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essing the Impact of COVID-19 on Disparities in Food Accessibility using Spatial Models : 코로나19가 식품접근성 격차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 뉴욕시 중심으로
The Case of New York C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승은

Advisor
Hong Sok(Brian) Kim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FoodaccessibilityCOVID-19localspillovereffect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지역정보학전공), 2022. 8. Hong Sok(Brian) Kim.
Abstract
Differential access to healthy food has long been a critical public health issue as it perpetuates health disparities among people of differen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equities in food access have been further exacerbated by COVID-19, which not only disrupted food production at global levels but also restricted access to food retail venues at neighborhood levels. Vulnerabilities in the food system that have been exposed by COVID-19 highlights a need for equitable and resilient food systems that can withstand shocks.
To inform equitable and resilient food systems planning polici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accessibility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in New York City,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ir association before and during the pandemic, in years 2019 and 2020. Based on 5,712 census block groups, the study first measured food accessibility of each block group by the count of accessible supermarkets and large grocery stores within its 1km-network service area. Then, the food accessibility measure was modeled with socioeconomic and built environment factors using spatial econometric model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o appropriately adjust for spatial effects that are present in the food accessibility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regression models that do not account for spatial effects in food accessibility could over- or underestimate its association with racial/ethnic and income variables. In detail, the results showed mostly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food accessibility and the percentage of Black or African Americans and racial/ethnic diversity, whereas a positive association was found with the percentage of Hispanic or Latinx origin population. Its association with income became negative in 2020, which diverges from past findings on food accessibility and income levels.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 corroborated findings on local spillover effects that may have been in play.
Conclusively,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emphasize the need to consider spatial effects in studies of food accessibility but also imply that improving network connectivity and promotion of smaller scale food stores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equitable and resilient food systems policy.
불평등한 식품접근성은 사회경제적 특성이 다른 개인 간의 건강격차를 고착시킬수 있어 공중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코로나19는 식품 공급을 방해하고, 인접한 식료품점으로의 접근을 제한하여 지역 단위의 식품환경 수준을 저해아였다. 코로나19로 드러난 식품체계의 취약성은 식품체계의 평등성 및 회복탄력성 보완을 위한 정책 수립의 당위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미국 뉴욕시 사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식품접근성과 지역특성 간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식품체계의 평등성 및 탄력성 강화 방안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712개의 미국 센서스 블록그룹을(census block group) 대상으로 도로 네트워크 기반 1km 반경 내 위치한 대형 식료품점의 수를 활용하여 각 블록그룹의 식품접근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분석자료에 존재하는 공간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공간계량모형 및 지리가중회기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식품접근성과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조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식품접근성의 공간효과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인종 집단 및 소득 변수와의 연관성이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변수별 식품접근성과의 관계에 있어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비율과 인종 다양성은 음의 관계를, 히스패닉계 또는 라틴아메리카 출신 인구 비율은 양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소득 변수의 경우 2020년 팬데믹 동안 음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접근성과 소득 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 차이점을 보였다. 또 공간계량모형을 통해 확인된 국지적 파급효과는, 지역특성 간의 관계과 블록그룹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난 지리가중회기모형 결과를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품접근성에 대한 연구에서 공간효과를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연결성 개선과 소규모 식료품점 활성화가 평등하고 회복탄력적인 식품체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