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유형 PM 안전을 위한 주행환경의 위험도 평가 및 중요도 분석 연구 : A study on Risk Assessment and Importance Analysis of Driving Environment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Safe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민경

Advisor
권영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유형PMPM교통사고주행환경위험도평가중요도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2022. 8. 권영상.
Abstract
Shared personal mobility (PM) is a transportation that rents personal transportation such as bicycles and kickboards through a sharing platform. In the city, multiple users rent and share one PM every day, which means that each company that provides the PM platform can easily access and rent various types of PM. This characteristic of shared PM has been activated mainly by users who have limited access as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and subways,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optimal transportation of the first mile for public transportation tranfers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last mile from the transfer station to the destination. Thanks to these advantage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optimal means of transiting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city and moving medium and short-distances in the city. As a result, the use of shared PMs has exploded, and related complaints and traffic accidents are also doubling every year. This is because the driving environment to accommodate the shared PM has not been established compared to the rapidly increasing usage in the city. As the city failed to respond promptly, the negative perception of urban residents spread faster tha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Recognizing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orvement directions by quantitatively evaluate the PM driving environment that poses a threat not only to shared PM users, but also to non-users,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The import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isk of the insufficient driving environment in the city and to derive prioritie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nd to consider the urgenc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actors for each risk section.
First,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PM driving environment, the study site was selected as Seoul.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Seoul,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and traffic congestion is raised as a major problem in the city, and at the same time, a number of shared PM companies are providing services, and this is because it is a city in which shared PMs are actively used.
This study analyzed PM traffic accidents for three years from 2019 to 2021 in Seoul. In order to select a dangerous section based on PM traffic accidents for the past three years, a risk evalu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EPDO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assessment, which applies weigh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As a result of the risk evaluation, three top risk sections were selected, and traffic accidents occurring in the risk sections were analyzed by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driv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three dangerous sections were located in Gangnam-gu, and had a regional characteristic of being a 5-lane or more street where a subway station was located. And also it was found that the bicycle road, which is the driving road, was not installed or there was an uninstalled section in the intersection section. If there is no bicycle road, it is necessary to pass on the car road, but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for PMs to drive safely due to the traffic environment with frequent bus stops and vehicle traffic.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afety evaluation factors derived for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driving environment were insufficient and not established. All elements must be improved to build a safe driving environment, but in particular, realistic constraints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s require huge budgets, so decision-making among citizens is essential.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individual qualitative judgments that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factors rather than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factors on safety. Priorit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derived from pairwise comparison between elements through questionnaire rather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The derived evaluation factors are divided into 15 elements, which are broadly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driveability, facility safety) but also the non-physical environment (operational manageability, system and safety education).
For the importance analysis, the ANP methodology, which is a network analytical decision-making method, was applied. A network diagram was derived by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and the collected survey results were applied by schematizing the network diagram in software super-decision (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rived that the importa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shared PM was used. Comparing the priorities of each evalu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he four evaluation categories, which are the upper layers of the element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used or not.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overwhelmingly more important than the non-physical environment. Drivability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facility safety, operational manageability, and system and safety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ach evaluation factor differ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ing the shared PM. It was found that driving continuity, Sidewalk and driveway separ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typic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use, it was found that PM users gave greater priority to resolution road gap', traffic information sign and road marking', and obstacle management' compared to non-users. On the other hand, for non-PM users, bicycle lane width', strengthening enforcement' and User safety education'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users. By synthesizing the above importance analysis, the urgency of the factors to be applied in advance for improvement was evaluated along with the degree of construc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for each risk s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iority deduction resul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importance evaluation for shared PMs. This study differs in the priority of evaluation factor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use, including non-us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olicy preparation and introduction evaluation in a safe driving environment in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at an inflection point in the activation shared PM use due to accidents that occur frequently at the same time as the use of shared PMs has become common.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be used data for decision-making between users and non-users. Shared PM also serves as a first mile and last mile transportation, serving as a convenient means of transportation for city residents in short and medium distances. Finally, if a safe shared pm driv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it will contribute to the connection and symbiosis with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on the road. In addition, the right to pass the shared pm is guaranteed,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further contribute to the movement of urban residents by establishing itself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PM)은 자전거, 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교통수단을 공유플랫폼을 통해 대여하여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다. 도시 내에서 개인형 교통수단 한 대를 하루에도 여러 이용자가 대여하며 공유하게 되고, 이는 한 사람이 PM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별로 다양한 종류의 개인형 교통수단을 도심 속에서 쉽게 접함과 동시에 대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공유형 모빌리티의 이러한 특징은 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으로서 접근이 한계가 있는 이용자 중심으로 활성화되었으며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환승의 first mile과 환승역에서 목적지까지의 last mile의 최적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장점에 힘입어 도시 내 대중교통 환승 및 중·단거리의 이동에 최적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공유형 PM의 이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관련 민원 및 교통사고 또한 매년 배로 증가하고 있다. 도시 내 급증하는 이용량에 비해 공유형 PM을 수용할 주행환경은 구축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도시가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지자체의 인프라 개선보다 도시민들의 부정적 인식이 더욱 빠르게 확산하면서 현재 도시의 주요 문제로 대두되어 이용 활성화에 있어서 한계에 직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선 위와 같은 문제를 인식하여 공유형 PM 이용자뿐만 아니라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 모두에게 위협을 일으키는 PM 주행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정책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시 내 미비한 주행환경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환경개선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요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환경개선에 대한 제안과 동시에 위험 구간별 환경개선 요소에 따른 시급성을 고찰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로는 PM 주행환경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서울시로 선정하였다. 서울의 경우 인구가 집중되어 교통혼잡이 도시의 주요 문제로 제기됨과 동시에 다수의 공유형 PM 업체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공유형 PM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PM의 주행환경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서울시의 최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의 PM 교통사고를 분석하였다. 최근 3년간 PM 교통사고를 기반으로 위험 구간을 선정하기 위해 사고심각도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는 EPDO (대물피해환산법) 평가를 기반으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험도 평가 결과 상위 위험 구간 3곳을 선정하였으며, 위험 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사고 특성 및 주행환경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위험 구간 3곳 모두 강남구에 위치하였으며 지하철역이 위치한 5차선 이상의 대로라는 공간적 특징을 가졌다. 또한, 주행환경 측면에선 공유형 PM의 주행 도로인 자전거도로가 미설치 되어있거나 교차로 구간에 미설치 구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도로가 없는 경우 차도로 통행하여야 하지만 버스정류장 및 차량 통행이 잦은 교통환경에 따라 PM의 안전한 주행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행환경의 중요도 분석을 위해 도출한 안전 평가 요소 중 대부분이 미흡하며 구축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주행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모든 요소가 개선되어야 하지만 특히나 현실적 제약조건 및 인프라의 개선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됨에 따라 시민 간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요소가 안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관계보다 이용 경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개인별 정성적인 판단에 대해 주목하였다. 정량적인 평가보다 설문을 통해 요소 간 쌍대비교를 통해 도출되는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도출된 평가 요소는 15가지로 크게 4가지 항목으로 분류되며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비물리적 환경 또한 고려하였다.
중요도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인 ANP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요소 간 상관관계를 평가하여 주행환경 평가 요소 간의 구조도를 도출하였으며, 구조도를 소프트웨어 super-decision(2.1)에서 도식화하여 취합된 설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형 PM 이용 여부에 따라 중요도가 상이 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중요도 분석에 따른 평가 요소별 우선순위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요소의 상위계층인 4가지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이용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이 비물리적 환경보다 압도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성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시설 안전성, 운영관리성, 제도 및 안전교육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보였다. 평가 요소별로 공유형 PM 이용 경험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이용 경험 여부와 무관하게 주행 연속성 및 인도 및 차도분리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이용 경험에 따라 대표적으로 상이한 것들을 살펴보면 공유형 PM 이용자는 도로 단차 해소 및 교통안내표지 및 노면표시, 장애물 관리가 비이용자에 비해 더 큰 우선순위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 이용자의 경우 자전거도로 폭원 및 단속 강화 및 이용자 안전교육 실시가 이용자보다 더욱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 중요도 분석을 종합하여 우선순위 도출 결과에 따라 위험 구간 사례별로 주행환경 구축 정도와 함께 개선을 위해 선행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요소의 시급성을 평가하였다.
실제 ANP를 적용하여 교통환경을 평가한 선행연구는 다수 있으나, 본 연구는 공유형 PM을 대상으로 한 중요도 평가로 의미가 있다. 또한 PM 주행환경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주행환경이 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특히 이용자를 중심으로 평가한 것이 아닌 비 이용자까지 포함하여 이용 경험 여부에 따라 평가 요소의 우선순위의 상이함을 본 것에 관해 본 연구는 차별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최근 공유형 PM 이용이 보편화됨과 동시에 빈번히 발생하는 사고로 도시 내 이용 활성화에 변곡점에 놓여있는 현 상황에서 안전한 주행환경에 정책 마련 및 도입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이용자 및 비 이용자 간의 의사결정에 더욱 근거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유형 PM 또한 first mile과 last mile의 최적 교통수단으로서 도시민들의 중·단거리 이동에 편리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안전한 주행환경이 구축된다면 도로에 다양한 교통수단과의 연계 및 공생하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 내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여 도시민의 이동에 더욱이 이바지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5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2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