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Maternal Parenting Anxiety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단

Advisor
이강이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조절력놀이신념놀이중심신념양육불안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2022.2. 이강이.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maternal parenting anxiety(anxiety of parents role, anxiety of educational support, anxiety of child development)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self-control, self-monitoring), (2)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maternal parenting anxiety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3)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anxiety on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Participants were 211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Seoul and Kyeonggi Province.
Data on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IBM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26.0.

The major findings were the following:
1. Th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partially significant.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maternal anxiety of educational support and child development,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Also,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educational support and child develop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2. When holding sex of child and dual-income family,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Also, maternal anxiety of education support and child developmen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3.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and preschoolers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High level of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s support diminished the effect of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However, low levels of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al support increased the effect of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The results show that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maternal parenting anxiety affect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rthermore, maternal anxiety of parents role and educational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maternal parenting anxiety lower the positive effect of maternal play-oriented belief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about play to manage the maternal anxiety of parenting.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보고되는 어머니의 불안한 심리에 주목하여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 양육불안,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어머니의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자기통제, 자기점검)의 관계에서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통제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3-2.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점검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부모역할불안,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1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 양육불안,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따라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은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과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유아의 자기통제, 자기점검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부모역할불안과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모두 유아의 자기통제, 자기점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과 맞벌이 가구 여부를 통제했을 때,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은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교육지원불안, 자녀발달불안은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하위요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였다. 어머니의 부모역할불안과 교육지원불안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이 유아의 자기통제 및 자기점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약화된다. 반면,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자기통제 및 자기점검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녀발달불안은 조절효과를 갖지 않았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양육불안이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이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역할불안과 교육지원불안이 조절하는 것을 밝혔다. 부모역할과 교육지원에 대한 불안 정도가 높은 어머니는 놀이중심신념이 높다 하더라도 유아의 자기통제와 자기점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6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2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