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 미술 학습에서의 집단 창의성과 상호작용 : Group creativity and interaction in online art learn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은

Advisor
김형숙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집단 창의성협동학습상호작용온라인 학습미술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2022.2. 김형숙.
Abstract
협업과 소통은 미래의 학생들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이며 협업과 소통을 통한 창의성의 발현은 국가 경쟁력의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대목이다. 범세계적으로도 교육과정에서 소통, 창의성, 비판적 사고, 협업을 강조하고 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도 융합, 창의적 사고, 소통의 측면이 중시된다.
교육 현장에서의 교수 경험을 통해 미술교육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양상과 집단 창의성의 발현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가지게 되었고 본 연구가 시작된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질문에서 출발하게 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었다. 첫째, 실시간 온라인 미술 교과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양상이 학습 단계별, 집단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가? 둘째, 실시간 온라인 미술 교과 협동학습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집단의 창의적 수행에 반영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집단 창의성, 협동학습, 상호작용,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주로 살펴보았고 타 교과 교육에서의 연구동향을 살피기 위해 위의 주제어 중심으로 타 교과 교육에서의 연구물을 함께 고찰하였다. 실행연구는 예비연구와 본 실행연구로 구분하여 두 학기에 걸쳐 수업 실행을 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서 실행연구에서 수행할 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내용 및 학습 자료의 수정, 교수학습방법의 보완이 이루어졌다.
실행연구를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협동학습 모형인 GI(Group Investigation)모형과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형인 4D모형을 적용하여 학습경험 및 학습 단계를 구성하고 조직하였다. 구체적인 학습 주제 및 내용 추출은 2015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의 단원 추출을 통해 프로젝트형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실행연구 과정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유형별 빈도를 따져 그 양상을 살펴보고,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수업시간에 제작된 학생 작품, 활동지, 질문지, 소감문, 수업일지, 심층면담, 수업 녹음 및 녹화 자료 등 다각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및 해석에 활용하였다.
창의적 산출물 평가와 관련하여 베서머의 간편형 창의적 산물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모둠별 학습 결과물을 평가하고 미술 제작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물에 대한 질적인 해석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미술 교과를 위한 학습자간 분석 체계를 사용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분석, 평가척도를 활용한 창의적 결과물 평가, 실습 결과물에 대한 질적인 해석, 수업 과정에서 도출된 여러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실시간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미술 교과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양상이 집단별, 학습 단계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실시간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미술 교과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집단별 차이는 주로 인지적 상호작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집단별로 확산적 사고에 의한 인지적 상호작용이 더 많이 나타난 집단과 수렴적 사고에 의한 인지적 상호작용이 더 많이 나타나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학습 단계별 차이 역시 인지적 상호작용에서 크게 나타났는데,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는 문제 발견, 문제 이해, 해결안 종합에 해당하는 상호작용이 주를 이루며 해결안 구현이나 해결안 평가에 해당하는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는 반면, 시각화 단계와 정교화 단계에서는 주로 해결안 구현과 해결안 평가에 해당하는 상호작용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미술 교과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집단의 창의적 수행에 반영된다. 먼저,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의 집단별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차이에서 비롯된 집단별 창의적 수행에 대한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에 의한 인지적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 집단과 수렴적 사고에 의한 인지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집단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결과를 비교했을 때, 논리성과 유용성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후자가 전자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새로움의 영역에 포함되는 독창성, 놀라움 영역에서는 현격한 평가 결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미술 제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인 평가를 통해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특히 디자인 결과물을 구현해 내는 과정에서 정교성 요인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과 반성을 통해 온라인 미술 학습에서의 협동학습을 위한 향후 차별화 방안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생동감 있는 학습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스템의 보완이 필요하고 MURAL이나 MIRO와 같은 Visual Collaboration 플랫폼을 미술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의존성이 완벽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교수자는 학습 과제의 성격과 모둠의 특성에 따라서 필요한 역할을 선택하여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기 위해서 모둠에 대한 소속감이나 결속력을 다지기 위한 활동이나 경험을 통해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체 학습 활동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점검할 수 있는 인지 지도 활동지를 통해 학습자들이 전략적 지식, 인지과제에 대한 지식, 자기지식을 형성하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대한 점검의 기회로 삼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미술 표현 학습 과정에서 집단 창의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 발상 단계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 이후의 단계인 시각화, 정교화, 표현 단계가 고루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각 학습 단계별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의 적절한 안내와 피드백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래의 네 가지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미술 교과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특성과 창의적 수행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측면, 둘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의 미술교육 운영 방안에 대한 교육적 지침을 제공한다는 측면, 셋째, 실행연구를 통해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교육현상을 이해하고자 한 측면, 넷째, 미술 교과에서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re the most required competencies for future students, and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throug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is also a very important part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Worldwide, communicati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a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and aspects of 'convergence',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are also importan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teaching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field, I was curiou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interaction patterns and group creativity expression in art education, and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is study to begin.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hich started with such curiosity, were set as follows. First, does the interaction pattern between learners differ by learning stage and group in real-time online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Second, i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during the real-time online art curriculum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reflected in the creative performance of the group?
Based on these research problem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act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theoretical review,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focusing on 'group creativity', 'cooperative learning', 'interaction', and 'art education', and research materials in other subject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above main word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other subjects. The practical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and this practical study, and was conducted through class execution over two semester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direction and supplement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be carried out in practical research, modif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r learning materials, and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made.
In order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practical research, the Group Investigation (GI) model,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suitable for problem-solving, was applied, and the 4D model, a design thinking process model, was applied to construct and organize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 stages. Specific learning topics and contents were extracted through unit extraction from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In the course of practical research, various data such as student works, activity sheets, questionnaires, class journals, in-depth interviews, class recordings, and recording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addition, regarding the evaluation of creative output, the learning outcomes of each group were evaluated using the Besemers Simple Creative Product Evaluation Scale,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shown in the art production process was conducted. In this wa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interpreting various materials derived from the class process, analyzing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using 'learner-to-learner analysis systems for art subjects', evaluating creative results using evaluation scales.
First,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learners in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in a real-tim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ere different for each group and learning stage. In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in a real-tim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were mainly pronounced in cognitive interactions, and were divided into groups with more cognitive interactions by diffuse thinking and groups with more cognitive interactions by convergent thinking.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stages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as also large in cognitive interaction, mainly in problem discovery, problem understanding, and solution synthesis, while interactions corresponding to solution implementation or solution evaluation did not appear in the visualization stage and elaboration stage.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in a real-tim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s reflected in the creative performance of the group. First, the evaluation results of creative performance by group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by group in the idea thinking stage were shown. When compar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creative outputs of the group that actively interacts with cognitive interactions by diffuse thinking and the group that interacts actively with convergent thinking, the latter was evaluated higher than the former, especially in the areas of "originality" and "surpri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rough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the art production proces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an help increase the factor of elaboration,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design resul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of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above, the future differentiation plan for cooperative learning in online art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ystem so that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can be achieved through multilateral research on online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and to actively use visual collaboration platforms such as MURAL and MIRO in art classes. Second, instructors need to select and assign necessary rol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learning task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so that interdependence between learners can be completely formed in cooperative learning. Third, in order to lea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try ways to improve teamwork through activities or experiences to strengthen a sense of belonging or solidarity with the group. Fourth, it is necessary to allow learners to form strategic knowledge, knowledge of cognitive tasks, and self-knowledge through cognitive guidance activities that can understand and check the entire learning activities in an integrated and holistic manner. Fifth, in order to express group creativity in the art expression learning process, the idea thinking stage is of course important, but the subsequent stages, visualization, elaboration, and expression, are evenly important stages, so appropriate guidance and feedback from instructors are neede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it contributed to promoting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reative performance in the art subject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Second, it provides educational guidelines for how to operate art education in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s in the post-COVID-19 era. Third, the aspect of reflecting the voices of the field and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phenomenon through practical research, Fourth, since there is not good enough 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art subjects, it ha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at it can be a cornerstone of research 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