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생의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유형 및 담화 분석 : Analysi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ypes and discourse in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cienc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현

Advisor
유준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학생사회적 과학지식 구성의사소통 유형상호작용 유형담화 범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물리전공), 2023. 2. 유준희.
Abstract
According to social constructivism, for learning to be effective, interaction among members is essential so that learners can construct knowledge socially. However, several studies report that small group activities are not performed properly in real classroom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obtain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and discourse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ypes of members in 'social scienc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ontext of actual school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class video of How does heat move?, which corresponds to the 4th session of the unit of Heat and Our Life consisting of a total of 7 sessions, was analyzed for all students in 4 classes in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All 32 small groups' discourses of constructing social science knowledge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type of the small group using centr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social network indicators, as a variable, monopolistic type, extroverted monopolistic type, introverted monopolistic type, and co-ownership type were found in the order of 28.1%, 25.0%, 15.6%, and 31.3%, respectively.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communication is concentrated on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members do not participate evenly in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actual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interaction types of the small groups according to Hogan's frame by drawing a discourse map for each small group, 12.5%, 25.0%, 28.1%, and 34.4% of the interaction types were consensual, responsive, elaborative and no interaction. A lot of elaborative interactions must occur to construct social science knowledge, but In this study, no interaction, concensual interaction in which one member participates in constructing knowledge, and responsive interaction in which two or more members only present their opinions accounted for a large part. Even in two groups of the no interaction small groups, none of the members talked at all.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social scienc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re not actively taking place in the actual situation of middle school classrooms.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in the introvert monopolistic type, the discourse rate in the metacognitive category was 2.3%,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6.6% in the metacognitive category for all types. This was found to be due to the small proportion of metacognitive discourse when discourse was concentrated on a small number of people.
Among the interaction types, in elaborative interaction, conceptual, metacognitive, and question-query categorie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rate for all types by 7.5%, 2.7%, and 2.2%, respectively.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high possibility that elaborative interactions can occur if there are many statements in the categories of concepts, metacognition, and question-quer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course category that promotes elaborative interaction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monopolistic and extroverted monopolistic communication type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conceptual category were 0.65 and 0.52, respectively,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metacognitive category were 0.55 and 0.32, respectively, higher than other categori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qualitatively analyzing the question-query category discourse in both types, coercive and directive statements were observed. In the introverted monopolistic communication typ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conceptual and nonsustantive categories were higher than other categories in the order of 0.44 and 0.18. In the co-ownership communication typ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metacognitive, question-query, and nonsubstantive categories were higher than conceptual categories in the order of 0.34, 0.34, and 0.35.
In summary, it wa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a lot of co-ownership communication and elaborative interaction due to the nature of social scienc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but this was not the case in actual middle school situation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course category appearing in elaborativ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iscourse category that can promot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within the small group in the actual middle school context. However, since the content of the analysis is limited to discourse and cannot be generalized, further studies extending to non-verbal expressions and affective domains will be needed.
사회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사회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서는 실제 교실 상황에서 소집단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학교 수업 맥락 중 중학생의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구성원들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유형의 분포와 담화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4개 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총 7차시로 구성된 열과 우리 생활 단원 중 4번째 차시에 해당하는 열은 어떻게 이동할까?라는 수업 영상을 분석하였다. 전체 32개 소집단의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 활동 담화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소집단의 의사소통 유형을 사회적 네트워크 지표 중 하나인 집중도를 변수로 하여 분류한 결과 독점형, 외향적 독점형, 내향적 독점형, 공유형이 각각 28.1%, 25.0%, 15.6%, 31.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중학교 맥락의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 활동에서 의사소통이 소수에게 집중되고 구성원이 골고루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소집단의 상호작용 유형을 소집단 별 담화지도를 그려 Hogan의 틀로 분류한 결과 일방향, 양방향, 정교화적, 상호작용 없음이 12.5%, 25.0%, 28.1%, 34.4%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을 위해 정교화적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을 하지 않거나, 구성원 한 명이 지식 구성에 참여하는 일방향 상호작용 및 구성원 둘 이상이 의견을 제시하기만 하는 양방향 상호작용이 상당 부분 차지하였다. 심지어 상호작용 없는 소집단 중 2개의 소집단에서는 구성원 모두가 대화를 전혀 하지 않았다. 이는 실제 중학교 교실의 상황에서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의사소통 유형 중 내향적 독점형에서는 초인지 범주의 담화 비율이 2.3%로 전체 유형에 대한 초인지 범주의 평균인 6.6%에 비해 낮게 나온 것으로 보아 소수 인원에게 담화가 집중될 때 초인지 담화의 비율이 적은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상호작용 유형 중 정교화적 상호작용에서는 전체 유형에 대한 평균 비율보다 개념, 초인지, 질문 범주가 7.5%, 2.7%, 2.2% 순으로 높게 나왔으며 이는 개념, 초인지, 질문 범주의 진술이 많으면 정교화적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정교화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담화 범주를 로지스틱 회귀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독점형과 외향적 독점형 의사소통 유형에서는 개념 범주의 회귀계수가 0.65, 0.52 순으로, 초인지 범주의 회귀계수는 0.55, 0.32 순으로 다른 범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유형 모두 질문 범주 담화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강압적이고 지시적인 진술이 관찰되었다. 내향적 독점형 의사소통 유형에서는 개념 및 단순 응답 범주의 회귀계수가 0.44, 0.18 순으로 다른 범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유형 의사소통 유형에서는 초인지, 질문, 단순 응답 범주의 회귀계수가 0.34, 0.34, 0.35 순으로 개념 범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사회적 과학지식 구성 활동의 성격 상 공유형 의사소통과 정교화적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나기를 기대했지만 실제 중학교의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정교화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담화 범주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중학교 맥락에서 소집단 내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담화 범주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분석 내용이 담화에만 국한되어 일반화할 수 없으므로 비언어적 표현과 정의적 영역까지 확장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4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4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