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cience Classroom? : Developing a Framework for Cultural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준형; 나지연; 정용재; 송진웅

Issue Date
2015-06
Publisher
한국과학교육학회
Citation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pp.499-50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수업 문화 분석을 위한 분석틀과 도구 개발을위한 첫 단계로서, 초등학생들의 개방형 서술 응답 분석을 통하여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기반으로 하여과학수업 문화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안하고자 하는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소재 6개 학교의 초등학생 4학년과6학년 총 571명이 작성한 응답을 3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분석틀의6가지 범주(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 공동체의 권력구조, 과학 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 관심대상, 수업의 분위기, 참여형태)를 도출하였다. 각 범주에 따른 세부 분석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수업에서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은 실험, 재미, 교사, 그리고 공동체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교실 공동체의 권력구조는 학급 친구, 교사, 개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과학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은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넷째, 과학교실 공동체에서 관심을 가지는 대상은 교사의 가르침, 실험, 지식과 의견의이해, 지식과 의견의 공유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학수업 분위기의 형태는 장난치고 시끄러운 분위기와 재미있고 즐거운 분위기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들의 참여 형태는 모든 구성원의 참여, 자율적인 참여, 협동적인 참여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생각하는 과학수업의 모습과 그 특징에 바탕을 두어 과학수업 문화를분석하는 질적인 분석틀을 제안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학수업의 문화적인 측면에서 나타난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classroom through an analysis of students answer to an open-ended question and to suggest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as the first step to develop an analysis tool for qualitative exploration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We analyzed 571 responses and developed an analysis framework with six categories (i.e. major factors; power structure of a classroom community; focused domains of the science classroom; student concerns; atmosphere of science classroom; participation form). The details of the six categor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jor factors were revealed to be practical work, fun, teacher, community and others; (2) the power structure of classroom community was in the order of peer students, teacher, and individual student himself/herself; (3) the focused domains of the science classroom perceived by students were more about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than cognitive one; (4) major student concerns were teachers teaching, having practical work, and the understanding of and the sharing of knowledge and opinions (5) science classroom atmosphere was noisy and pranky but fun and interesting; (6) the students participation forms were to be total participation or voluntary participation or cooperative practice. Through this study, not only suggesting the framework, but we could also get implications for the cultural aspects of science classroom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SSN
1226-5187
URI
https://hdl.handle.net/10371/207193
DOI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9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lated Researcher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Research Area Education Policy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Science Classroom Culture & Interactions in East Asia, Science Education in Hyper Connected Society with New Technologie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