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널드 리드 워맥(Donald Reid Womack) 작곡 <한줌 봄바람에 쌓인 눈이 녹듯...(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 연구 : An Analysis of , Composed by Donald Reid Womack

Authors

고수정

Advisor
노은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널드워맥해금국악산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2. 8. 노은아.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Donald Reid Womack's (1966~) . Among the works of Donald Womack, 34 works are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is his most recent work for the haegeum. Being inspired by hansi(traditional Korean poetry), he actively adopted sanjo which i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genres. Through the analysis of , this thesis discus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s well as the elements of program music, and the use of individual instruments. The key findings are presented below.
First, is for a trio of the haegeum, 12-stringed gayageum, and janggu. It is a single movement work and the composer indicated 18 rehearsal marks including Intro. A motif from its main melody was extrac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Intro and [A]~[I].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motif (a) develops through ascending half steps by using nonghyeon. The motif (b) emphasizes each note without using sigimsae. Lastly, the motif (c) applies bending notes adopted from sanjo. Although each motif has different patterns, the present study analysis demonstrates their individual relevance and how music develops through alternation, sequence, and repetition.
Second, the three instruments - haegeum, 12-stringed gayageum, and janggu - play various roles in different sections,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se instruments by us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e haegeum plays a main melody, starting a new phrase utilizing the motif. The gayageum accompanies the haegeum's melody by playing melodies and rhythms alternatively in different sections. At the same time, the gayageum repeatedly plays motif similar to the haegeum, and while adding percussive effects by playing notes within a limited pitch range. As a percussive instrument, the janggu articulates rhythmic patterns throughout the piece and provides accents. Also, it suggests patterns of sections and gives a signal to melodic instruments before a chage in section by playing short rhythmic patterns.
Third, I also investigated how the piece represents images of nature-the theme implied in the title of the piece. The haegeum represents changes in nature such as ice and water by using nonghyeon and daruchigi. Following directions, such as "scratching strings with fingernails" and "striking the string with a geomungo suldae," the gayageum also represents the sound of nature. Similar to the gayageum, the janggu represents the sound of wind by using acoustic materials.
As discussed above, inspired by hansi, the composer created the piece by actively adopting Korean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Especially, he utilized motives he borrowed from sanjo, one of the traditional genres,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piece. Also, he doesnt only exp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raditional instruments while the three instruments play different roles in representing Korean sentiments and nature, but also demonstrates the unique timbre and endless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by using traditional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deepen the understanding of Donald Reid Womack's works and the style of haegeum music and that continuous efforts will be in creating music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본 연구는 도널드 워맥(Donald Womack(1966~)의 (2021)의 작품을 분석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도널드 워맥의 작품 중 한국 전통악기가 편성된 작품은 총 34곡으로 은 그의 해금 창작곡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곡이며, 한시에서 영감을 받아 한국 전통음악 장르 중 하나인 산조를 적극 차용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을 분석하여 작품에 활용된 한국 음악적 요소, 표제 음악적 성격, 각 악기의 활용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 해금, 12현 가야금, 장구로 편성된 삼중주 곡이다. 본 곡은 단악장 형식의 곡으로, Intro를 포함하여 작곡가가 제시한 18개의 리허설 마크로 구분되어있다. 필자는 이를 주제 선율에 따라 모티브를 발췌한 후 모티브 (a), (b), (c)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었으며, 그 활용 방식에 따라 Intro부터 [A]~[I]까지 총 10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티브(a)는 농현을 통해 반음 상행 진행 하는 형태, 모티브(b)는 각각의 음고를 시김새 없이 강조하는 형태, 모티브(c)는 산조에서 차용한 꺾는 음의 형태로 각각의 모티브는 형태는 다르지만 서로의 연관성으로 악곡 내에서 모티브의 변형, 제시, 반복 등을 통해 악곡이 전개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해금과 12현 가야금, 장구의 세 악기는 단락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여 전통적인 요소를 통한 악기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해금은 주로 모티브를 활용하여 프레이즈를 시작하고 주도적으로 선율을 전개하는 역할을 하고, 가야금은 단락에 따라 선율과 리듬의 역할을 번갈아가며 해금 선율을 뒷받침 하는 양상을 보인다. 동시에 해금 선율과 마찬가지로 모티브를 활용한 선율을 반복하며, 제한된 음고로 타악기적 역할을 수행한다. 장구는 타악기로서 악곡 전반에 걸쳐 박절감을 주고, 강세를 짚어 리듬적으로 중심을 잡아준다. 또한, 지속적으로 단락의 패턴을 제시하며, 단락 변화 시 짧은 시가의 리듬으로 선율악기로 하여금 하나의 신호작용을 하고 있다.
셋째, 작품 제목에 내포된 본 곡의 주제, 즉 자연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을 살핀 결과, 해금은 고정된 음고에서 농현, 다루치기 등을 활용하며 얼음, 물 등의 자연적 변화를 형상화한다. 가야금은손톱으로 줄을 긁는다, 거문고 술대로 줄을 친다와 같은 제시어를 통해 특수주법으로 자연의 소리를 구현하며, 장구는 가야금과 마찬가지로 음향적 소재를 이용하여 바람소리를 형상화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곡가는 한시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음악의 요소들을 적극 활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으며, 전통음악 양식 중 산조에서 발췌한 모티브를 여러 방식으로 악곡 전체에 활용하였다. 또한, 세 악기가 각각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적 정서와 자연을 형상화 하는 것으로 악기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함은 물론, 전통적인 주법을 사용하여 한국 전통악기의 고유한 음색과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도널드 워맥(Donald Womack)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해금 창작곡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나아가 한국 전통악기를 사용한 창작활동이 더욱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길 바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3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