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베트남전쟁에 관한 소설적 형상화 연구 : A study on novelistic formation about The Vietnam wa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히엔

Advisor
김종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베트남전쟁소설소설적형상화국가와개인종군기베트남전쟁의후유증베트남전쟁의본질개인의희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 8. 김종욱.
Abstract
베트남전쟁에 관한 소설적 형상화 연구

초록

본고는 베트남전쟁 종군기와 한국소설을 대상으로 베트남전쟁에 대한 소설적 형상화를 연구했다. 1960년대부터 베트남 전쟁에 관한 작품들이 창작되기 시작했는데 시대의 변화와 각 작가의 취향에 따라 이 전쟁에 대한 인식과 창작의 주안점도 많이 변했다. 본고는 1960 년대부터 현재까지 각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을 선정해서 고찰했는데 모든 작품이 동일한 베트남전쟁을 소재로 창작되었지만 다각다면적인 양상으로 그려졌다. 그런데 모든 작품을 묶을 수 있는 공통점이 있는데 그것은 등장인물들을 국가와 개인이 밀접한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는 베트남전쟁에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정부가 국민(개인)들에게 조국을 위해 희생을 요구했고 각 국민 개인들이 조국을 위해 전쟁에 참전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 개인의 입장으로 생각해보면 조국을 위한 것은 유일한 이유가 아닐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 요구는 죽음과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어떤 추상적 요인 한가지만으로 군인들이 참전할 가능성은 낮고 다른 목적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다른 목적은 바로 경제적 이익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보편적인 관점으로 볼 때 전쟁을 항상 국가와 국가 간의 일이라고 인식해왔기 때문에 국가의 책임만 묻고 개인의 책임은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전쟁에 참전한 국가들의 입장을 고찰하는 동시에 참전 군인의 개인적 입장도 살펴서 그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전쟁은 끝났지만 전쟁으로 인한 여러 가지 후유증이 남아있는데 이 후유증은 군인에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후세들에게 까지도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라는 주체 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이런 젊은 후세 개인들이 이 전쟁에 대해 어떻게 대하고 있고 전쟁때문에 벌어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이러한 시각으로 접근해서 2장은 1960년대 정치적인 측면에서 전쟁을 고찰한 선우휘와 최정희 작가의 종군기와 선우휘의 장편소설 『물결은 메콩까지』(1966)를 선정해서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1960년대 작품들은 국가주의와 영웅주의를 미화해서 한국이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것이 정당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집중했다. 이 시기에 나타난 개인들은 국가의 한 구성원으로 국가를 위해 전투하고 있다는 모습으로 묘사됐다. 국가와 개인들은 정의란 편에 있어서 모두 다 베트남의 화평과 공산주의 팽창 감축이란 사명완수 목적이 한결같았다. 최정희와 선우휘 두 작가가 종군 시간과 종군의 주목적이 다르지만 둘 다 용맹무쌍한 한국군의 모습을 종군기에서 표출했고 아울러 정의로운 전쟁 참전 목적에 대한 그들의 견고한 믿음을 강조했다. 이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취재한 종군기에서 나타난 분위기와 상당히 다르다. 마찬가지로 선우휘는 『물결은 메콩까지』에서도 똑같은 1960년대 영웅적인 시대정신에 취하면서 한국이 베트남전쟁에 참전하는 행동이 정당했다는 논거를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제시된 논거들이 상호 충돌했기 때문에 끝까지 설득력 있는 이유를 못 찾아냈다. 한편, 선우휘는 개인들이 보람없는 삶에서 탈출하고 싶었다는 것과 봉급을 받아서 가난한 가족들에게 보낼 수 있었다는 두 가지 이유를 살짝 언급했지만 결국 개인을 국가 속에 숨겨서 본인의 책임을 소멸시켰다.
3장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발표된 작품을 담았는데 하나는 전쟁을 낭만적인 시각으로 본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1973)이며 하나는 경제적인 측면에 집중하여 현실적인 시각으로 본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1985)이다.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 에는 1960년대 정치적인 영향의 잔재가 남아있어서 국가를 위해 전투를 해야 된다는 낭만적인 참전 목적을 표시했다. 하지만 주인공 황일천이 전쟁터에 가서 비로소 전쟁이 낭만적인 환상이 아니라 잔인하고 처참한 현실로만 가득 차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깨달아 가는 과정을 통해서 국가가 선언했던 정의로운 목적과 이 전쟁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자문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나서 『무기의 그늘』에 와서야 황석영 작가가 한국정부의 부정적인 참전 목적을 지적하며 비판적인 태도를 뚜렷하게 표출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베트남전쟁에 빠지면 빠질수록 막대한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의의 그늘 속에 숨어서 걸태질을 할 뿐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국가란 통치자들의 이익만을 위한 국가지 전체 국민의 이익을 포함해서 말하는 국가가 아니었다. 즉, 베트남전쟁의 목적은 통치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위한 것이었을 뿐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목적은 제국주의 통치자들의 야심에서부터 출발했다. 동시에 황석영은 이 전쟁에 참가한 개인들도 국가를 위해 전투하는 것이 아닌 본인의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 베트남전쟁에 종군했다는 것을 인정했다. 하지만 이 작품의 문제점은 황석영이 개인의 부정적인 참전 목적을 어느 정도 인정했지만 개인들의 책임을 소멸시키기 위해 그들이 다른 방도가 없었다고 말을 돌려 댄 것이다.
4장은 전쟁이 끝났지만 전쟁의 후유증이 참전군인과 그들의 후세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구체적으로 군인들에게 미친 트라우마 (안정효의 「하얀 전쟁」 (1989), 고엽제 문제 (이대환의 「슬로우 불릿」 (2013), 라이따이한 문제 (정인의 「이식 그 언저리」 (2016), 그리고 무형적인 아픔 (방현석의 「랍스터를 먹는 시간」 (2013)과 최은영의 「씬짜오 씬짜오」 (2016)를 살펴보며 참전 군인들과 후세들이 어떤 입장으로 이 전쟁을 보고 있는지도 고찰했다. 전쟁에 참전했던 군인들 중 많은 사람이 현재의 일상적인 삶으로 다시 돌아왔지만 전쟁의 공포와 트라우마로 인한 피해망상증이 심각했다. 겉보기에는 피해망상증에 걸리지 않고 현실의 삶에 다시 잘 적응한 사람조차도 실제 전쟁에 참전하지 않은 사람처럼 평상의 삶을 살 수 없었다. 결국 죽음을 마지막 방법으로 선택해서 평화롭지 않은 현재의 삶에서 탈출했다. 게다가 후세들도 나름대로 과거에 일어난 전쟁을 재인식해서 본인이 이 전쟁과 연루된 사실을 외면하지 않고 아픔과 상처를 달래고 화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정인의 「이식, 그 언저리」에서 주인공은 그리운 아버지를 찾고 싶은 나머지 아버지의 나라인 한국으로 가고 싶은 마음을 계속 키웠다. 방현석의 「랍스터를 먹는 시간」에서 주인공 건석이 베트남사람과 한국 사람의 갈등 사이에 어쩌다가 끼어들었는데 이 사건을 통해서 건석이 베트남전쟁 때 학살사건을 재발견해서 스스로 참회하고 반성하여 베트남 여자인 리엔과 결혼하기로 결심하면서 서로 화해하여 한국과 베트남의 아픈 역사가 덮어지고 발전적인 미래를 향하여 노력하고 있는 것을 보여줬다. 그리고 마지막 작품인 「신짜오 신짜오」에서 나타난 인물들도 과거형인 전쟁 때문에 소중한 현재의 관계를 잃었는데 이 관계를 다시 살리기 위해 고심하다가 결국 주인공과 친했던 베트남 응우엔 아줌마와 재회했는데 이 사건은 두 가족의 화해는 물론 더 나아가 두 국가의 화해를 의미한다. 이 시기의 베트남 전쟁에 관한 소설은 국가와 개인의 관계가 화평배경에 배치되어 전쟁에 참전한 것이 적당할까 아닐까? 라는 의문에 봉착하지 않고 대신에 과거형인 전쟁이 진짜 끝났을까? 아니면 아직 현재형으로 남아있을까? 라는 의문으로 전쟁의 아픈 상처를 어떻게 달래고 남아있는 문제들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면 좋겠다는 대안을 요구한다. 후세들이 전쟁 시대에 살지 않았지만 이 전쟁과 연결된 관계를 인정하고 전 세대에서 발생한 아픈 역사를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문학의 흐름을 고찰해 볼 때 베트남전쟁에 관한 한국 작품이 흔하지 않아서 한국문단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만 다양한 시각으로 좋은 작품이 많이 나왔다. 이런 작품에서 인물들이 국가와의 관계 속에 존재하고 시간이 흘러 베트남 전쟁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한국이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것은 국가주의와 영웅주의에서 낭만주의를 거쳐서 현실주의의 시각으로 보는 과정을 1960년대부터 1980년대 까지의 한국소설에서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베트남전쟁 참전목적을 국가의 참전 목적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던 개인들도 국가를 위한 참전이유에서 본인의 이익을 위한 참전이유까지를 인정하는데 까지 이르렀다. 따라서 이 전쟁에서 국가와 개인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 변했는데 이 결과 당초 영웅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었던 참전 군인들이 피해자를 가해한 가해자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해 한국정부와 참전군인 개인 모두 응당의 책임을 지고 해결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주요어: 베트남전쟁 소설, 소설적 형상화, 국가와 개인, 종군기, 베트남전쟁의 후유증, 베트남전쟁의 본질, 개인의 희생.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Vietnam War by using the writings of war correspondents and Korean novels. Literary works about the Vietnam war began to be written from the 1960s. Perceptions and representations of the war changed over time and in accordance with each authors personal style. In this study I selected and examined literary work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ime periods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Each of these works used the Vietnam War as their subject matter but presented it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There is, however, a point in common that unites all these works, and that is that they all set up their characters in such a way that the individual and the nation are in a close-knit relationship. With regards to the Vietnam War, this relationship appears in the following way: The Korean government demands sacrifice for the homeland on the part of the people (individuals) and each individual answers the call to service.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dividual, self-sacrifice for the homeland may not be the only reason for participating in war. This is because such a demand could entail death. Soldiers would have other goals, and it is unlikely that they would have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war for one abstract reason. This other goal in question would have been economic profit. However, viewed from a universal lens, because war had always been perceived as an issue settled between countries, only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and not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was called into question. Therefore, whilst also keeping in mind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ticipant countries,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individual positions of those soldiers who participated and to evaluate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in the war. Furthermore, although the war has ended, the various aftereffects from the war continue to have a negative impact not just on the soldiers, but also on the generations that came after them.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younger generations, who live within the agent nation, react to the war and solve the problems that arose as a result of it.
Approaching the problem from this perspective, chapter two focuses on the war accounts by Seon Woo-hui and Choi Jeonghee, as well as war correspondent writings and Seon Woo-huis The waves flow to the Mekong river which examined the war from a 1960s political lens. Works from the 1960s glorified nationalism and heroism in trying to show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ar as just. During this period, individuals were presented as members of a nation fighting for the country. Both the nation and individuals stood on the side of justice and were united in their mission to achieve peace in Vietnam and stop the spread of communism. Choi Jeonghee and Seo Woo-huis time and goals as war correspondents were different, but both expressed the bravery of the Korean army in their writings and emphasized their stern belief in Koreas just purpose in participating in the war. This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atmosphere reported in war correspondent writings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In the same way, Seon Woo-hui gets caught up in the heroism of the 1960s and attempts to find evidence to assert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ar as just, but ultimately fails to provide a persuasive reason as his arguments contradict each other. On the one hand, Seon Woo-hui briefly mentions that individuals wanted to escape a life of worthlessness and send their poor families money from their earnings as soldiers, but ultimately he hides the individual within the nation and eradicates individual responsibility.
Chapter 3 covers works from the 1970s and 1980s. One of these works is Park Yeonghans Distant Songba river which views the war through a romantic lens, and the other, Hwang Sokyongs Shadow of arms which focuses on the economic aspect and views the war through a realistic lens. Park Yeonghans Distant Songba river still exhibits influence from 1960s politics and expresses the romantic goal of fighting for ones country. However, the main character Hwang Incheol begins to question the essence of the war and the nations stated purpose upon going to the battlefield and realizing that the war is full of misery and not the romantic fantasy he had imagined. Through this process, it takes until the publication of Shadow of arms in 1985 for Hwang Sokyong to adopt a critical attitude and clearly attack the Korea governments reason for participating in the war. According to him, as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d nations became more and more involved in the Vietnam War, they were able to reap economic benefit and thus hide underneath the shadow of justice to continue raking in money. What is meant by nation in this case is that apparatus set up for the benefit of its leaders, and not the nation which includes the benefits for the people. This to say that the purpose of the Vietnam War was only to secure rights and benefits for leaders and thus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it was born of the ambitions of imperialist leaders. At the same time, Hwang Sokyong acknowledges that the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were not fighting for the country but acting out of their own economic interests.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Hwang Sokyong acknowledged individual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the war, he attempts to erase their responsibility by stating that they had no other option.
Chapter 4 examines how the aftershocks of the war continue to affect the soldiers and younger generations. Specifically, I look at the trauma inflicted on soldiers (An Jeonghyos White Badge,1989), the Agent Orange problem (Lee Daehwans Slow Bullet, 2013), the Lai Dai Han problem (Jeong Ins Transplant, the fringe, 2016), as well as formless pain (Bang Hyeon Seoks The time to eat a lobster, 2013 and Choe Eunyeongs Hello Hello, 2016) to see how younger generations view the war. Many of those soldiers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returned to everyday life but continue to suffer from paranoia due to the fear and trauma of the war. Even those who seem to not to have paranoia and who seem to have adjusted back to reality are unable to lead normal lives. Eventually many of them choose death to escape their lives devoid of peace. Furthermore, the younger generations are rethinking the war as well as acknowledging their connection to the war and seeking a means of healing the wounds of the past. In Jeong Ins Transplant, the fringe, the main character yearns to find her father and dreams of going to Korea. In Bang Hyeon Seoks The time to eat a lobster, the main character Geonsik becomes involved in a conflict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s, and in the process rediscovers a massacre that took place during the Vietnam War. He repents and resolves to marry a Vietnamese girl Lien and presents a road towards healing the past and forging a more productive future.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final novel, Hello Hello, also lose their relationship due to the war of the past. In order to restore their relationship, the main character meets again with the Vietnamese woman Nguyen. This incident symbolizes not just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families but also between the two nations.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during this time do not focus on the question of whether participating in the war was just or not against the backdrop of a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nation, and instead attempt to heal wounds by questioning whether the war of the past has really ended or whether it is still ongoing, and seeking ways to solve these remaining problems. The younger generations did not live during the war era, but it is necessary for them to recogniz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ar and rethink the painful history that has been left to all generations.
In conclusion, when examining the flow of Korean literature, Korean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are not common and thus have not been given much attention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However, a number of quality works have emerged that offer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these works, the characters exist within their relationship to the nation, and as time goes by the process whereby their perception of the Vietnam war changes points in a positive direction. That is to say, we can see that the perception of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ar moved from nationalism and heroism to romanticism and then realism from the 1960s to the 1980s. Therefore, individuals began to recognize their own personal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the war instead of recognizing only the nations stated purpose for participating in the war. As a result, the perception of the nation and individuals role in the war changed, the image of the heroic soldiers as victims transformed to that of perpetrators. Thus, the Korean government and individual soldiers need to take proper responsibility and seek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that still remain from the war.
Keywords: Vietnam War Novel, literary representation, nation and individual, war correspondent writing, aftereffects, essence of the Vietnam War, self-sacrifi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9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