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지식 기반 서비스업 집적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for Agglomeration of KIBS Industry in China : Focusing on the Special Economic Zones
중국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채호동

Advisor
이영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국 경제특구지식 기반 서비스업산업 구조 변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2. 이영성.
Abstract
Chinas Special Economic Zones(SEZs) have served as bases to secure insufficient resources and know-how from foreign countries for system transformation and economic growth. China has been able to achieve economic results by gradually expanding SEZs, including an increase in GDP, and studies on SEZs have been steadily progressing until recently by paying attention to these remarkable achievements.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in the studies in that they mainly conducted research by using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issue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increased rapidly as China developed through SEZs. Thus, current SEZs that have achieved some level of economic performance are likely to receive more influence from the service industry rather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econd issue is that Chinas SEZs are no longer merely serving as growth bases through the manufacturing industry. Since 2010, Chinas original strengths, such as low labor and land cost, have gradually weakened, and the industry leading economic growth is being converted to knowledge intensive business service(KIBS) industry that creates high added value by accumulating and processing knowledg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China is also expanding the boundaries of SEZs, starting with the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s(經濟技術開發區), and using it as bases for nurturing new industries.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Zs and how effective the SEZs can be for the KIBS industry. In addition, Korea is recently facing the problems of regional imbalance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but it is not easy to respond because the KIBS industrial ecosystem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strong and there are also some obstacles such as regulations. Therefore, Chinas SEZs are considered to be a good reference material for Korea to come up with solution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using workers from metropolitan cities(直轄市) and major SEZs, and examined how positively the introduction of SEZs in Di-level cities(地級市) had positive effect on the KIBS industry. First, in the case of current statu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decreased and the share of the service industry increased in most metropolitan cities and major SEZs except for some cities. It means that Chinas SEZs are no longer used only as export manufacturing bases, and it can be seen that diverse industrial ecosystem is being built through the service industry.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was more radical at the national level of China, and the share of service industry has already surpassed the propor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since 2010. And regression result showed that the more specialized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more negative it had on the accumulation of the KIBS industry; whereas the more specialized the service industry, the more positive effect it had on the accumulation of the KIBS industry. In addition, the designation of SEZs has more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KIBS industry than regional factors such as development investment, transportation, economic level and also indicating that it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KIBS indsutry.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same tax rate is applied in all regions, so the KIBS industry does not easily move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to other regions. Thu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itself, such as building infrastructure and nurturing human resourc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it is more effective to create SEZs to alleviate the outflow of local talent in the region and induce companies and workers to flow in. Second, as KIBS industry a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capital 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y or tourism-related simple service industry that have led Koreas economic growth are sometimes become the main industry in local cities. These industries are likely to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agglomeration of knowledge industries due to resistance to industrial transformation or lack of interconne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f specific spaces are used as bases for fostering new industries by actively utilizing SEZs, more effective response will be possible to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industrial advancement in non-metropolitan areas.
중국의 경제특구는 체제 전환과 경제 성장을 위해서 외국으로부터 부족한 재원 및 노하우를 확보하기 위한 창구로서 그 역할을 해왔다. 중국은 경제특구를 점차 확대하면서 GDP 증가를 비롯한 경제적 성과를 낼 수 있었고 이러한 놀라운 성과에 주목하여 경제특구에 대한 연구들은 최근까지도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제조기업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해왔다는 점에서 두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 번째로 중국은 경제특구를 통해 발전을 하면서 서비스업의 비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어느 정도 경제 성과를 거둔 현재의 경제 특구들은 제조업보다도 오히려 서비스업으로부터 더 많은 영향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는 중국의 경제특구가 더 이상 제조업을 통한 창구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2010년 이후로 중국의 본래 강점이었던 저렴한 노동력과 토지라는 경쟁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산업은 지식을 축적하고 가공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식 기반 서비스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중국 역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경제기술개발구를 시작으로 경제 특구의 외연을 넓혀 신산업 육성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 특구의 변화를 고찰하고 지식 기반 서비스업에 대해서 경제 특구가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의 우리나라는 지역불균형과 산업 전환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데 수도권의 지식 기반 산업 생태계가 강하고 규제와 같은 장애물이 있어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특구는 우리나라가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직할시와 주요 경제특구의 종사자를 활용하여 산업 구조 현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중국의 지급(地級) 이상 도시들을 대상으로 경제특구의 도입 여부가 지식 기반 서비스업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현황 분석의 경우 일부 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직할시와 주요 경제특구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이는 중국의 경제특구가 더 이상 수출 제조 거점으로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하며 서비스업을 통해 더욱 다양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국 전국 단위로 보았을 때는 더욱 급진적이어서 이미 2010년 이후로 서비스업이 제조업의 비중을 추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제조업이 특화될수록 지식 기반 서비스업의 집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서비스업이 특화될수록 지식 기반 서비스업의 집적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특구의 지정 여부는 개발투자액, 교통, 경제 수준과 같은 지역적 요소보다도 지식 기반 서비스업의 성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특구의 주력 산업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점차 변화함에 따라 지식 기반 서비스업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한국은 모든 지역에서 동일한 세율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지식 기반 서비스업이 수도권에서 다른 지역으로 쉽게 이동하려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프라 구축, 교육 기관 설치를 통한 인재 육성과 같은 지역 자체의 경쟁력 강화도 필요하지만, 경제특구 조성을 통해 그 도시만의 차별성을 만들어 지역의 인재 유출을 완화하고 기업이나 종사자들이 유입하게끔 유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지식 기반 산업이 주로 수도권에 집적하면서 지방 도시는 한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어왔던 자본집약형 제조업이나 관광업과 관련된 단순 서비스업이 주력 산업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산업들은 산업 전환에 대한 저항이나 상호 연계 부족으로 지식 산업 집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경제특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특정 공간을 신산업 육성의 거점으로 삼는다면 비수도권의 산업 전환과 산업 고도화에 있어 더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4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