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방적 주체의 경계만들기: 대만과 한국의 미시적 경계작업을 사례로 : Local Practices of Borderworks in the Border Regions of Taiwan and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배균-
dc.contributor.author쉬진위-
dc.contributor.author신진숙-
dc.date.accessioned2022-11-23T00:48:07Z-
dc.date.available2022-11-23T00:48:07Z-
dc.date.created2022-09-07-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citation공간과 사회, Vol.31 No.3, pp.163-197-
dc.identifier.issn1225-670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723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경계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국경과 접경을 국가 영토성의 단순한 표현으로 보기를 거부하고, 국경을 통해 살아가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역동적 실천들 속에서 만들어지는 사회-공간적 구성물이라 바라본다. 이런 관점을 더욱 심화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접경지역에서 살아온 다양한 지방적 주체들의 일상적 삶과 우발적 실천들이 경계의 형성/해체/재구성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려 한다. 특히, 지방적 주체의 경계만들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① 지방적 차원의 우발적 사건들이 국가 공간과 영토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② 국경과 영토에 대한 국가주의적 재현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지방적 주체들의 비재현적 수행들이 국경/접경의 사회-문화적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대만과 한국의 접경지역을 사례로 살펴볼 것이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한국공간환경학회-
dc.title지방적 주체의 경계만들기: 대만과 한국의 미시적 경계작업을 사례로-
dc.title.alternativeLocal Practices of Borderworks in the Border Regions of Taiwan and Korea-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19097/kaser.2021.31.3.163-
dc.citation.journaltitle공간과 사회-
dc.citation.endpage197-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63-
dc.citation.volume31-
dc.identifier.kciidART002766180-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배균-
dc.description.journalClass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