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동향 분석 연구: 초등학교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Trends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Focused on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of Elementary Schoo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천주영; 이경건; 홍훈기

Issue Date
2021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pp.915-933
Abstract
목적 2022 개정교육과정 추진 방향의 하나로 지역 분권화⋅자율화가 제시된 상황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한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동향을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과학과 교육과정의 맞춤화⋅다양화를 분석하여 과학 교과의 지평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자치에 대한 요구가 높은 현시점에서 미래형 교육과정 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지침) 148건을 수집하여, 그 가운데 과학과 교육 중점에관한 갱신이 이루어진 97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방법으로서는 지침 내용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다양성 측면에서의분석을 병행하였다. 시간적 측면에서는 국가 교육과정 시기별 지침의 과학과 교육 중점을 분석하여 각 교육과정 시기별 특징을 기술하였고, 공간적 측면에서는 지역별 지침에서 나타나는 특색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 3인이 지역별 특성을 코딩하고, 합의에 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시간적 측면 분석은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가 시간의 큰 흐름에서 그 양과 질의 측면에서 점차 내실화되는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공간적 측면에서는 지역별 자연 환경 및 과학관 등의 비형식 과학교육 요소가 초등 과학 교육과정 지역화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을 아울러 전반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의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가 하면, 특정 지역 교육청에서 나타나는 과학과 교육 중점의 내용이 타 지역 교육청의 문서로 확산되는경향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시⋅도 교육과정에 중심화와 탈중심화라는 상반된 영향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될 경우에 시⋅도 단위 지침 구성의 어려움이예상되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를 대비하는 현 상황에서 향후 교육과정 지역화를 위한 정책은 지침 구성의 자율성을 일관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이라는 개별 교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그리고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통시적인 관점을 취하였다는 점 등에서 고유한 독창성과 의의를 지닌다.
ISSN
1598-2106
URI
https://hdl.handle.net/10371/186037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21.17.91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