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택근무와 인구이동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rom-Home and Migration: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발생 전・후의 미국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윤서

Advisor
송재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재택근무인구이동주거 입지기술 변화도시의 미래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8. 송재민.
Abstract
In the early 2020s, the widespread adoption of work­from­home (WFH) after the COVID­19 pandemic spread worldwide led to a debate about WFH causing urban exodus. The unprecedented expansion of WFH practices has led to WFH being considered as a new influencing factor of migration. However, there is still very littl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FH and migration.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FH and residential location were conducted in the early and mid­2010s but have not been continued. This is because, in reality, people consider many factors in addition to commuting time or distance when choosing a residential location, making it difficult to explain the impact of WFH. Other empirical studies, based on migration theory, have not considered WFH as affecting migration, and whil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WFH on migration after the pandemic-with WFH adoption used to limit the spread of SARS­CoV­2-it is limited by imprecise measurement of WFH, using the percentage of workers in WFH­enabled jobs as a proxy for actual WFH. There are also other studies that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effects of the pandemic and the effects of WFH. One of the reasons we know so littl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FH and migration or residential location is that, before the pandemic, there were a limited number of occupations and industries that practiced WFH.
Against this backdrop, we note that the pandemic has created a natural experiment setting for u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WFH affects migrations. During the pandemic, people were strongly encouraged to WFH if their work could be done at home, to limit the spread of SARS­CoV­2, so migration changes during the pandemic could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inform a possible future under a commonplace­WFH 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WFH and migration by setting the research question, Will the expansion of WFH affect the residential location and urban spatial form? and set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ich regions experienced an increase in out­migration during the pandemic?; second, what is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 of WFH on migration?; third, is there a moderating effect of WFH that changes the magnitude or direction of the impact of traditional migration determinants on migration?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 higher WFH rate than Korea, and the temporal scope is during an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from 2018 to 2021.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increased out­migration during the pandemic was specific to certain regions by classified regions with similar migration change patterns and defined migration change during the pandemic. Time series clustering showed how regions differed according to patterns of migration change during the pandemic, and revealed changes in out­migration: U.S. metropolitan areas fell into 11 clusters, of which only one cluster experienced increased out­migration during the pandemic. While only about 16% of metropolitan areas experienced increased outflow during the pandemic, these areas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areas in several ways. These areas were located in and around downtowns with a high density of white­collar employment, and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income, higher levels of education, higher housing prices, and higher rates of WFH.
Second, a panel analysis of the WFH effect on migration, focusing on regions experienced increased out­migration during the pandemic, shows that, contrary to the argument that WFH causes urban exodus, the pandemic itself was more influential. While the direct effect of WFH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ositive direction on migration over the four­year time span of the study, WFH affected out­migration during the pandemic more than before the pandemic, so our analysis does not completely reject the possibility of WFH causing out­migration. We suggest that, in the long run, increased WFH may reduce the preferences for living in cities, which may then lead to urban sprawl.
Third, WFH is found to act as a moderator, changing the strength or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igration determinants and migration. This implies that if WFH is expanded further, the degree of WFH implementation will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igration determinants and migration. Furthermore, when indirect effects of WFH are taken into account, we found that the impact of WFH on migration varies depe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population den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FH­related residential relocations are influenced by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rather than being driven by WFH itself. In other words, the impact of WFH on migration differs by region, so WFH is not the sole determinant of residential relocation. It is worth noting that, during the pandemic, when WFH was widely encouraged, the WFH effect on out­migration appeared to be larger than the in previous year, suggesting influence from the following social changes: First, a shift in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ability to continue WFH, as many organizations have announced plans to continue WFH after the pandemic; second, a decrease in the premium for living in neighborhoods with good access to urban amenities, as distancing policies restricted consumption of urban amenities to prevent spread of COVID­19 virus; and third, peoples growing familiarity with video conferencing tools and metaverse environments during the pandemic, which allowed ICT­based interactions to replace face­to­face interactions during the pandemic more than in previous years. These changes may have contributed to the change in migration behavior caused by WFH during the pandemic. The effects of WFH on migration may also be influenced by the frequency and status of WFH practices, preferences for urban amenity consumption, and advances in technology that can replace face­to­face interactions, so we should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these social changes.
The overall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fills a gap in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effect of WFH on migration while controlling for pandemic time effects and distinguishing between the effect of the pandemic and WFH. It also fills a gap in the literature by analyzing how the effects of WFH on migration varies across regions, as well as how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igration determinants and mig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WFH implementation, suggesting that WFH may play an indirect role. In addition, this study draws the present expansion of WFH into migration theory by considering WFH as an influence upon migration.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how WFH affected migration during a period when WFH had expanded to unprecedented levels, and provides a basis for estimating changes that may occur in cities as WFH becomes increasingly commonplace. This evidence can be used to reference for developing urban plans and policies to respond to future expansion of WFH.
2020년 초반, COVID-19가 전 세계를 강타한 이후 대대적으로 재택근무를 시행하게 되면서 재택근무가 도시 탈출(urban exodus)을 야기한다는 논의가 활발해졌다. 재택근무 시행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확대되면서 재택근무가 새로운 인구이동 영향 요인으로 여겨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 재택근무와 주거 입지 및 인구이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2010년 초중반까지 재택근무와 주거 입지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그 이후에는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실적으로 사람들은 주거 입지를 선택할 때 통근 이외 다른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재택근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구이동 이론을 기반으로 한 실증 연구에서는 아직 재택근무를 인구이동 영향 요인으로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팬데믹 이후에 재택근무가 COVID-19 확산 방지의 주요한 수단으로 확산되면서 관련 연구가 늘고 있지만, 재택근무 가능 일자리 종사자 비율을 재택근무 대리지표로 사용하여 재택근무에 대한 측정이 정확하지 않으며, 분석 모형에서 팬데믹 시간 효과를 통제하지 않아 팬데믹의 영향과 재택근무의 영향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처럼 아직 재택근무와 인구이동의 관계에 관해 밝혀진 바가 많지 않은 이유는 팬데믹 이전에는 재택근무를 시행한 업종이나 산업, 직업 등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팬데믹이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자연 실험 상황을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팬데믹 기간에는 COVID-19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에 종사한다면 가급적 재택근무를 하도록 권고했기 때문에 팬데믹 기간의 인구이동 변화는 미래에 재택근무가 일상화되었을 때 도시에 나타날 수 있는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실증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재택근무 확대가 주거 입지 및 도시 공간 형태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설정하여 재택근무와 인구이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며, 다음과 같은 3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어느 지역인가? 둘째,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는 무엇인가? 셋째, 재택근무가 전통적인 이동요인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나 방향을 변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존재하는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 세부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보다 재택근무 시행률이 높은 미국 메트로폴리탄 지역(Metropolitan Statistical Area)으로 상정하였으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개년으로 팬데믹 기간과 그 이전을 포함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근무가 도시 지역의 인구 유출을 야기한다고 논의되고 있는 배경에서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식별한 결과, 팬데믹 기간 동안의 인구 유출 현상은 특정 도시 지역에서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색적 연구 방법인 시계열 군집분석으로 팬데믹 기간의 인구이동 변화 패턴을 토대로 지역을 분류하고 유출 변화를 측정한 결과, 미국 메트로폴리탄 지역은 총 11개 군집으로 나뉘었고 그중 1개 군집만 유일하게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군집은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약 16%에 불과하나 해당 지역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차이점이 있었다.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사무직 고용밀도가 높은 도심 및 도심 주변에 분포해 있고 소득수준과 교육 수준이 높고 주택가격도 높은 특성이 있으며, 재택근무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팬데믹 기간의 인구이동 변화의 지역적 특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팬데믹 기간의 인구이동 변화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분석 대상으로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패널분석 결과, 재택근무가 도시 탈출을 야기한다는 논의와 달리 팬데믹 기간에 유출인구가 증가한 지역의 인구 유출은 팬데믹 상황의 영향과 더욱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인 4년 동안 재택근무의 직접적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방향으로 도출되지 않았지만, 팬데믹 기간에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은 팬데믹 이전 기간에 비해서 큰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재택근무의 도시 탈출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장기적으로 재택근무가 더 일상화되면 도심 거주에 대한 주거 선호가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주거 이동으로 인한 도시 확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재택근무는 전통적인 인구이동 영향 요인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의 크기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택근무 시행 수준에 따라 인구이동 영향 요인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재택근무 시행이 더 확대된다면 인구이동 영향 요인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재택근무의 시행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재택근무의 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했을 때 인구 밀도에 따른 재택근무의 영향을 분석하여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 특성(인구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재택근무로 인한 주거 이동은 재택근무, 일하는 장소와 방식에 따라서 큰 경향성을 보이기보다는 지역 특성의 영향을 받아 결정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에 따라 차별적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재택근무를 주거 이동을 결정하는 유일한 영향 요인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대적으로 재택근무 시행을 권고한 팬데믹 기간의 재택근무로 인한 인구 유출은 이전에 비해 더 보편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다음과 같은 사회 변화가 재택근무와 인구이동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첫째, 여러 기업에서 팬데믹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지속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한 것에 따라 재택근무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는 근로자의 인식 변화, 둘째, 거리 두기 정책으로 인해 도시 어메니티를 소비하는 것이 제한적인 상황이 됨에 따라 도시 어메니티를 소비하기 좋은 지역에 거주하는 것에 대한 프리미엄 감소, 셋째, 팬데믹 기간에 사람들은 화상 회의 도구나 메타버스 환경에 익숙해져서 팬데믹 기간에는 이전에 비해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교류가 대면 상호작용을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게 된 것이 팬데믹 기간 재택근무로 인한 인구이동 행태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재택근무 시행이 더 확대된다면 재택근무는 주거 입지 선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하며, 장기적으로는 공간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은 재택근무 시행 빈도와 현황, 도시 어메니티 소비에 대한 선호, 대면 상호작용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도시 연구에서도 이러한 사회 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팬데믹 시간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팬데믹의 영향과 재택근무의 영향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재택근무 시행 수준에 따라 인구이동의 영향 요인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의 크기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분석하여 재택근무가 간접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혀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웠다. 또한, 본 연구는 인구이동 이론에 재택근무를 인구이동 영향 요인으로 포함하여 재택근무 시행 확대라는 새로운 사회 변화를 반영하고, 재택근무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확대된 기간의 재택근무가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바탕으로 미래에 재택근무가 일상화되었을 때 도시에 나타날 수 있는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증적 증거는 미래 재택근무 도입 확대로 인한 도시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2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