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운동목표 범주화가 목표진도인지와 목표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Categorization Effect on Exercise Goal Progress Perception and Motivation: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성진

Advisor
김유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운동목표범주화목표진도인지목표성취동기자기효능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2022.2. 김유겸.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운동은 매해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피트니스 산업은 눈에 띄게 발전하였다. 하지만, 피트니스 회원 중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들은 운동을 하더라도 당일 목표량을 채우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에게 주어진 운동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단일 운동목표 환경에서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며, 이에 자기효능감이 낮은 운동참여자들에게 운동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동기부여 해줄 것인가 대한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참여자들이 목표진도를 인지하는 과정에 운동목표 범주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에 따라 목표성취동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그 결과가 달라질 것인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범주화 효과, 휴리스틱&편향, 목표가속효과, 자기조절, 인지조절 이론을 기반으로 가설을 도출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실제 운동량: 고(73%) vs. 저(27%)) x 2(범주화: 범주화 vs. 비범주화) x 2(자기효능감: 고 vs. 저) 피험자 간 요인설계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범주화+실제 운동량[저], [고]와 비범주화+실제 운동량[저], [고] 점화물을 개발하여 총 4가지 종류의 설문지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20대 이상 일반인들에게 온라인을 통해 배포하였다. 수집된 총 42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조작 점검에서 극단치 이상(이하)의 응답을 보인 설문지 60부를 제외한 36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위수를 기준으로 자기효능감[저] 집단, 자기효능감[고]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최종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적 분석 기법은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회귀분석, Hayes Process Macro Model 7, 21이다.
연구 결과, 범주화+실제 운동량[저] 집단이 비범주화+실제 운동량[저]집단보다 목표진도인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범주화+실제 운동량[고] 집단이 비범주화+실제 운동량[고]집단보다 목표진도인지가 더 낮게 나타났다. 목표진도인지 수준에 따라 목표성취동기 또한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운동참여자들이 높은 참여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목표진도인지가 목표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목표를 낮은 운동량으로 범주화 했을 때,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들에게 동기를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임의적 라벨 범주화로 조작되었으나, 유사성과 정렬과 같은 범주화 모두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범주화, 동기, 자기효능감 영역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 피트니스 지도자는 회원들의 운동목표를 계획할 때 범주화하여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categorize a thing as an A, not B if the object is more similar to the categories in set A than B. This occurs everywhere in peoples lives. Despite its importance, little is known on how categorization affects goal progress perception which is downstream consequences for motivation. This research explores underlying mechanism of how people perceive their goal progress, and how it relates to thei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us, We built hypothesis based on Categorization, Anchoring Bias, Self-control, Goal Gradient Effect, and Cognitive Control Theory.
360 Koreans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given salient individual exercise goals (11 workouts) and measured self-efficacy in 7 Likert-scale and progress perception and motivation in 100-scale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2 (Categorization vs No categorization) x 2 (Absolute Exercise Progress: Low (3/11) vs High (8/11)) conditions.
We conducted multipl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by Process Mode 7 and 21 (Hayes, 2017).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ategorization and absolute progress on progress perception (p<.001). In low progress, categorization group perceived more progress than no categorization group (Mc=46.79; Mnc=30.96, B=15.83, p<.001) and contrary effect in high progress (Mc=57.38; Mnc=69.57, B=-12.18, p<.001). For motivation, in low progress, categorization group was more motivated than no categorization group (Mc=62.77; Mnc=53.77, B=8.99, p<.05), and inverse effect in high progress (Mc=59.45; Mnc=72.22, B=-12.75, p<.01). Moreover, there was no direct effect, but low self-efficacy group played the moderating role between perceived progress and motivation in conditional indirect effect (B=.32,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d significant multipl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8.25, 95% CI=[-16.99, -.36]).
This research theoretically contributes to the domains of categorization and motivation. For practical implication, trainers at gyms can use categorization as a strategy on daily exercise goals for increasing members' motiva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arbitrary labels could not generalize all types of categorizations such as similarity and organization. Lastly, future research can include subsequent motivation after a superordinate goal comple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3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