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lass Particip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윤성

Advisor
백순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사-학생 관계수업참여도학업성취도구조방정식척도 타당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2.2. 백순근.
Abstract
교사-학생 관계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신뢰와 사랑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인간관계를 의미하며(백순근, 2000), 학교교육의 성공적 수행에 있어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학생 간 소통의 강화가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교사-학생 관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수업참여도는 수업 상황에서 학생이 수업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를 의미하며, 주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수준에서 파악한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기초학력의 부족 현상이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며 학습결손을 해소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수업참여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 학업 수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인인 교사-학생 관계, 수업참여도, 그리고 교육성과의 객관적 지표 중 하나인 학업성취도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고, 각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연구 또한 다수 이루어졌다. 하지만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학교 수업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교과인 사회과를 통해 확인하는 경험과학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경험과학적 방법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여 앞서 언급한 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수업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중학생의 수업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참여도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존의 측정도구들을 활용하여 교사-학생 관계 척도와 수업참여도 척도를 수정·보완하였다. 교사-학생 관계를 친밀감과 신뢰감, 유능감의 세 영역으로, 수업참여도를 인지적 참여와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교사-학생 관계 척도는 각 하위영역 당 여섯 개, 수업참여도 척도는 다섯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척도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8인의 서면평가를 통해 점검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서 구인타당도를 점검하였으며, Cronbach-α를 확인하여 신뢰도를 점검하였다. 그 결과, 교사-학생 관계 척도 및 수업참여도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S중학교 3학년 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고자 2021년 9월 둘째 주에 교사-학생 관계 검사를 실시하고, 약 한 달이 지난 10월 둘째 주에 수업참여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11월 첫째 주에 대상 학교의 기말 사회과 지필평가를 통해 사회과 학업성취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합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 등을 분석하였고, 성별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교사-학생 관계, 수업참여도, 학업성취도의 구조적인 관계를 점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8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둘째, 중학생의 수업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중학생의 수업참여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35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3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참여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가 .3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총 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가 .66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한편, 이러한 결과들은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한 경우에도 설정하지 않은 경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요컨대,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업참여도는 교사-학생 관계와 학업성취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학생 관계가 중요하며,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발전적인 교사-학생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lass participation. The correlation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he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is examined through a mediating effect: th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class participation?
2. How do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3. How do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4. Does class participation play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research methods took place. Firs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composed of three areas: intimacy, trust, and competence, and class participation was composed of three areas: cognitive participation, affective participation,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and measur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was produced in the form of 6 items for each sub-area and 5 items for class participat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nstruct validity was check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reliability was checked by checking Cronbach-α. As a result, the overal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and class participation scale were found to be good.
For data collection, this test was conducted on 234 third-grade students attending S Middle School in S city. At this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est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21, and the 'class participation' test was conducted in October, about a month later. In November, data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through the final-term evaluation of the schoo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hecked by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SEM analysis,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lass participation was .855,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EM analysis,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on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351 (p<.001).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EM analysis,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363 (p<.001).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lass participation in the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SEM analysis,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for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lass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302 (p<.001). Therefore,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for the total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665 (p<.01). These resul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ase where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not set even when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set.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mediat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important to improve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subject,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8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