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플랫폼 뉴스 소비행태 연구 : A Study of Online Platform News Consumption Behavi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유현

Advisor
김난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온라인 뉴스 소비온라인 뉴스 소비자온라인 뉴스 소비 행태온라인 뉴스 선택 휴리스틱자기 확증 편향성에코 체임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2022.2. 김난도.
Abstract
News consumption on Korean online platforms ranks first among 46 OECD countries. In a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personal information is money. What news is frequently clicked on, how much time is spent on what news, and which advertisements are clicked on are all at increased risk of being informatized. They know which news and photos are most sensitive to, and which videos can draw attention. All consumer information identified in this way is commercialized as data. By using this data, it will become possible to sell anything to individual consumers, be it advertisements, products, political views, or worldviews. Therefore, online platform news consumers need a clear awareness that they are being consumed as information. However, news consumption on online platforms has been dealt with from the perspectives of journalism, communication, and political diplomacy. One of the problems with online news consumption is that it can be commercialized as data. As these problems are diversified and rapidly spreading, the need for consumers who are the subject of news consumption on online platforms to quickly face up to themselves as consumers is increasing.
As news is consumed onl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news and consumers is also changing. In the past, news providers unilaterally delivered news to news consumers, but now distributors such as portal sites have appeared, and consumers do not remain passive consumers in the past with functions such as commenting and sharing.
This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s in the news consumption market requires the consumer to play a more active role and the ability to identify fake news in the exponentially expanded and reproduced news.
For this purpose, from May 25, 2019, to October 03, 2020, all articles in the 'Most Viewed News by Age' section were collected by web crawling on the portal site, and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in that period was 29,703. In addition, the process of actual consumers choosing news was investigated through prior interviews, and quantitatively, a survey was conducted on online platform news consumption among 1,000 peop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ehavior of consuming news on online platforms refl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gender, it appears that news is used on portal sites regardless of gender, but in the case of age,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time spent using news was found. As people get younger, they tend to use other media such as YouTube while maintaining the portal site as their main source of news consumptio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print newspapers in the past, the news value perceived by consumers in online platform news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news value represented by reliability, fairness, accuracy, promptness, and depth- the average news value in the online platform was higher in all value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when asked if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for online news, 880 out of 1,000 recipients said they would not pay any money. Instead of paying money, they chose their online data to be sacrificed for free use instead of monetary payment. These data included -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one's past news use history,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epting complex use procedures, allowing personal preferences to be analyzed for future prediction.
The online platform news usage tim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nger by males than females, and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final education level, the longer the use time was, and the more married, the longer the usage time. Among the motivations for using news, the greater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 greater the cost of free use, the more significant the impact on news use time. appeared not to be reach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s on the hypothesis that the longer the usage time, the higher the news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result of higher satisfaction as the sacrifice increases suggests that consumers are not aware of the non-monetary cost, they sacrifice by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efforts to use online news for free.
Secondly, six heuristics were derived through a prior interview on how to select when using such online platform news. Six heuristics were 'I choose a topic that can confirm my thoughts/beliefs', 'I am interested in I choose to go.', 'Check the articles that people commented on first.', 'I tend to go through links that are included in the selected news', 'Click on topics related to the group I belong to', ' I tend to select the topmost article possible.',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y heuristic, but satisfaction with online news was found to be a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by all heuristics. In a similar context to the cost of sacrifice abov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re consumers make their own choices using heuristic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online news use. Furthermore, in terms of topic selection in news, consumers in their 30s were most interested in culture, art-related news, and crime-related news, while those in their 60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in all news topics overall.
Thirdly, we verified the age-specific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these online platform news with big data. The analysis looked at news consumption by age in two ways: viewing the selection of news topics for each age group at the same time every month for a period of one and a half years, viewing news topics of interest by age by grouping the total period collected into one. 5, 2019 From May to October 2020, the total topic topic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five such as politics, corona, society, diplomacy, events, and real estate, but if you go more specifically, they show different news preferences by age group. The most striking singularity of each period is that the corona started at the beginning of 2020, and it seemed that everyone would be very interested in the news. There was a phenomenon of interest in them. Looking at the topics of interest by generation in more detail,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news choice between generations. Finally,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ggregation coefficient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hesion of the corresponding words through network analysis, the cohesion was lowest in the 60s and the highest in the 50s and teens. This suggests that it is related to belonging to a social group, and these social factors also influence news selection.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Online platform news consumers a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news valu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ews. As for the satisfaction, the older and married, the longer the online news consumption time, the higher the news usage satisfaction is observed. Also, it can be found that when the motive for use i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news use also increase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cost of non-monetary sacrifice. This points out the difference in consumer behavior must be acknowledged. News consumption through online platforms is highly recognized compared to news consumption through existing media in the past in terms of news value and usefulness. However, at the same time, consumers themselves need to try to identify fake news, the ability to see the world in the big picture without being trapped in a filter bubble, and an open attitude to listen to multiple voices without being biased towards self-confirmation bias.
In conclusion, the first proposal of this study is to educate consumers on digital news to move them away from the perception that consuming news through online platforms is free. It is a time when digital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consumers themselves can have the personal capabilities to avoid being trapped in fake news and filter bubbles.
Second, in order to protect consumers who prefer free online new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utline of a legal system that can recognize the act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consume news as a paid transa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effective countermeasures through in-depth research on how the government, news producers, and news consumers should respond to the impact of online platforms on news, and how these issues affect social communities and individuals.
Online news consumption has become an irreplaceable daily routin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behavior of online news consumers, and empirically analyzes related data to determine what kind of motives online news consumers have, what methods they use to select new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news content selection by ag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a meaningful first step as a study attempted from a consumer perspective on online news consumption behavior.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illuminat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process of online platform news more transparently and advance in the direction that consumers' rights and interests can be enhanced through social monitoring.
우리나라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뉴스 소비는 OECD 46개국 중 1위에 달한다. 현대 기술사회에서는 개인정보가 돈이 되는 세상이다. 어떤 뉴스를 자주 클릭하고, 어떤 뉴스에 정도의 시간을 쓰는지, 어떤 광고를 클릭해 들어가는지 등이 모두 정보화되어 데이터 베이스로 축적되고 있다. 어떤 뉴스와 사진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지, 어떤 동영상으로 주의를 끌 수 있는지 모두 파악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파악된 소비자 정보는 모두 데이터로 상품화될 수 있다. 이 같은 데이터를 활용해 개별 소비자에게 광고, 상품, 정치적 견해, 세계관 등 무엇이든 파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온라인 플랫폼 뉴스 소비자가 자신의 활동이 정보화 되어 소비되고 있다는 뚜렷한 자각이 필요한 이유다. 그러나 아직까지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뉴스 소비는 언론정보학 ∙ 커뮤니케이션 ∙ 정치외교학적인 관점에서 다뤄졌다. 그렇지만 온라인 뉴스 소비에서의 문제점 중 하나는 소비자 자신의 개인 정보가 데이터로 쉽게 상품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소비자 개인정보의 상품화 문제가 다양하고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뉴스 소비 주체인 개개인이 스스로 소비자임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해지고 있다.
뉴스가 온라인에서 소비됨에 따라 전통적인 뉴스와 소비자의 관계 또한 변하고 있다. 과거 뉴스 공급자가 뉴스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었다면, 현재는 포털사이트와 같은 유통자가 나타났으며 소비자는 댓글달기 ∙ 공유하기 등의 기능으로 과거 수동적인 소비자의 역할에 머물지 않는다. 이러한 뉴스 소비 시장 관련 주체들 간의 관계 변화는 소비자로 하여금 보다 능동적인 역할과 더불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뉴스 속 가짜 뉴스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본 연구는 현재의 온라인 뉴스 소비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뉴스를 소비하는지에 대해 이용시간 및 만족도와 이에 미치는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여 전반적인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뉴스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에 따르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와 함께 온라인 플랫폼 뉴스 선택 내용의 연령대별 차이를 빅데이터 상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포털사이트에서 2019년 5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03일까지 연령별 많이 본 뉴스섹션의 기사를 웹 크롤링으로 전수 수집했으며, 해당 기간의 총 기사 수는 29,703개다. 이와 더불어 실제 소비자들이 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선행 인터뷰로 조사하였으며, 정량적으로는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 뉴스 소비 관련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90%가 포털사이트(60%), 유튜브(30%) 등 온라인 매체에서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별로 뉴스를 소비하는 행태에 차이를 보이는 지 여부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남여 간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를 이용하는 비중은 비슷하나 이용 시간은 남자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의 경우 나이가 어릴수록 포털사이트를 메인 뉴스 소비의 창구로 유지하면서도 유튜브 등 다른 매체도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나이가 많아질수록 뉴스 이용 매체가 포털사이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며 뉴스 이용시간도 더 길어 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종학력이 대학교 졸업인 경우, 그리고 기혼일수록 포털을 이용하는 비중이 더 높고 이용시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미디어인 종이로 인쇄된 신문과 온라인 플랫폼 뉴스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뉴스 가치를 비교하여 보았다. 신뢰성, 공정성, 정확성, 신속성, 심층성으로 대표되는 뉴스 가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가치에서 온라인 플랫폼에서 뉴스 가치가 더 높은 평균을 나타내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온라인 뉴스에 대해 금전적 지불을 할 의향이 있는 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1,000명 중 880명이 지불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금전적 지불 대신 무료로 이용하기 위해 본인이 희생할 수 있는 항목들을 조사한 결과 본인의 과거 뉴스 사용 경력과 연관된 정보 제공,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위치 정보 제공, 복잡한 이용 절차 수용 가능, 개인적인 성향 분석 및 예측 허용, 그리고 추가적인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뉴스 이용동기 중에는 정보 습득에 해당하는 유용성과 무료로 이용하기 위한 희생 비용이 클수록 뉴스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 전환과 같은 환기의 목적은 온라인 플랫폼 뉴스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시간이 길수록 뉴스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한 결과, 유용성과 희생비용 모두 뉴스 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뉴스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희생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는 그들이 희생하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보람과 같은 감정 이외에 비금전적 비용에 대한 자각이 부족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온라인 플랫폼에서 뉴스를 선택하는 행태를 탐색했다. 온라인 플랫폼 뉴스 이용 시 뉴스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선행 인터뷰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이용자들이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6개의 휴리스틱을 도출했다.6개의 휴리스틱은 '내가 갖고 있는 생각/신념을 확인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한다.', '내가 관심이 가는 것을 선택한다.', '사람들이 댓글을 많이 쓴 기사부터 확인한다.', '선택한 뉴스에 함께 있는 링크를 타고 들어가는 편이다', '나와 속한 집단과 관련 있는 주제를 클릭한다.', '가능한 맨 위에 있는 기사를 선택하려 하는 편이다.'이다. 이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 관심이 가는 것에 선택한다가 가장 높게 나왔고 가능한 한 맨 위에 있는 기사를 선택한다가 가장 낮게 나왔다. 휴리스틱이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대표적인 예로는 내가 갖고 있는 생각/신념을 확인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는 휴리스틱의 경우 30대가 가장 적게 사용하는 반면 60대가 압도적으로 많고 20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휴리스틱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요인으로는 온라인 뉴스 만족도가 나타났다. 이는 정보과잉으로 뉴스소비를 위한 선택행위가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자신 특유의 휴리스틱을 사용해 선택한 온라인 뉴스에 대해 이용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뉴스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확증편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 연령 ∙ 교육 수준이 자기 확증 편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플랫폼에서 연령별 뉴스주제 소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차이의 존재여부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했다. 분석은 2019년 5월부터 약 1년 반 동안 매 월 동시기에 각 연령대가 네이버에서 선택한 뉴스 주제를 비교해보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각 시기별 연령별 주제 선택에 대해 알아보는 방식과 함께 수집한 전체 기간을 한 개로 묶어 연령별 관심 뉴스 주제를 보는 두 가지 방식으로 연령별 뉴스 소비를 살펴보았다. 2019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전체 주제 토픽을 분석한 결과, 정치, 코로나, 사회, 외교, 사건, 부동산 등 6개가 가장 통일성 있는 단어로 추출되었다. 6개 주제 토픽에 속하는 기사의 클릭 수를 파악하면 관련 뉴스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바 연령대별 상이한 뉴스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해당 시기별 가장 두드러진 특이점으로는 2020년 연초에 코로나가 시작되어 해당 뉴스에 모두가 큰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였으나, 10대 ∙ 20대 ∙ 30대가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보인 반면 40대 이상은 코로나 이외의 다른 주제들에 보다 관심을 보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부동산은 처음에는 낮았으나 2020년 10월에는 코로나보다 더 높은 관심을 기록했다. 마지막으로 해당 단어들을 네트워크 분석으로 응집도를 파악하기 위해 결집계수를 구한 결과, 60대에서 응집도가 가장 낮았으며 50대와 10대가 응집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응집도는 공통의 주제에 대한 응집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 집단에 소속여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플랫폼 뉴스 소비자들은 과거 전통적인 뉴스 소비 방식에서 현재의 방식에 보다 더 나은 뉴스 가치를 느끼고 있으며, 뉴스를 무료로 이용하기 위해 본인들의 개인적 정보 혹은 시간을 제공할 의사가 존재한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기혼일수록 온라인 뉴스 소비 시간이 길어지며, 이용동기가 정보의 습득일 때, 희생 비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뉴스 이용 만족도도 함께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소비자들이 정보의 과부하로 휴리스틱을 사용하여 뉴스를 선택함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플랫폼 뉴스 이용 만족도가 높아지며 이러한 휴리스틱 사용행태에는 연령별 차이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연구 결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뉴스 소비는 뉴스 가치와 유용성 측면에서 과거 기존 매체들을 통한 뉴스 소비에 비해 높이 인정된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동시에 소비자 스스로 가짜 뉴스를 판별하기 위한 노력, 필터버블에 갇히지 않고 세상을 큰 그림으로 판별할 수 있는 능력, 자기 확증편향에 치우치지 않고 여러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열린 태도 등이 요구되는 등 보이지 않는 많은 비용이 존재한다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첫 번째 제안은 소비자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것이 무료라는 인식에서 벗어나도록 디지털 뉴스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 소비자 스스로가 가짜 뉴스와 필터버블에 갇히지 않을 수 있는 개인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두번째로 무료를 선호하는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도적인 측면에서 뉴스를 소비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행위를 유상거래로 인정할 수 있는 법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플랫폼이 뉴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부, 뉴스 생산자, 뉴스 소비자가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인지, 이런 문제가 사회공동체, 개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온라인 뉴스 소비는 이제 대체될 수 없는 일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소비자의 행태에 주목하고 온라인 뉴스 소비자가 어떠한 이용동기를 갖고 있는지, 뉴스 선택에 있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지, 연령별 뉴스 내용 선택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의 실증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미흡하나마 온라인 뉴스 소비 행태에 대하여 소비자학적인 시각으로 시도한 연구로서 의미 있는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계기로 온라인 플랫폼 뉴스의 생산 ∙ 소비과정이 보다 투명하게 조명되어 사회적 감시를 통해 소비자의 권익이 증진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기를 기원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9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3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