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야코뷔스 프렐의 '어린 아이의 환영' 이미지: 멜랑콜리와 애도 : Jacobus Vrel's Imagery of a Ghostly Child: Melancholy and Mourn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정수

Advisor
신준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야코뷔스 프렐멜랑콜리환영추모 문학요스트 판 덴 폰델17세기 네덜란드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2.2. 신준형.
Abstract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magery of a Ghostly Child conceived by the 17th-century Dutch artist Jacobus Vrel (active in 1654-1662) encourages the pious conduct of the melancholic and bereaved by portraying two women genial or oblivious to a spectral child respectively. It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omprehensive image of the apparition, which was addressed extensively in theology, medicine, and literature. Through this examination, this study aims to expand further knowledge on melancholy by elucidating this imagery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Jacobus Vrel's A Seated Woman Looking at a Child through a Window (c. 1656) depicts a woman greeting a ghostly child through a dark window, an exceptional subject in Dutch art. In contrast, Vrel's An Old Woman Reading, with a Boy behind the Window (c. 1655), shows a similar composition, size, and probable date to that of the former painting, yet it portrays the old figure reading the Bible without noticing the presence of the spectral boy. The modestly adorned space and black window give a peculiar impression in both paintings. Still, the key element of this ambiguous imagery is the blurry representation of the child.
While ghostlike figures were uncommonly represented in Dutch genre paintings, apparitions were primarily discuss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The Anatomy of Melancholy (1621) and Hamlet (1601). According to Protestant doctrine, apparitions were defined as devils disguised as the deceased or hallucinations of mentally ill people. Furthermore, hysteria, the gendered disease that was prevalent among women and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lethargy, idleness, and witchcraft, had negative connotations. Thus, the chronic depression of a mother lured by the illusion of a dead chil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 parent naturally grieving after the loss of a child.
In a similar vein, consolation literature and mourning portraits in the 17th century suggest emotional closure, rather than inciting sorrow and unconditionally sympathizing with the bereaved. After the Eighty Years' War, the newly incorporated Protestants grew anxious about their deceased family's predestinated and unprecedented future. The Dutch Reformed Church presented two strategies to alleviate this sort of apprehension and fear of damnation: first, promoting the art of dying and revering the memory of the deceased; second, enabling the portrayal of a dead child as an angel or spirit ascending to Heaven. The latter was feasible after the Synod of Dort (1618), in which the Church publicly recognized the salvation of young children nurtured by a faithful family. These two trends are conspicuous in literary works of Joost van den Vondel (1587-1679) and folk tales or portraits representing the child on his/her deathbed or as a departed spirit.
To summarize, An Old Woman Reading, with a Boy behind the Window, could have been construed as a scene depicting a bereaved mother conquering melancholy by devotion. So elaborately integrated into his oeuvre, women's melancholy was a compelling subject to Vrel. In this respect, he should have been knowledgeable about not only the symptoms of hysteria but also the healing nature of spiritual practice as a remedy for this disease. Also, the representation of a woman absorbed in housework or the Bible, despite the gazing figure outside the window, was articulated as a virtuous image. Hence, referring to this didactic image, Vrel may have intended to ennoble the old woman coping with melancholy. He strives to do so even when he includes the gazing apparition outside the window.
To borrow Freud (1856-1939)'s terms, Vrel's Imagery of a Ghostly Child shows the image of melancholy and the image of mourning through two respective figures displaying different attitudes to the apparition. It can be speculated that these works would enable contemplation of the ideal life among its viewers. The viewer would interpret both works through the lens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expertise in art and literature. Thus, the contemporary viewer would determine to fill in the blanks of Vrel's enigmatic imagery with theological and medical treatises, plays, and representations of childhood death. In the end, this reflection would encourage viewers to pursue a pious and sound life.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야코뷔스 프렐(Jacobus Vrel, 1654-1662년 활동)이 어린 아이의 환영(apparition)을 다룬 두 작품에서 환영을 대하는 여성의 태도를 대조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신앙심으로 우울증을 극복하고 나아가는 삶을 장려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동시대인들이 당시 신학, 의학, 문학 전반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졌던 환영 및 유령의 이미지를 두 작품에 투영하여 이해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야코뷔스 프렐의 (c. 1656)은 당시 흔히 볼 수 없는 소재로 어두운 창을 통해 인사하는 여성과 아이의 모습을 묘사했다. 이와 구성, 크기, 제작 시기가 비슷한 작품 (c. 1655)은 반대로 창문에 비친 환영을 등지고 성경을 읽는 노인을 그렸다. 두 작품은 최소한의 가구로 채워진 공간을 보여주는 동시에 한 벽면을 채우는 크고 검은 창을 재현하여 기이한 인상을 준다. 특기할 만한 점은 어두운 공간에서 흐릿하게 표현된 아이의 모습이다. 많은 학자들이 환영 같다고 표현한 이 아이는 작품의 가장 모호한 부분인 동시에 작품을 해석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환영은 17세기 회화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소재였으나 논문 및 문학에서 자주 다루어져 동시대인들에게 익숙한 주제였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 환영과 정신질환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논문이나 『햄릿(Hamlet)』(1601)과 같이 17세기에 성행했던 희곡까지 망령을 보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프로테스탄트 교리에 따르면 유령은 망자의 모습을 한 마귀 혹은 정신질환자가 보는 환영으로 정의되었다. 예컨대 유령과 환영은 혼재된 개념으로 현세에 있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특히 히스테리(hysteria)를 비롯한 여성의 정신질환은 무기력과 나태, 나아가서 마법(witchcraft)과도 연관되었기 때문에 여성이 환영을 보는 것은 더욱 부정적인 현상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모친이 만성적인 우울증의 영향으로 아이의 환영을 보는 것은 부모가 자녀를 잃은 직후 자연스레 느끼는 상실감과 엄연히 구별되었을 것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17세기 추모 문학과 예술은 가족의 슬픔에 무조건적으로 동조하기보다 부모에게 죽음을 마주하고 나아가는 삶의 태도를 제시했다. 네덜란드 독립 전쟁 이후 새로 편입된 신교도들은 죽은 자녀의 구원 여부를 알지도 못한 채 불안감에 시달려야 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이러한 불안감을 잠식시키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펼쳤다. 첫째, 개혁교회는 유족에게 자녀와의 추억을 회고하고 아이의 숭고한 죽음을 준비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 그 예로 『아이들의 회심 이야기(A Token for Children)』(1671)와 같이 딸의 고결한 태도를 기록하고 죽음의 미학(Ars Moriendi)을 역설하는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또한 가족들은 임종 초상화(deathbed portrait)처럼 사망한 직후의 아이를 사실적으로 재현한 회화를 집안에 걸어 매일 아이를 기억하고 애도했다.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두 번째 전략으로 도드레흐트 총회(Synode van Dordrecht)에서 독실한 신자의 어린 자녀들에 한해 구원을 보장하고 공인했다. 1618년에 수정된 신조는 죽은 아이를 천사 혹은 승천하는 영혼으로 묘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로써 천사가 된 아이가 슬퍼하는 부모에게 위안을 건네는 내용이 동시대 문학에 등장했다. 회화의 경우 천국에 있는 아이가 가족 초상화의 가장자리에 묘사되거나 천사들이 어린 영혼을 천상으로 이끄는 모습이 단독 초상화에 나타나기도 했다. 예컨대 당시의 추모 문학과 예술은 아이를 회고하거나 그의 행복을 상상하는 방식으로 부모의 슬픔을 위안하고 나아가 상실을 극복하는 태도를 장려했다.
프렐의 을 당시의 사회적 맥락에 비추어 보면 작품 속 여성은 성경을 통해 상실과 우울증을 극복하는 어머니로 이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프렐은 작품에서 단독으로 우울하고 고달픈 여성을 빈번하게 재현했을 정도로 여성의 멜랑콜리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그가 멜랑콜리의 징후나 이를 암시하는 세부 요소를 작품에 자주 묘사했던 것으로 보아 여성의 우울증을 시각화하는 데에 능숙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본 작품처럼 창밖의 대상을 등한시하고 성경이나 가사에 몰두하는 인물은 동시대 회화에서 고결한 여성으로 표현되었다. 아울러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영적인 수행이 권장되었던 배경을 고려하면 은 환영을 등진 채 성경에 열중하는 여성을 도덕적인 인물로 그리고 있다.
어린 아이의 환영을 그린 두 작품은 흐릿한 아이의 형상을 주축으로 비슷하면서 상반된 내용을 보여준다. 프렐은 을 통해 여성의 상실과 멜랑콜리를, 을 통해 죽음을 애도하고 극복하는 이미지를 보여주고자 했다. 감상자는 이에 따라 두 작품을 비교하며 직접적인 경험이나 개인이 접했던 문학과 예술에 근거하여 지향해야 하는 삶의 방식에 대해 사색했을 것이다. 즉, 관람자는 환영을 다루는 논문 및 희곡 작품, 동시대 추모 문학, 죽은 아이를 재현한 초상화 등에 근거하여 두 작품의 주제를 추측하고 마침내 신앙으로 역경을 이겨나가는 삶을 추구하게 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6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3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