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상 속 판타지를 구현하는 디자인 연구 : Study on the Cre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Fantasy Elements in Design in Daily Lif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정현

Advisor
장성연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자인판타지일상비일상낯설음경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2022.2. 장성연.
Abstract
People fulfill their fantasies by watching movies, listening to music,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nd traveling. Through these fantasies, they can obtain vibrant sources of life and can satisfy latent desires. This phenomenon also emerges in some recent notable product and space designs that lights up our fantasies. Most of these pieces of novel but strange appearances have extraordinary or surreal impressions and draw our attention. On the other hand, these strange appearances have visual inconvenienc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of fantasies and unfamiliar feelings. And it researches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creating fantastic things and aims to seek alternative creative formative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features of existing fantastical design pieces by the application of experiential elements. First, the study investigates examples of various media, which give people fantastical images or feelings such as literature, movies, games, music, paintings, and installation arts, and how these media use fantasy elements. Second, the study researches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fantasy elements in design through a case study about furniture, product and space design. Third, the study investigates a different method of using fantasy elements in design from other existing cases and creates distinct designs with this method. Three Design Studies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visual inconvenience. Design Study 1 shows the coexistence of reality and fantasy and the fantasy that stimulates peoples desire to escape. In the design works, users usual acts such as sitting on a chair, shelving a book, or entering an entrance turn into unusual acts, and offer users unfamiliar experiences in daily life. Design Study 1 resulted in four designs with drastic appearances, which stimulate peoples curiosity. At the same time, the four designs still have bold and expressive appearances. For seeking researchers perspectives and different visual features from existing works, Design Study 2 attempts to find inspirations from researchers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such as the dandelion seeds head and a fragrance as fragile and unexpected fantasy. Forms of works from Design Study 2 were delicate and calm, but they did not show a general fantastic image. Design Study 3 uses complex and drastic shapes and colors to express fantasy for attaining others empathy, which attempts to more intuitively visualize the fragrance than Design Study 2. Also, the lighting expressing unexpected fantasy is created by inspiring an imagination to the daily experience of opening a gift box or a parcel. The three design studies show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ersonal everyday experiences as motives for the creation of product and spatial designs that offer experiential fantasy with less visual inconvenienc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expressing the fantasy without an uncanny and an unfamiliar visual expression. This shows the necessity to conside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unfamiliarity as a source of visual expression in the creation of a fantastic design with a usual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offers a new perspective about fantasy, which has strange, mysterious, subversive, and unfamiliar visual features.
사람들은 영화, 음악, 스포츠, 여행 등 다양한 매체에서 판타지를 소비하며 잠시 일상을 벗어나 삶의 활력소를 얻거나 잠재적 욕구에 대하여 대리 만족하기도 한다. 이러한 판타지에 대한 욕구는 판타지를 전달하는 디자인이 주목받는 현상에서도 나타난다. 현재까지 발표된 판타지 감성이 적용된 디자인 작품들의 경우, 대부분은 강한 시각적 낯설음을 통하여 판타지를 제공하는 디자인들이 주를 이루며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고 있다. 이러한 판타지 디자인들의 다소 생경한 조형은 일상을 낯설게 느껴지게 하여 비현실적 느낌을 주는 데에 효과적이지만, 그와 동시에 시각적 불편함을 전달하는 경우들도 많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판타지와 낯설음의 관계, 판타지가 느껴지게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판타지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경험적 요소를 디자인 자원으로 활용하여 강한 시각적 낯설음을 덜어낸 연구자만의 조형적 차별점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판타지적 감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분야의 소비 매체들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진행하여, 각 분야에서 판타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시키는지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둘째, 디자인 분야에서 판타지를 표현한 디자인 작품 사례들을 조사하여, 디자인에서의 판타지 적용과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기존의 판타지에 대한 조형 표현 방법과 차별화된 조형을 탐구하는 작품 연구을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자는 낯설음을 시각표현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대신, 판타지의 경험적 요소를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한 디자인을 모색하였으며, 여러 작품 연구을 통하여 공통적으로 일상에서 상황의 반전, 전도의 경험을 통해 판타지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총 3차에 걸친 작품 연구를 통하여 시각적 낯설음을 덜어낸 판타지 디자인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작품 연구 1차에서는 현실과 공존하는 판타지, 일탈 욕구를 자극하는 판타지를 표현하였다. 앉기, 책 꽂기, 입구에 들어가기 등의 소소한 일상 행위가 일상을 벗어나는 경험이 되도록 창작하였다. 이를 통해, 낯설음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동시에 다소 강한 시각 표현의 조형이 도출되었다. 작품 연구 2차에서는 연구자의 판타지에 대한 세계관과 차별적 조형언어를 모색하기 위해 연구자 개인의 일상경험을 활용하였다. 민들레 홀씨, 향기를 각각 깨지기 쉬운 판타지, 예상치 못한 사이 다가오는 판타지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과정에서 섬세하고 차분한 연구자의 차별적 조형 언어를 발견하였지만, 판타지를 공감하기 어려운 조형이 도출되었다. 작품 연구 3차에서는 보는 이로 하여금 공감할 수 있는 판타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연구 2차의 향기를 소재로 한 디자인에 대한 직관적인 조형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택배, 선물이 담긴 상자를 여는 경험에 상상을 불어넣어 예상치 못한 판타지를 표현하였다. 비록 1차 연구보다는 약하지만 2차 연구보다는 강한 시각적 자극을 전달하는 조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의 일상 경험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판타지적 경험을 전달하고 낯설음을 덜어낸 판타지 디자인 창작의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었다. 단, 작품 창작 과정에서 낯설음이나 기이함이 지나치게 배제된 표현은 판타지 감성에 대한 공감도를 줄어들게 한다는 한계점도 발견하였으며, 이는 앞으로 일상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판타지 디자인 창작에 있어 낯설음에 대한 적절한 시각적 적용 정도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작품 연구가 기존의 낯설음, 전복성, 신비함, 기괴함 등의 시각적 표현 요소들에 기반한 판타지 디자인에 대한 또 다른 시야를 제공하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4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2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