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의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과의 관계 : Co-relation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천행남

Advisor
이은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덕적 감정도덕적 판단력환경감수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2023. 2. 이은주.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omplementary aspects of mor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use of moral education methodolo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help develop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how moral emotions and moral judgments relate to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most studies are focused on what factors affect environmental sensitivit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s,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data of 150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 using the SPSS 28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ccording to gender, and the ANOVA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variables according to gra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ades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cheffe post-test.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as a dependent variable to find out the effect of each area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o find out the variables with decisive explanatory power among the sub-factors of each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sensitivity, moral emotion, and moral judgme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ral learning methods and tools that have been studied to cultivate moral emotions and moral judgment can be used as a method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Second, environmental sensitiv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judgment, but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emo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which are sub-areas of moral emotions, have a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than negative emotions and have a high explanatory power. Considering this, it was foun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by including elements such as empathy and sympathy, which are positive emotions, rather than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nd tools to stimulate human shame and guilt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rd,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between moral emotions and sub-elements of moral judgment tha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environmental sensitivi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reas where the average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s low.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ccurred in empathy, which is a sub-factor of moral emotion, rule independence, and univers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moral judg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ols, and programs that can compensate for low-level sub-factors considering gender will help reduce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 and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However, in previous studie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emo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ment element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re was a study tha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had a correlation, but there was no empirical proo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and sub-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of relying only on literature research that environmental sensitivity would be related to moral emotion and moral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can help develop research on emotional, emotional, cognitive, and judg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by clarifying the clear correlation between emotion, judgment, and sub-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sensitivity. Furthermore, by specifically sugges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it suggested moral emotions representing emotions and emotions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representing cognition and judg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의 간의 상관에 대한 것이다.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판단력이 환경감수성에 대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혀 도덕교육과 환경교육의 상호 보완적인 측면과 도덕적 감수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도덕교육방법론을 환경교육에 활용하는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이 환경감수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으며, 대다수의 연구가 어떤 요소가 환경감수성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집중돼 있어,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초등학교 남녀 학생 150명의 자료는 SPSS 2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 환경감수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학년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검정을 실시한 후 Scheffe 사후검정 결과로 학년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영역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환경감수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영역 하위 요인 중 결정적인 설명력을 갖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환경감수성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감수성과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이에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을 배양하기 위해 연구되어 온 다양한 도덕과의 학습법과 도구들이 환경감수성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경감수성은 도덕적 판단력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갖지만, 도덕적 감정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특히 도덕적 감정의 하위 영역인 긍정적 감정이 부정적 감정보다 더 강하게 환경감수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높은 설명력을 갖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점을 고려해 환경감수성을 기르기 위해 환경 파괴로 인한 인간의 수치심, 죄책감을 자극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 도구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인 공감과 동정 같은 요소를 포함시켜 교수학습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 보다 환경감수성을 기르는 데는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환경감수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판단력의 하위요소 간의 성별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환경감수성의 평균이 낮은 영역에 대해 남녀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해 환경감수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도덕적 감정의 하위 요인인 공감, 도덕적 판단력의 하위 요인인 규칙독립성, 보편성에서 남녀 학생간의 차이가 발생했다. 따라서 성별을 고려해 낮은 수치를 보이는 하위 요인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 도구,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남녀 학생간의 환경감수성의 차이를 조금이나마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교육 분야에서 환경감수성과 환경책임행동, 환경도덕민감성 등에 대한 연구는 있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감정에 있어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환경감수성과 갖는 관계, 또 인지적 영역에서의 도덕적 판단력의 요소들과 환경감수성이 갖는 관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환경책임행동과 환경감수성의 관계가 상관성을 가진다는 연구가 있었지만 환경감수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감정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 및 그 하위 요인들과 환경감수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입증 연구는 부재하였다. 그리고 환경감수성이 도덕적 정서, 도덕적 인지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하는 문헌적 연구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감수성과 관련한 감정, 판단력과 그 구성 하위 요인들과 환경감수성간의 분명한 상관관계를 밝혀 환경교육에 있어 감정, 정서적인 측면의 연구와 인지, 판단력 측면의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연구대상,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의 한계를 구체적으로 제언함으로써 향후 환경감수성 배양을 위한 감정과 정서를 대표하는 도덕적 감정, 인지와 판단력을 대표하는 도덕적 판단력 및 그 하위 요인들과 환경감수성의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탐색할 수 있는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