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악구체음악에 나타난 피아노 특수주법 및 음향소재의 확장 - 헬무트 라헨만(H. Lachenmann)의 《어린이 놀이》(Ein Kinderspiel)를 중심으로 : Special Piano Technique and Expansion of Sound Material of Musique Concrète Instrumentale - Focusing on Helmut Lachenmanns 《Ein Kinderspi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지원

Advisor
박종화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악구체음악라헨만피아노주법피아노음향연주전략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2.2. 박종화.
Abstract
By the 20th century, attempts to expand the usage of sounds outside of the tonal system were made, and noise other than musical sound began to be used as sound material. Influenced by musique concrète, the product of bruitismus composition, Helmut Lachenmann established his own domain of musique concrète instrumentale" by utilizing the concept of musique concrète to the existing musical instrument. In his works, he tried to incorporate the sounds like noise into music, such as by scratching the side of the keyboard with fingernails and using the pedal rhythmically. Meanwhile, not only he dealt with noise, but also existing tonal materials.
This thesis discusses musique concrète instrumentale with a focus on analysis of Lachenmann's 《Children's Play》 (Ein Kinderspiel, 1980), a musique concrète instrumentale for the piano. Although tonal elements appear in this work, an acoustic approach is required for interpretation rather than within the tonal system.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fully interpret the work that has expanded the scope of sound materials for acoustic diversity only from the logic of the tonal system.
The small pieces in the work show their own experimental aspects. The first piece uses all 88 piano keys. The second piece uses pedals rhythmically. The third piece features silent clusters accompanied by sostenuto pedals. The fourth piece uses collision and cross of the sound of black keys pressed with the left hand and the sound of white keys pressed with the right hand. The fifth piece selects only the selected sound after the occurrence of strong clusters. The sixth piece places silent notes immediately after the strong stroke. And the seventh piece repeatedly uses only two white keys at the top of the keyboard. These kinds of points reveal his musical aesthetics and experimental thinking.
This thesis discusses musique concrète and musique concrète instrumentale and examines the special technique of the piano and the expansion of sound material. In this process, the acoustic techniques shown in Lachenmann's 《Children's Play》 were intensively analyzed. In the process, the goal is to propose an effective performance method from a performer's point of view, briefly mentioning the background knowledge such as harmonics, sound structure of the piano be aware of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work.
20세기에 이르러 음의 범위를 조성 체계 밖으로도 확장시키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악음 외의 소음도 음소재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러한 소음주의 작곡의 산물인 구체음악의 영향을 받은 헬무트 라헨만은 구체음악의 개념을 기존의 악기영역으로 끌어옴으로써 기악구체음악이라는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였다. 그는 작품 속에서 건반 측면을 손톱으로 긁거나 페달을 리드미컬하게 밟거나 떼는 등, 소음이라 여겨지는 소리를 음악에 편입시키려고 하였다. 한편, 그는 소음만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존의 조성적 재료도 함께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기악구체음악을 다루며, 그 과정에서 피아노를 위한 기악구체작품인 라헨만의《어린이놀이》(Ein Kinderspiel, 1980)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이 곡에도 조성적 요소가 등장하긴 하지만, 조성체계 내에서의 해석보단 음향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음향적인 다양성을 위해 음소재의 범위를 확대한 작품을 조성체계의 논리만으로 바라본다면 작품을 온전히 해석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작품 속 소곡들은 저마다의 실험적인 면모가 보인다. 제 1곡은 피아노 88개 건반을 모두 사용한 점, 제 2곡은 페달을 리듬적으로 사용한 점, 제 3곡은 소스테누토 페달을 동반한 묵음클러스터가 등장하는 점, 제 4곡은 왼손의 흑건과 오른손의 백건이 충돌하고 엇갈리는 점, 제 5곡은 센 클러스터의 발생 후에 선택한 음향만 선별시킨 점, 제 6곡은 강한 타건 직후에 묵음을 배치시킨 점, 제 7곡은 피아노의 최상단 백건 2개만 반복적으로 사용한 점 등에서 라헨만의 음악적 미학과 실험적인 사고가 엿보인다.
본 논문은 구체음악과 기악구체음악에 대해 언급하고 피아노의 특수주법과 음향소재 확장에 대해 다룬다. 이 과정에서 라헨만의 《어린이놀이》에 나타난 음향적 기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작품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알아둘 피아노의 구조와 배음, 음향 등 배경 지식을 간단히 언급하면서, 연주자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연주법을 제안하는 것도 목표로 삼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9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