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 크리에이터 패션 UGC가 중국 소비자의 소비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Korean Creator Fashion UGC on Chinese Consumers Consumer Value Percep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연

Advisor
추호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UGC소비 가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2.2. 추호정.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Web 2.0 and the spread of social media, user-generated content (UGC) has already become an important content production method for social media platform s. Instead of the UGC platform commonly used worldwide, Chi na mainly relies on local platforms, where the platform called Little Red Book is the representative one – with many foreign creators working on i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Chinese consumers p erceived consumption value for fashion products from UGC by
Korean creators on a Chinese platform; and to further ver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nsumption values according t o consumers' fashion confid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 80
ic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to find out the consumption value perceived by Chinese people who have previously consumed contents by Korean creator UGC on a Chinese platform. Second, to find out how social-oriented values and self-oriented values appear in accordance to fashion confidence in the value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from Korean creators UGC. Thir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o test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50 women aged 18 years or older who had watched UGC
made by Korean creators in Little Red Book. All 323 respons 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6.0 and Amos2 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hinese consumers perceived the consumption value model adopted in this study, and it was verified that they also perceived each value differently.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oriented values and self-oriented values perceived in accordance to consumer fashion confidence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fashion confidence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consumption value. It was also verified that social-oriented values and self-oriented values were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ashion confidence level. In addition, the group with high fashion confidence, as well as the group with low fashion confidence showed greater perceived self- oriented values than perceived social-oriented values. Third,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social-oriented consumption value and the perceived self- oriented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did show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elf-oriented and social-oriented values according to the average monthly income. Moreover, a difference in social- oriented consumption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occupation was notice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oriented and social-oriented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age.
This study describes the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f Chinese consumers for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 difference in consumption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consumer's individual attributes was also explor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value structure of Chinese consumers for Korean fashion products is the same as the eight value systems proposed by Holbrook (1999). Through this, for Korean creators it will be helpful to create fashion-related contents. Korean fashion-related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the Chinese market can benefit from this, as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using new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methods.
Web 2.0의 발전과 소셜 미디어의 보급으로 사용자 생산 콘텐츠 (UGC)는 이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중요한 콘텐츠 생산 방식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세계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UGC 플랫폼이 아닌 로컬 플랫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샤오홍슈라는 플랫폼이 대표적이고, 이 플랫폼에서 외국인 크리에이터도 다수 활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플랫폼에서 한국인 크리에이터가 UGC에서 나온 패션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 지각된 소비 가치를 연구하고 소비자의 패션 자신감,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소비 가치 지각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플랫폼에서 한국인 크리에이터 UGC을 경험한 중국 소비자가 지각하는 소비 가치를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중국 소비자가 한국인 크리에이터 UGC에서 나온 패션제품을 보고 그에 대해 어떤 가치를 느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국 소비자가 한국인 크리에이터 UGC에서 지각하는 가치에 있어 사회 지향적 가치와 자아 지향적 가치가 패션 자신감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지각된 소비 가치 차이를 분석한다

연구 문제 검정을 위해 샤오홍슈에서 한국인 크리에이터 UGC 시청한 경험이 있는 만 18 세 이상 여성 350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323명 의 응답을 SPSS 26.0 와 Amos26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적식 모형 분석 결과, 중국소비자는 한국인 크리에이터 UGC에서 본 연구에서 채택한 소비 가치 모델 (효율성, 우수성, 아름다움, 즐거움, 지위, 영성, 윤리, 부러움)을 지각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가치를 또한 다르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소비자 패션 자신감에 따라 지각된 사회 지향적 가치와 자아 지향적 가치 차이에 대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패션 자신감이 높을수록 소비 가치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패션 자신감 수준에 따라 사회 지향적 가치와 자아 지향적 가치를 다르게 지각하는 것을 또한 검증하였다. 또한 패션 자신감이 높은 집단 뿐만 아니라 낮은 집단도 지각된 사회 지향적 가치보다 자아 지향적 가치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나이, 월 평균 수입, 직업)에 따른 지각된 사회 지향적 소비 가치와 자이 지향적 소비 가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월 평균 수입에 따른 자아 지향적과 사회 지향적 가치 지각에 차이 있다고 확인하였으며, 직업에 따른 사회 지향적 소비 가치 지각만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나이에 따른 자아 지향적과 사회 지향적 가치 지각에 차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지각된 소비 가치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소비자 개인적 속성에 따른 소비 가치 지각의 차이에 대해서도 탐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에서 유명한 UGC 플랫폼인 샤오홍슈를 중심으로 소비자가 패션 콘텐츠 맥락의 UGC에서 지각된 소비 가치를 살펴보면서 소비자 개인 속성에 따른 소비 가치 지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지각하는 가치구조가 Holbrook(1999) 이 제안한 8가지의 가치 체계와 동일함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소비 가치 연구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 크리에이터가 직접 생산한 패션 관련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패션 관련 기업에게 새로운 마케팅 홍보 방식을 사용하는 데에 실무적 의미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7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