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법신뢰형성구조와 재판의 공개 : Public Trust Building Structure of the Judiciary and Access to Justi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원

Issue Date
2012-09
Publisher
법학연구소
Citation
서울대학교 법학, Vol.53 No.3, pp.307-381
Abstract
국민의 신뢰는 사법부의 존립기반이다. 신뢰는 윤리성과 헌신에 대한 기대로서의 신용과 기능수행능력에 대한 기대로서의 신임의 두 가지를 요소로 한다. 신뢰의 형성을 단선구조로 파악하면 객관적 실체→지각→인식→신뢰의 구조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재판당사자의 기본권, 공개사법이라는 제도적 보장, 일반국민의 알권리라는 3각 구도의 배경 위에서 각국은 재판의 공개를 추구하여 왔는데, 그 저변에는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이 깔려 있다. 우리나라가 2000년을 전후한 기간 신뢰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추구한 여러 소송법적 제도개혁에는 재판공개의 추구라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신뢰형성의 단선구조를 은연중 염두에 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법부가 국민의 신뢰를 받고 있다고 하기 어렵고 오히려 불신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신뢰형성의 단선구조는 이를 설명하기 어렵다. 지각과 인식을 통하여 취득하는 정보의 양뿐만 아니라 그 종류와 성격, 정보의 왜곡현상, 장기신뢰와 단기신뢰 등 여러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야 비로소 신뢰형성에 대한 올바른 파악이 가능하다. 이 글은 이를 토대로 신뢰형성의 복합구조를 제시하였다. 이에 의할 때, 정보의 통제는 단기적으로는 신뢰는 증가시키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신뢰를 감쇄시킨다. 결국 신뢰형성을 위해서는 정보의 최대공개가 요구된다. 그런데 디지털기반의 현대정보사회는 재판의 공개에 대하여 정보주체의 보호라는 묵과할 수 없는 과제를 던져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공개의 원칙은 유지되어야 하며, 다만 그 현대적 변용을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대상정보의 성질에 따른 일률적 결정이 아니라 공개범위의 질적인 제한과 단계적 차등공개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그 변용의 구체적인 핵심열쇠가 될 것이다.
ISSN
1598-222X
URI
https://hdl.handle.net/10371/20777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lated Researcher

  • College of Law
  • Law
Research Area Criminal Law & Procedure, 형사법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