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혼합염 및 키위주스 침지와 조리 방법에 따른 돈육등심 가공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marination with mixed salt and Kiwi juice and cook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pork loin-based processed meat produc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7 time in Scopus
Authors

김일석; 장애라; 진상근; 이무하; 조철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국식품영양과학회
Citati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2, pp.217-222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arination with mixed salt (NaCl, CaCl2, and phosphate) and kiwi juice and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pork loin-based products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 database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pork loin in Korea. Diced chilled pork loin (2 × 2 × 2 cm) was marinated in 4 different treatments: no additives (T1), salt mix only (T2), kiwi juice only (T3), and salt mix + kiwi juice (T4). The mixed salt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NaCl, CaCl2, and phosphate dissolved in water (10% of pork loin weight) at concentrations of 0.5, 0.5, and 0.3% per pork loin weight, respectively. The amount of kiwi juice was 10% of pork loin weight. After marination for 24 hrs at 4°C, the samples were cooked with different methods including roasting with Kimchi, pan broiling, and simmering. After simmering, pH of pork loin of T1 and T2 was higher than that of T3 and T4 (p<0.05), while that of roasted with Kimchi and pan broiled did not show any difference. Water holding capacity of T4 after pan broiling was higher than that of T1, T2, and T3 (p<0.001) and shear force of T4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s. Also flavor and acceptability of T4 after pan broiling were scored higher by 11 sensory panelists (p<0.05). From this result, the pork loin-based products marinated with mixed salt and kiwi juice with pan broiling would be preferred by consumers as one of the methods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pork loin in Korea.
돼지고기 등심에 혼합염(NaCl, CaCl2 및 인산염 각각 육중량 대비 0.5, 0.5 및 0.3%(w/w))과 키위즙(육 중량 대비 10%(v/w))을 넣지 않은 것을 T1, 혼합염만 넣은 것을 T2, 키위즙만 첨가한 처리구를 T3, 키위즙 및 혼합염을 모두 첨가한 처리구를 T4로 하고, 이때 혼합염은 육중량의 10%(v/w)의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냉장 상태로 24시간 동안 각 처리구별로 침지한 돈육 등심을 조리조건 형태별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볶음 형태의 돈육 등심의 pH는 5.60 내외로 조리 방법 간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pan broiling은 돈육 등심의 pH가 6.02~6.16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Simmering의 경우 키위즙을 첨가한 돈육의 pH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전단력에 있어서 김치볶음의 경우, 무 처리구와 비교시 혼합염과 키위즙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낮은 전단력을 보여 연도가 개선됨을 나타내었다(p<0.01). Pan broiling한 경우 무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혼합염과 키위즙이 첨가된 처리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Simmering의 경우 혼합염을 첨가하였을 때(p<0.001) 낮은 전단력을 보였다. 보수력은 김치볶음 형태와 simmering 처리군의 보수력이 무처리군보다 낮아서 첨가된 김치와 양념혼합물 또는 볶음 방법이 혼합염과 키위즙의 돈육 품질 증진 효과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또한 pan broiling한 돈육 등심은 키위즙과 혼합염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보수력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은 김치볶음 형태로 조리한 등심의 경우, 냄새에서만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첨가된 김치와 양념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p<0.001). Pan broiling 방법으로 조리한 등심은 풍미와 기호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p<0.05, p<0.01), 혼합염과 키위즙 처리구(T4)가 가장 좋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Simmering의 방법으로 조리한 등심의 척도묘사 분석결과 냄새, 풍미는 T3에서, 다즙성은 T4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종합적 기호성에는 T4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simmering 방법의 경우 종합적 기호성은 냄새, 풍미보다는 입에서 느껴지는 식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비선호 부위인 돈육 등심의 조리 식품 등으로의 원료육 활용 등 이용 증진을 위해 김치볶음 형태의 조리법에서는 돈육 등심에 10% 키위즙만 첨가하고(T3), pan broiling 방법과 simmering 방법의(p>0.05) 경우는 혼합염과 키위즙을 함께 첨가하여(T4)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SSN
1226-3311
URI
https://hdl.handle.net/10371/208407
DOI
https://doi.org/10.3746/jkfn.2008.37.2.21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lated Researcher

  •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Research Area Analysis,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quality and process of animal-origin foods, Development of non-thermal process for improvement of safety of animal-origin foods, Understanding of muscle biology and cultured muscle production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