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환자경험과 간호사 확보수준 : Patient Experience of Inpatients and Nurse Staffing Level in General Hospita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영채

Advisor
도영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환자경험간호사 확보수준의료의 질환자중심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2.2. 도영경.
Abstract
연구 배경: 환자의 관점에서 의료의 질을 평가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주관 하에 환자경험 평가가 시행되었다. 환자경험 평가 시행으로 환자경험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환자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 의료체계에서 환자경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의료기관의 간호사 확보수준이 있다. 간호사 확보수준은 의료의 질의 중요한 구조적 요소로서 환자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의 인구 천 명당 활동 간호사 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간호사 확보수준 개선을 통한 환자경험 향상의 여지가 크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입원 환자의 환자경험에 간호사 확보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9년 2차 환자경험 평가 자료이다. 최종 응답 자료 중 151개 병원의 23,485명을 분석에 포함하였으며, 42개 상급종합병원 7,250명과 상급종합병원이 아닌 109개 종합병원 16,235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변수는 환자경험 평가 1~21번 문항에 대한 응답이며, 예상되는 결과에 따라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범주 1에는 강하고 직접적인 인과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결과변수(환자경험 평가의 간호사 영역), 범주 2에는 인과적 효과가 있을 것이나 범주 1에 비해 효과의 크기가 작을 것으로 예상되는 결과변수(투약 및 치료 과정, 환자권리보장, 전반적 평가 영역)가 포함되었다. 범주 3은 인과적 효과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결과변수(의사 및 병원 환경 영역)이나 인과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오류 실험으로 포함하였다. 설명변수는 2019년 3분기 간호등급이다. 환자경험과 간호등급 간 연관성을 살펴본 후, 교란요인을 포함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의료기관에 환자가 내포된 계층 구조 자료임을 고려하여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변수 유형에 따라 순서형/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혹은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급종합병원이 아닌 종합병원에서 간호등급에 따른 환자경험 응답 분포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범주 1과 2에 포함된 환자경험은 간호등급이 낮을수록 긍정적 응답을 보고할 확률이 낮았으며, 의료기관 및 환자 특성 보정 후에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통제 변수를 고정한 상태에서 간호사 영역의 1번 문항에 대해 가장 긍정적 응답 범주인 항상 그랬다를 선택할 확률(predicted probability)은 1등급 70.28%, 2등급 67.73%, 3등급 66.91% 4등급 이하 63.11%로, 4등급 이하는 1등급에 비해 가장 긍정적 범주의 응답을 보고할 확률이 7.17%p 낮았다. 이러한 양상은 강한 인과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던 범주 1에서 가장 뚜렷하였다. 오류 실험에 해당하는 범주 3에서는 환자경험 평가 영역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었다. 의사 영역 환자경험에서는 예상과 일치하게 간호등급에 따른 응답 분포 차이가 없었으나, 병원 환경 영역 문항에서는 예상과 달리 간호등급에 따른 응답 분포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효과의 크기는 환자경험 문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간호사 확보수준이 낮을수록 긍정적 환자경험을 보고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확보수준이 낮은 의료기관의 간호사 확보수준 향상이 입원환자 환자경험 향상에 일정 수준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As the need to evaluate healthcare quality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is being increasingly recognized, the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PEA) has recently been conduct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ew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factors that affect patient experience in South Korea. Nurse staffing level is known to be an vital structural factor affecting patient experience in the literature. Nevertheless, the number of practicing nurses per 1,000 population in South Korea is relatively low; accordingly, patient experience could be improved through enhancing nurse staffing level of hospital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nurse staffing level on patient experience of hospital inpatients in South Korea.

Methods: A total of 23,485 subjects in 151 hospitals in the 2019 PE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eparate analysis was conducted for 42 tertiary general hospitals (n=7,250) and 109 general hospitals (n=16,235).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response to questions 1 to 21 of PEA. In this analysis, PEA 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flecting potential mechanisms through which nurse staffing level affects patient experience: Category 1 consisted of the four questions in the Nurse domain of PEA, that are plausibly expected to exhibit strong causal effects, Category 2 included medication and treatment-related questions, patient rights-related questions, and overall hospital ratings that are expected to have less strong causal effects than Category 1, and Category 3 included physician- and hospital environment-related questions that are presumed to have no causal effects (to be used as a falsification test).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nurse staffing grade, which is used to adjust reimbursement to hospitals based on nurse staffing levels. Multilevel ordered/binomial logistic or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djusting for hospital and patient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patient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nurse staffing grade in general hospitals. For the variables included in Category 1 and 2, the probability of reporting positive responses was lower among patients from hospitals with lower nurse staffing grade, and this association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hospital and patient characteristics. To illustrate, the predicted probability of reporting the most positive response, "Always", for nurse-related question 1 was 70.28% in grade 1, 67.73% in grade 2, 66.91% in grade 3, and 63.11% in grade 4 or lower. Results from falsification tests showed that nurse staffing levels were not associated with patient experience in physician-related questions but were associated with hospital environment questions, partially supporting the causal argument made in this study.

Conclusion: Although the magnitude of the effect varied according to the PEA questions, nurse staffing level was associated with hospital patient experience in the Nurse and several other domains. Improving nurse staffing level in hospitals may therefore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patient experience of inpatients in South Kore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5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