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야금산조 강산제 연구 : A Study of Gangsanje in Gayageum Sanj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언

Advisor
이지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야금산조강산제악조음조직시김새선율진행리듬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2. 8. 이지영.
Abstract
In gayageum sanjo, gangsanje appears in the eight schools–Kim Byeongho, Kim Jukpa, Kang Taehong, Kim Yoondeok, Seo Gongcheol, Seong Geumyeon, Shin Gwanyong, and Jeong Namhui–and is used in the following movements: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and danmori.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ngsanje by transcribing gangsanje recordings of the above mentioned gayageum sanjo and analyzing its musical elements, including tonal structure, sigimsae, melodic contour, and rhythm. The results are following.

Gangsanje's tonal structure and sigimsae are multifaceted. For example, it uses sigimsae whose pattern is in-between pyeongjo (or gyeongdeureum) and gyemyeonjo on pyeongjos tonal structure. Or it uses pyeongjo's sigimsae on gyemyeonjo tonal structure. These characteristics are often found in jungmori and jungjungmori. However, on the other hand, in jajinmori and danmori, the use of sigimsae, which distinguishes gangsanje from pyeongjo and gyemyeonjo, decreases. Instead, the tonic shifts from giboncheong (g′) to higher notes. In other words, the tonic shifts to ujocheong (a′) in jajinmori and to eotcheong (d″) in danmori, and this is the unique feature that only appears in jajinmori and danmori of gangsanje.

There are five types of melodic contour in gangsanje based on its direction and patterns. In addition, there are melodic patterns that are comprised of particular notes.

In particular, the five types of melodic contour appear in jungmori. Among them, leap movements and movements in a higher pitch range appear most frequently. The rest of the movement types–staying the same, descending, and repeating–are distinguished from pyeongjo (or gyeongdeureum) and gyemyeonjo.

In jungjungmori and jajinmori, certain melodic patterns are used in common. In jungjungmori gangsanje, the e″-c″-d″ melodic pattern, which is the characteristic melodic pattern of pyeongjo, is used in all schools. In jajinmori gangsanje, the g′-e′-d′-a′-e′-d′ melodic pattern is used which can always be found in-between the tonal structures of pyeongjo and ujocheong gyemyeonjo. Moreover, the a′-c″-e″-c″-a′ melodic pattern is used in ujocheong gyemyeonjo, and it always appears at the beginning of ujocheong gyemyeonjo of all schools.
The characteristic rhythms of gangsanje are shaped via playing the same note repeatedly using a double striking technique (yeontwinggim). The three types of patterns–, , and –are used in jungmori and jungjungmori. In particular, in jungmori these patterns only appear in gangsanje. As music gets faster in jajinmori and danmori, these patterns become , , and .

The most salient musical feature that appears in all movements of gayageum sanjos gangsanje is higher notes. These higher notes appear when a melody develops in the highest pitch range (octave 3) and when the tonic shifts to the higher note. In short, although patterns may differ in each movement, higher no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gangsanje.

To discuss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in jungmori and jungjungmori, a combination of tonal structures and sigimsae create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gangsanje. In jajinmori, a particular melodic pattern is used at the beginning of ujocheong gyemyeonjo. As for rhythm, rhythmic patterns repeating the same note using the double striking technique are frequently used throughout all movements.

By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gayageum sanjos gangsanj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deeper understanding of gangsanje.
가야금산조에서 강산제는 김병호류, 김죽파류, 강태홍류, 김윤덕류, 서공철류, 성금연류, 신관용류, 정남희류의 여덟 유파에 나타나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단모리의 악장에서 쓰인다. 본 연구는 가야금산조 전 유파에 분포하고 있는 강산제의 음원을 채보하여, 음조직, 시김새, 선율진행, 리듬 등의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강산제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강산제의 음조직과 시김새는 평조의 음조직에 평조(또는 경드름)와 계면조의 중간 형태의 시김새를 사용하거나 계면조의 음조직에 평조의 시김새를 사용하는 등 복합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는 특히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자진모리와 단모리에서는 평조 및 계면조와 구별되는 시김새의 사용이 줄어든 반면 중심음이 기본청(g′)에서 높은음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즉, 자진모리에서는 우조청(a′)으로, 단모리에서는 엇청(d″)으로 중심음이 높아졌는데, 이는 자진모리와 단모리의 강산제에만 나타나는 유일한 특징이다.

강산제의 선율진행은 선율이 진행하는 방향과 패턴에 따라 다섯 가지의 유형이 나타나며, 그 외에 특정한 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선율형이 나타났다.
다섯 가지 선율진행은 특히 중모리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그중에서 도약진행과 고음진행이 가장 두드러지게 출현하였다. 그 외에 동음진행, 하행진행, 반복진행은 평조(또는 경드름) 및 계면조와 구별되는 형태를 띠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중중모리와 자진모리에서는 공통적으로 특정 선율형이 출현하였다. 중중모리 강산제에는 모든 유파에서 e″-c″-d″ 선율형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평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선율형이다. 자진모리 강산제에는 g′-e′-d′-a′-e′-d′ 선율형이 나타나며, 이는 모든 유파의 평조 음조직과 우조청 계면조 음조직 사이에 반드시 나타나는 경과구이다. 또한, a′-c″-e″-c″-a′ 선율형은 우조청 계면조 음조직에서 나타나며, 이는 모든 유파의 우조청 계면조의 시작에서 반드시 출현한다.

강산제의 특징적인 리듬은 연튕김 주법을 활용하여 동음을 반복하며 형성된다. 이는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 , , 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중모리의 경우 강산제에만 특징적으로 출현한다. 이와 같은 리듬형은 악장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자진모리와 단모리에서는 , , 의 형태로 쓰인다.

요컨대 가야금산조 강산제의 전 악장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지는 음악적 특징은 높은음이라 할 수 있다. 이 높은음은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 선율이 제3옥타브인 고음역에서 진행하는 형태로 나타나며, 자진모리와 단모리에서는 중심음이 기본청보다 높은음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처럼 악장에 따라 형태는 다르지만, 강산제에서 높은음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악장별로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면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는 음조직과 시김새의 여러 가지 조합을 통하여 강산제의 복합적인 악조를 형성하였다. 자진모리에서는 우조청 계면조의 전반부에 공통적으로 전형적인 선율형이 나타났다. 리듬의 경우 강산제의 전 악장에서 연튕김 주법을 활용하여 동음을 반복하는 리듬형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야금산조 강산제의 음악적 특징을 밝힘으로써 강산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30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6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