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Military Trust : 군 신뢰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경찰, 정부 신뢰 영향요인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ce and government trus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명윤미

Advisor
김봉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군신뢰경찰신뢰정부신뢰영향요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2. 8. 김봉환.
Abstract
The public's support and trust in the militar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aising the morale of the military, and the importance of the people's trust in the military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a conscription system, should be specially emphasized.
However, apart from this importance, studies on military trust are rare, and most of them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litary trust in a slogan and declarative manner. Specifically,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find studies that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military trust. This is because military trust and government trust were not considered separately. However, considering the peculiaritie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government and the military cannot be viewed the same. In addition, the military has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the police, a group that is often compared to the military in terms of treatment and service conditions.

This thesis attempte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itizens'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 on the trust of the military, police, and governmen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between the target organizations, and finally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military trust.
In order to analyze th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rust subject factors (participation propensity, ideology propensity, and trust propensity) and trust target factors (integrity of organization and fairness of organiz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military trust, police trust, and government trust.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2020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IPA)'s 'Social Integration Survey' were 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rust in the military, police and government are not the same. Second, an individual's propensity to participate in a group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sometime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an individual's ideology propensity may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or may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personal trust propens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Fifth,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nteg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this variabl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trust in all target organizations. Finally,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fairness positively affects the organizational trust of all target organizations.

Through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irst, in terms of people's trust in the organ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trust in the military needs to be approached separately from trust in the polic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There was a difference in whether each variable affected the trust of each organization. In particular, unlike the trust target factors of the trustors,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the trust subject factors on organizational trust is different, raising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Next, some personal propensities affect military trus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 individual's horizontal group participation propensity, an individual's vertical group participation propensity, and an individual's trust propensity were found to affect military trust. Among them, it is the same result as other organizations (police, government) that trust in the military increases as an individual's trust propensity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pport the results of many literature reviews.
Third, the fact that vertical group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of trust in the military is a unique result different from those influencing the police and the government. This can be understood as that people who have a lot of experience participating in hierarchical networks understand and trust the military more easily.
Fourth, as a difference from trust in the police or the government,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s ideology propensity has nothing to do with trust in the military. It is judged to be a great advant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organization that needs to gain broad and continuous trust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s a reason for this result, it can be considered that South Korea has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direct experience in the military due to the conscription system. In other words, unlike other organizations, it can be inferred that trust in the milita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or close acquaintances, regardless of individual ideological propensities. Of course, research on whethe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in future studies and what is the main cause of the results should be done separatel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ntegrity and fairness strongly influences military trust. When transparent procedures and systems are established in all operational procedures of the military and the administration is implemented without corruption in military service, the military will be able to secure the trust of the people. The military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eed to continue to work hard to come up with policies and systems that reinforce integrity and fairness.
군에 대한 국민의 지지와 신뢰는 군의 사기를 높이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징집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국민이 군을 신뢰한다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특별히 강조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과는 별개로 군 신뢰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기존 수행된 연구는 군 신뢰의 중요성을 구호적이고, 선언적으로 강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군 신뢰의 영향요인을 고찰하고, 분석한 연구는 더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군 신뢰와 정부 신뢰를 분리하여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군이라는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정부와 군은 동일하게 볼 수 없다. 또한 군은 처우나 복무 여건 등에서 군인과 자주 비교되는 집단인, 경찰과도 구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국민 개개인의 성향과 조직에 대한 인식이 군대, 경찰, 그리고 정부 각각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대상 조직 간 영향요인에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해 보고, 최종적으로는 군 신뢰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를 신뢰주체요인(개인의 단체참여성향, 이념성향, 신뢰성향)과 신뢰대상요인(조직의 청렴성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를 군 신뢰, 경찰 신뢰, 그리고 정부 신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2020년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경찰, 그리고 정부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동일하지 않다. 둘째, 개인의 단체참여성향은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도 한다. 셋째, 개인의 이념성향 역시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도 한다. 넷째, 개인의 신뢰성향은 조직신뢰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조직 청렴성에 대한 인식은 조직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변수는 대상 조직 모두에게서, 조직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대상 조직 모두의 조직신뢰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국민의 조직에 대한 신뢰 차원에서, 군 신뢰는 경찰 신뢰, 정부 신뢰와는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변수들이 각 조직들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특히 신뢰자의 신뢰대상요인과 달리, 신뢰주체요인이 조직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의 일부 성향은 군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데, 독립 변수 중 개인의 수평적단체 참여성향, 개인의 수직적단체 참여성향, 개인의 신뢰성향이 군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개인의 신뢰성향이 높을수록 군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은 다른 조직(경찰, 정부)과 같은 결과이다. 이 연구 결과는 또한 많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수직적 단체참여가 군 신뢰와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것은 경찰, 정부 영향요인과 다른 군 신뢰 영향요인만의 독특한 결과이다. 이것은 서열이 존재하는 네트워크에 참여한 경험을 많이 가지고 있는 국민이 군대라는 조직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신뢰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넷째, 경찰이나 정부 신뢰 영향요인과의 또다른 차별점으로, 개인의 이념성향은 군 신뢰와 무관하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러한 결과는 군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그 집행 결과를 국민들에게 알림에 있어서, 정권이나 지역의 정치색과 관계없이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신뢰를 얻어야 하는 조직 입장에서 굉장히 유리한 이점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으로, 한국은 징집제로 인해 군대를 직접 경험한 사람이 다수라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즉, 타 조직과 달리, 군에 대한 신뢰는 개인의 이념성향과는 무관하게, 본인의 또는 가까운 지인의 경험에 근거해서 결정된다고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결과가 향후 연구에서도 지속적으로 일치하는지, 결과에 대한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 등은 별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조직의 청렴성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군 신뢰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군의 모든 운영절차에서 투명한 절차와 제도를 구축하고, 병역비리 없이 행정이 이행되었을 때, 군은 국민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군과 국방부는 앞으로도 청렴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정책과 제도 마련에 지속 힘써야 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7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1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