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미지의 초현실성을 통한 자기 부정의 표현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elf-denial through the surreality of images : Based on Works by Chung, KyungJi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경진

Advisor
김성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 부정초현실성마음해체지우기 기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22.2. 김성희.
Abstract
본 논문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자기 부정과 초현실성이라는 주제로 제작한 본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창작 동기와 작품의 이론적 근거, 조형적 특성, 표현기법 등을 분석하여 본인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작품 연구 논문이다.
인생은 행복과 불행이 씨줄과 날줄로 엮여 펼쳐지는 긴 여정이다. 매 순간이 행복할 수도 불행할 수도 없으므로 인간은 누구나 내면에 밝은 세계와 어두운 세계가 공존한다. 본인에게 그림을 그리는 일이란 내면의 어두운 세계를 조명하는 일이다. 그늘진 면모를 직면했을 때 나 자신을 똑바로 마주할 수 있었고, 이를 계기로 성찰하고 극복하다 보면 삶의 원동력이 되어 어느새 단단해진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힘들 때 주로 느끼는 감정은 불안과 우울, 걱정, 원망 등 매우 복합적이다. 본인 또한 내면으로 침잠하는 시기에 이러한 감정들을 느껴보았지만, 단순히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것과는 다른 무엇을 느꼈다. 이 감정을 특별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감정의 늪에만 빠져있지 않았고 내 마음의 실체, 내가 인식하는 세계에 대한 의문과 같이 철학적이고 근원적인 고민으로 나아갔기 때문이다. 본인은 이 복잡한 생각과 내적 갈등을 자기 부정이라는 단어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언급하는 자기 부정은 중의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본인 작업의 주된 내용이기도 한 일반적 의미의 자기 부정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 긍정의 반대말로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말한다. 또 한편으로는 종교나 철학에서 지향하는 고뇌와 집착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상태를 말한다. 본인은 자기 부정을 자학적인 것으로만 치부하지 않고 인간이 가진 자연스러운 감정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자기 부정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살펴보며 다각적으로 접근하였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자신을 부정하는 감정이 괴로운 것만이 아니라 한층 성장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 싶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연구의 목적은 본인이 삶에서 느끼는 자기 부정적 감정에서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요소들을 모색해보고, 유사한 문제의식을 가진 미술가들의 작품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본인 작품이 어떠한 가치와 의의가 있는지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본인만의 조형 언어를 수립하고 후속 작업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인은 자기 부정이라는 주제를 초현실적인 이미지로 표현하면서 세 가지 연작을 진행했다. 첫 번째 연작은 세계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기 위해 자연을 파란색으로 재구성하여 표현하였다. 두 번째 연작은 세계에서 도피하고 싶은 욕구를 나타내기 위해 인어에 상징을 부여하여 표현하였다. 세 번째 연작은 세계를 수용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소재와 형식의 제한 없이 표현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서술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밝힌다.
Ⅱ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작품 제작의 기반이 되는 인간의 자기 부정적 감정과 논리를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자기 부정을 긍정적으로 해석한 경우와 부정적으로 해석한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에 대해 철학에서는 어떠한 입장을 견지하는지 분석해본다.
Ⅲ장은 본인 작품의 내용적 서술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생각을 주제로 세 개의 연작으로 나누어 각각의 연작에 대한 조형적 표현을 설명한다. 작품 창작의 동기를 밝히고 생각을 조형화하기 위해 영향받은 다양한 미술사조와 이론에 관해 서술한다.
Ⅳ장은 본인 작품의 형식적 서술로, 전통 기법과 지우기 기법, 그 외의 기법으로 분류하여 표현기법의 특징, 재료, 제작과정 등을 상술한다. 지우기 기법은 본인이 고안해낸 기법으로 지우는 행위의 의미와 제작 방법을 자세하게 서술한다.
Ⅴ장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결과 및 의의를 서술한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여 앞으로 본인 작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해본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살면서 느끼는 괴로움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 마음을 표현한 본인의 작업에서 대중과 공감할 만한 요소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철학과 종교에서는 고통이 삶의 본질이며 그 고통의 근원은 자신에 대한 집착에서 온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자기 부정적 감정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이다. 둘째, 과거부터 미술가들이 표현해 온 인간의 복잡한 내면을 독창적인 기법으로 발전시켰다. 전통 동양화 재료를 활용한 지우기 기법을 구현하여 동양화의 현대적 변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셋째, 본인의 작품을 종교와 철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접목시키는 과정을 통해 작품세계를 일관성 있게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작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motive for creation, the theoretical basi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echniques for my works produced under the themes of 'self-denial' and 'surrealism' from 2011 to 2021 and aims to present them in a systematic manner.
A life is a long journey in which happiness and unhappiness are intertwined like warp and weft. Since it is impossible to make every moment happy or unhappy, each human being has a bright side within his or her mind as well as a dark one. To me, painting is to examine the dark side inside me. Because I was able to confront myself when I faced the dark side, the confrontation made me reflect on and overcome this as an opportunity. This experience was the driving force of my life and I found myself hardened. When we are having a hard time, we feel anxiety, depression, guiltiness and so on. I also felt these emotions during the period when I look into the inner side, but I felt something different than simply deepening the emotions. The reason I consider this feeling special is that I have moved on to philosophical and fundamental concerns such as questions about the reality of the mind and the world I perceive. I would like to explain this complex thought with the word 'self-denial'.
The self-denial mentioned in this paper has a double meaning. As the opposite of self-affirmation in psychology, it refers to a moment when the mind is painful. But it also refers to a state of being free from the anguish and obsession which is aimed for in religions or philosophy. I did not dismiss self-denial as a self-torturing emotion, but as one of the natural emotions of humans and approached from various viewpoints, looking a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elf-denial. I would like to say through the research that the feelings of self-denial are not only painful, but also a positive device to discover oneself who has grown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started with this motivation, is to find elements that the public can sympathize with from the self-denying emotions they feel in their lives and to deriv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my works by looking through the works of artists with similar motivations. Through this, I intend to establish my own formative language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subsequent work.
The subject of self-denial was expressed in a surrealistic image and presented in three series. In the first series, the nature was reconstructed and expressed in blue to capture 'worries' about the world. In the second series, a symbol was given to a mermaid to express the 'desire' to escape the world. The third series expresses the 'will' to accept and overcome the world without limitations in materials and form.
The structure of the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study and analyzes previous studies to reveal the importance of the study.
Chapter Ⅱ i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philosophically examines self-denying emotions and logics of human beings, which are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s. It divides self-denial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terpretations and analyzes how it is interpreted in philosophy for each case.
Chapter III is the description of my works and explain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each series by dividing the thoughts on self-denying emotions into three series. It also describes various art trends and theories influenced to reveal the motivation for creating works and shaping my thoughts.
Chapter Ⅳ is a formal description of my works. It is divided into erasing techniques, traditional techniques, and other technique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and production processes in detail. The erasing technique describes the meaning and the process of the erasing, a technique I devised.
Chapter V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thesis and describes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my 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was able to find elements that could sympathize with the public in my work, which expressed the suffering that occupies various moments of our lives and the emotion of self-denial that comes from it. Philosophy and religion held that suffering is the essence of life and that the source of suffering comes from attachment to oneself. Therefore, self-denial is the emotions that all human beings can feel in their daily life. Second, it developed the negative inner side of human beings, which artists have expressed since the past, into an original technique. By implementing the erasing technique using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materials, the purpose of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oriental painting was achieved.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grafting my work with theories of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nd art, it was an opportunity to organize my work consistently. Through this, I was able to explore the direction to develop my work.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1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