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의 반성적 주권자 교육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Focused on the Class Chair Election
학급임원 선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창훈

Advisor
정원규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권자 교육반성적 주권자 교육학급임원 선거주권자 의식정치적 판단력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2.2. 정원규.
Abstract
최근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은 그것이 지향해야 할 목표, 내용, 방법 등에 대한 합의된 관점이 부재함으로 인해 체계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의 과제는 그것과 관련하여 갈등하는 모든 입장을 아우를 수 있는 합의점을 찾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주권자 교육을 실천해야 하는 정당성은 이러한 민주시민교육의 난맥 속에서 발견된다. 우리 헌법이 선포하는 주권자로서의 시민 개념은 학교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모든 입장이 동의할 수 있는 합의 기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주권자 교육은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최소공통요소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체계화 및 활성화를 위한 토대가 된다.
학생들이 민주사회의 주권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반성적 성찰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주권자 시민의 의사결정 행위는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전통적 규칙을 답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시민 간의 대화와 토론에 기초한 고도의 정치적 판단 결과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교에서 주권자 교육을 실천할 때, 학생들의 반성적 성찰 과정은 쉽사리 생략되고 만다. 매 학기 이루어지는 학급 임원선거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학급임원 선거는 학생들에게 투표의 장으로서 기능할 뿐, 공론의 장으로서는 그 역할을 상실한 지 오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학급임원 선거를 중심으로 반성적 주권자 교육을 실천하고, 그것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주권자 의식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래의 두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고, 그에 대한 답을 초등학생들의 주권자 의식 변화를 추론하는 근거로 사용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은 일반적인 학급임원 선거와 반성적 주권자 교육으로서의 학급임원 선거의 차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반성적 주권자 교육으로서의 학급임원 선거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행동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반성적 주권자 교육으로서 학급임원 선거를 실천한 수박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반성적 주권자 교육으로서의 학급임원 선거에 대한 참여 관찰, 연구 참여를 희망한 사례 학급의 담임교사와 열네 명의 초등학생들과의 심층 면담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두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질문과 관련하여, 초등학생들은 선거 참여의 성격과 투표의 기준에 따라 두 가지 학급임원 선거를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일반적인 학급임원 선거에서는 순응적·소극적인 참여를 하였고, 실질적인 기준 없이 인기 등에 의해 투표를 했었던 반면, 반성적 주권자 교육으로서의 학급임원 선거에서는 주체적·적극적인 참여를 하였고, 학급임원은 특권의식이 없어야 하며 동료 학생들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학급의 반성적 성찰 결과를 투표의 기준으로 하였다고 밝혔다.
그리고 두 번째 연구 질문과 관련하여, 초등학생들은 학급임원 선거에서의 반성적 성찰 결과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반성적 성찰 과정에서 경험한 경청과 공감을 바탕으로 상대방의 존재를 긍정하는 상호존중을 실천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학급임원은 특권의식을 버리고 봉사의 일을 자발적으로 하며, 전제적이고 통제적인 말하기 방식 대신 권유하고 부탁하는 말하기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일반 학생들은 학급임원에 대한 반발적 태도를 버리고 그들을 더욱 공적인 존재로 인정하여 학급임원들의 요청을 더욱 잘 수용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반성적 주권자 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주권자 의식이 긍정적인 차원에서 변화되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학급의 반성적 성찰을 통해 공동의 의사결정을 내리고 그것을 실제로 실천해봄으로써, 초등학생들은 인지적 측면에서 스스로를 주권자로 자각할 수 있었을 것이며, 정의적 측면에서 정치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반성적 주권자 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이 보인 행동적 변화는 자신과 상대방 모두를 주권자로 인정하는 상호존중의 태도에 기초하고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실천적 맥락에서는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주권자 교육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맥락에서는 반성적 주권자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주체성을 인정하는 반성적 주권자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고, 반성적 주권자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민주시민교육과 주권자 교육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논의의 장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is emerging. However, the current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systematically activated due to the lack of an agreed point of view on the goal, content, and method it should aim fo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task for vitaliz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is to find an agreement that can encompass all conflicting positions in relation to it.
The justification for practicing sovereign education in schools is found in the context of thi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citizenship as a sovereign proclaimed by our Constitution can become a consensus mechanism that all positions related to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an agree. In other words, sovereign education is the least common element of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serves as the basis for systematization and vitalization of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grow into sovereigns in a democratic societ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capacity for reflection. This is because the decision-making actions of sovereign citizens cannot be made in a sloppy fashion or follow traditional rules, but must be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gh-level political judgment based on discussion among citizens. However, when sovereign education is practiced in schools, the reflective process of students is easily omitted. A typical example is the election of class chairs held every semester. Class chair elections function only as a forum for students to vote, but have long since lost their role as a forum for public debate.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practiced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centering on the election of class chairs,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he sovereignty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it. To this end, this study posed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and the answers were used as the basis for inferring changes in the sovereignty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class chair election and class chair election as a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Second, how about the behavior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chair election as a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argeting a class of 6th graders of Watermelon Elementary School who practiced class chair election as a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bservation of participation in class chair election as a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omeroom teacher and 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found for th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ith respect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two types of class chair election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election and the criteria for v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ssively participated in the ordinary class chair election and voted based on popularity without any practical criteria, wherea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chair election as a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and voted on the results of reflection in the class.
An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to regulate their ow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flection in the class chair election, and based on the listening and empathy experienced during the reflective process, they could mutual respect that affirms the existence of other person. Specifically, class chairs abandoned their sense of privilege and volunteered to do volunteer work, and instead of tyrannical and controlled speaking, they began to use the solicitation and request method. Meanwhile, ordinary students gave up their resistant attitude toward class chairs and recognized them as more public beings, so they could better accommodate class chairs' requests.
Through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have changed their sovereignty consciousness in a positive way. This is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able to recognize themselves as sovereigns in the cognitive aspect and improve their political efficacy in the affective aspect through the experience of making a common decision through reflection in the class and actually putting it into practice. In addition, it is because the behavioral changes sho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are believed to be based on an attitude of mutual respect that recognizes both themselves and others as sovereig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the sovereign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schools without reflective process in a practical context, and in that it enables a follow-up study on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in an academic contex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that recognizes students' subjectivity will be further activated and follow-up studies on reflective sovereign education will be continuously accumulated so as to provide a forum for diverse and rich discussion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sovereign educ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