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긍정적 미래 사고와 자살사고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Suicidal Ideati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ositive Future Thinking Enhancement Intervention
긍정적 미래 사고 증진 처치 개발과 효과 검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승진

Advisor
이훈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래 사고자살사고우울긍정적 미래 사고 증진 처치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2.2. 이훈진.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suicidal ideatio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intervention to enhance positive future thinking.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lack of positive future thinking is strongly related to suicidal tendencies. However, the differential functions of the content categor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ositive real life experiences remain unclear.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subdivide positive future thinking content categories and examine their relevance to suicidal ideation,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positive life experiences, and develop an intervention to enhance positive future thinking.
Study 1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In study 1-1, it was explored whether the certainty about positive future events was independe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 sample of 362 college students. Certainty about positive future ev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even when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nd certainty about negative future events were controlled for. In addition, the degree of certainty about positive future events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one month later, even when certainty about negative future events, and stress in one month were controlled for. Study 1-2 explored how the escape fantasy, and time perspective related to certainty about positive/negative future events and suicidal ideation in a sample of 405 college students. The degree of certainty of positive future ev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ppeal of general fantasy. Additionally, the certainty about positive future event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st-positive, and future orientation. The appeal of escape fantas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s well.
In study 2, sixty-four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were selected and Future Thinking Task was conduc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positive future thinking independen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even when negative future thinking, depression, and hopelessness were controlled for. Moreover, regarding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 negative and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in the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domains, respectively.
Study 3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future thinking, the attempts toward positive life experiences, emotional evaluation of positive life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select the depressed group(N = 29), and the control group(N = 23). After completing the Future Thinking Task,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daily experience logs online by signing in to a website five times, once every two days.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epressed group had less positive future thinking, made fewer attempts toward positive experiences, and evaluated actual experiences less positively. In the depressed group, positive future think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ason for not trying a positive experienc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diction of pleasure in the positive experience and the intensity of the positive experience. In addition, in the depressed group, the actual attempts toward positive experiences and emotional evaluation about the experienc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suicidal ideation for 10 days, and after 10 days.
In Study 4, an intervention for enhancing positive future thinking was developed and its efficacy was examined. The positive future thinking enhancement intervention groups were divided into interpersonal and achievement groups according to the content category, while the reframing negative experience group constituted as the control group. For the two enhancement groups,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entrapment and hopelessness. The control group showed a reduction in depression and entrapment; however, the effect size was small compared to the two intervention groups. Moreover, the interpersonal intervention group showed a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hopelessness immediately after treatment.
Lastly, this studys contribution to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positive future thinking on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미래 사고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탐색하고, 긍정적 미래 사고 증진 처치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긍정적 미래 사고의 결핍이 자살경향성과 관련이 높다는 연구가 축적되어 왔다. 그렇지만, 긍정적 미래 사고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별적인 영향력이 있는지, 긍정적 미래 사고가 실생활의 긍정 경험 시도 및 정서적 평가에 영향을 주어 자살사고의 감소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미래 사고의 특성과 기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고, 긍정적 미래 사고의 내용을 세분화해서 자살사고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긍정적 미래 사고와 긍정 경험 시도 및 정서적 평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긍정적 미래 사고 증진 처치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긍정적 미래 사고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탐색적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1에서는 미래 긍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가 자살사고와 독립적으로 관련되어 있는지 탐색하였다. 대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무망감과 미래 부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를 통제하였을 때에도 미래 긍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미래 긍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는 미래 부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와는 달리 한 달 후의 자살사고 및 우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스트레스와 미래 부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를 통제한 뒤에도 자살사고 및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했다. 연구 1-2에서는 탈출 공상과 시간관이 미래 긍정/부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 및 자살사고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대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미래 긍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는 일반 공상 호감도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탈출 공상 호감도와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미래 긍정 사건에 대한 확신도가 높을수록 과거를 긍정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시간관을 나타냈다. 또한, 탈출 공상 호감도는 자살사고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우울 수준이 높은 대학생 64명을 선별하여 미래 사고 과제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 미래 사고가 부정적 미래 사고, 우울 및 무망감을 통제한 뒤에도 자살사고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긍정적 미래 사고의 내용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영역은 자살사고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개인 내적 영역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연구 3에서는 긍정적 미래 사고의 결핍이 긍정 경험 시도 및 정서적 평가와 어떻게 연관되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사전 설문을 실시하여 우울 집단 29명, 통제 집단 23명을 선정하였고, 미래 사고 과제를 실시한 이후 이틀 간격으로 다섯 번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하여 일상 경험 일지를 작성하게 했다. 그 결과, 우울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긍정적 미래 사고가 적었고, 긍정 경험 시도 노력이 적었으며, 실제 경험을 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우울 집단은 긍정적 미래 사고가 적을수록 긍정 경험을 시도하지 못하는 이유를 높게 평정했고, 긍정 경험의 즐거움을 낮게 예측했으며, 실제 경험을 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우울 집단의 긍정 경험 시도 노력 및 정서적 평가 정도는 10일 동안의 자살사고 평균 및 10일 후의 자살사고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연구 4에서는 긍정적 미래 사고 증진 처치를 개발하고 대학생 우울 집단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긍정적 미래 사 고 증진 처치는 개입하는 내용 범주에 따라 대인관계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 15명과 성취 관련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 15명으로 구분되었고, 통제 집단으로 부정적 경험 관점 바꾸기 집단 15명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대인관계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과 성취 관련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의 경우 자살사고 및 우울, 속박감과 무망감이 감소하였다. 부정적 경험 관점 바꾸기 집단의 경우에도 우울과 속박감이 감소했으나 두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에 비해서는 효과크기가 작은 편이었다. 두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을 비교해 보면, 자살사고, 우울 및 무망감에서 대인관계 미래 사고 증진 처치 집단이 처치 직후에 좀 더 큰 개선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미래 사고가 자살사고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한 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해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8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0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