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기존 연구결과들과 유사한 경향으로, 교통인프라와 같은 장소 기반 정책(place-based policy)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어 재배치 효과의 고려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거가대교 사례에서는 당초 소도시인 거제시에서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분석 결과 빨대효과는 오히려 반대 방향, 즉 부산이나 창원에서 거제 방향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장에서는 도시철도 노선 증설 사례를 이용하여 이동성이 고령자들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거주 시군구의 도시철도역 1개당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참여할 확률이 0.0051 상승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노동공급 증가분을 통근수단별로 분해해 살펴본 결과, 그 대부분은 도보로 통근하는 노동자들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고용 증가는 노동자의 이동성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닌 도시철도역이 입지함으로써 창출된 노동수요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한편 청년층의 노동공급 증가분이 고령층 대비 현저히 작게 추정된 것으로 보아, 일자리 창출 자체는 이동성에 기인한 것이 아닐 수 있으나, 창출된 일자리가 분배될 때는 노동자의 이동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65세 이상 노인에 대해 적용되는 도시철도 경로우대제도는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지역 기혼남성 평균 통근시간으로 대변되는 지역 통근여건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혼여성의 출생지역 통근여건을 현재 거주지역 통근여건의 IV로 사용한 실증분석 결과, 다른 기혼여성 집단에서는 지역 기혼남성 평균 통근시간이 고용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5세 이상 자녀를 가진 기혼여성 집단에서는 통근시간 10분 증가 시 고용률이 약 10%P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별로 살펴보면 고학력자 집단에서 통근시간의 부정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사례와는 다른 결과이며, 초등학교 입학을 계기로 직장보다 자녀 교육에 더 집중하게 되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간 고용률 차이를 줄이고 평균 여성 고용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긴 통근에 취약한 것으로 보이는 집단에 대한 이해와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3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8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