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제강점기 朴殷植의 『韓國痛史』 출간과 筆寫本의 특징 : A Study on The Publication of Hankooktongsa(the Painful History of Korea) Written by Park Eun Shik and Characteristic of Manuscript Version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Issue Date
- 2018-06
- Publisher
- 진단학회
- Citation
- 진단학보 No.130, pp.137-168
- Abstract
- 박은식의 『한국통사』가 1915년 중국 상하이 大同編譯局에서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 책은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일제의 검열과 발매 금지 조치로 유포될 수 없었다. 일제로서는 이 책이 초래할 파급효과가 우려되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책은 일제의 침략을 사실에 입각하여 생생하게 서술했을뿐더러 한민족에게 독립의 역사적 근거와 내재적 역량을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일제는 기존의 소극적인 歷史編修方針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역사편수방침으로 전환하는 가운데 半島史編纂委員會를 설치하면서 이 책을 저본으로 삼아 筆寫本을 생산하였다.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조선총독부중추원의 발췌본으로서 『各國近史』이고 다른 하나는 이왕직의 발췌본으로서 『略記便覽』이다.
전자는 『한국통사』의 내용을 抄略하되 자신들에게 불리한 내용을 누락시켰다. 예컨대 명성왕후 시해 사건에서 자신들이 저지른 범죄 행위를 移記하지 않았으며 독립협회운동을 배후에서 방해한 사실을 누락시켰다. 심지어는 일본의 침략을 대거 생략하거나 일본인들이 저술한 역사책을 참조하도록 하여 사건의 진상을 왜곡하고자 하였다. 예컨대 을사늑약에 반대하는 한국인들의 상소운동을 일본인의 저서를 인용하여 妄動으로 규정하였으며 대한제국 군인들의 반일투쟁을 擾亂으로 몰아갔다. 따라서 이 발췌본은 원본 『한국통사』의 이본을 생산하기 위한 異本化 작업 과정에서 이루어진 산물로 추정된다.
한편, 이왕직 역시 고종순종실록편찬과정에서 다수의 자료들을 수집․발췌하는 가운데 『한국통사』도 이러한 작업의 대상물이었다. 예컨대 임오군란, 갑신정변 등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되 여기에 『승정원일기』 등의 연대기 자료에서 추출한 관련 자료를 덧붙였다. 그럼에도 이러한 발췌본 역시 『각국근사』와 마찬가지로 한국인들의 주권수호운동을 상세하게 서술한 내용은 대거 누락되어 있다.
그 밖에 한국인 식자층이 『한국통사』 전부를 몰래 필사한 몇몇 傳寫本이 남아 있다. 발췌하거나 내용을 달리하지 않고 원문을 그대로 옮겼다. 그러나 이러한 필사본은 일제측의 의도와 달리 박은식의 편찬 취지를 살리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필사본이라고 할 만하다. 『한국통사』가 일제의 감시와 검열로 대중화하는 데 많은 난관이 있음에도 이를 널리 유포하고자 한 애국적 유림들과 일부 식자층의 동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점에서 일제강점기 필사본의 세계는 제국주의자의 지배와 피식민지 민중의 저항이 교차하는 또다른 지식 공간이었다.
Park Eun Shiks Hankooktongsa(韓國痛史) was published by the Datung Edited Translation Bureau(大同編譯局) in Shanghai, China in 1915. Unlike other countries, however, this book could not be released by Japanese censorship. It was feared to have a ripple effect. Above all, It vividly described the Japanese invasion based on facts and showed the Korean people the historical basis and intrinsic capacity of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changed its policy to a more aggressive history compilation number than the existing passive history compilation number, and installed a committee on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ocess, this book was used as a low-volume version to produce extract manuscript versions. There are two main things. One is Gakkookgeunsa(各國近史) and the other is Yakkipyunram(略記便覽).
The former gave short descriptions of the contents of Hankooktongsa, but omitted their disadvantages. For example, they did not write about the crimes they committed in the assassination of Queen Myung-syung and left out the fact that they disturbed the movement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독립협회) behind them. It even tried to distort the truth of the case by skipping a large number of Japanese invasions or referring to historical books written by the Japanese. For example, they called the Koreans appeal against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riots and defined the anti-Japanese struggle of the Korean Empire soldiers as a disturbance by citations of the Japanese history book.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is manuscript version was made in an attempt to change the original version.
Meanwhile, Yi Wang-jik extracted Hankooktongsa from the compilation Annals of Gojong and Sunjong. The latter was the product of this work. For example, some of the contents, such as the Imo Army Revolt and Gapsin Coup, were extracted, but the related data were added to them from the chronicle data such as the Seungjeongwon Diary(승정원일기). Nevertheless, as in the case of the national averag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orean national rights protection movement is largely omitted.
There are also several other manuscripts of Koreans who secretly sought for Hankooktongsa. These manuscripts copied the text without exception. However, these manuscripts were also special in that it wanted to save the purpose of Park's compilation, contrary to Japanese intentions. Although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opularizing Hankooktongsa with the supervision and censorship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e trend of patriotic Confucian scholars and some intellectuals who wanted to spread it widely can be seen. Therefore, the world of the different version under Japanese occupation was the knowledge space that the domination of imperialist and resistance of the Korean people crossed each other.
- ISSN
- 1013-4719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