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Making of a National Self : 국민적 자아 만들기: 탈소비예트 카자흐스탄에서의 감정 교육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An Anthropological Study of Affective Education in Post-Soviet Kazakhst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정향진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4. 2. 정향진.
- Abstract
- My dissertation work focuses on the intersection of nationalism, self, and emotion within the context of a public Russian-medium school in Almaty, Kazakhstan. While most anthropological studies on educ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post-Soviet countries tend to approach nation-building as a product of the implementation of political discourses and national curriculum, my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often-overlooked realm of the affective aspects of national education. I argue that a sense of nationhood is closely tied to the dominant emotional culture learned through affective education in schools. The emotional culture consists of specific sets of emotional codes and cultural scripts that dictate the appropriate ways of emotional behavior. Utiliz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of school ethnography and drawing from theories of ethno-psychology and emotional constructivism, my research addresses how moral discourses shape the emotional socialization of Kazakhstani youth. By treating nation-building as an ongoing process that is rooted in daily affective education in public schools, I analyze how students are socialized into a particular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emotional aspects of education. I also discuss the implications that these socialization practices and discourses have on the way individuals develop a sense of post-Soviet belonging in Kazakhstan. In this study, I examine various settings within the school, ranging from dominant discourses and daily routines of public discipline to explicit and implicit forms of affective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I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chool's psychological discourse, which showcases the contestation of power between different emotional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post-Soviet changes. Through my findings, I demonstrate how educato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creatively blend Soviet and post- Soviet psychological knowledge and practices to construct a version of the post-Soviet self. Importantly, my research reveals the persistent influence of the Soviet cultural model of a collective self by serving new ideological meanings.
이 연구는 탈소비에트 카자흐스탄에서의 러시아어전용 공립 학교에서 국민주의, 자아, 감정 이 세 가지 범주들이 어떻게 작용되고 있는지 다루고 있다. 교육 관점을 통해 본 탈소비에트 카자흐스탄 국민성 관한 대부분의 인류학적 연구는 국민적 교과 과정 도입과 정치적 담론 분석을 통해 국민성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종종 간과되는 공립 교육의 정서적 문화, 즉 정서적 교육 (affective education)을 탐구한다. 정서적 교육은 감정을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과 도덕적 행동의 문화적 모델을 가르치는 교육의 분야이다. 정서적 교육의 관점에서 국민 정체성은 국가의 지배적 감정의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연구는 학교 민족지 (school ethnography)의 방법론적 틀과 민족 심리학 및 감정 구성주의의 이론적 접근을 활용하여 카자흐스탄 학교에서 청소년들이 어떻게 감정 사회화를 체험하며 시민이 되어가는지 검토한다. 국민 국가의 형성을 일상의 정서적 교육에 근간을 둔 지속적 과정으로 취급함으로써, 교육의 감성적 측면을 통해 학생들이 특정 국가 정체성으로 사회화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회화 실천과 담론이 카자흐스탄에서 개인들이 형성하는 소속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일상 생활과 공적 지배적 훈육의 담론, 교실에서의 명시적 및 암묵적 정서적 교육을 학교 민족지의 주된 데이터로 활용한다. 특히 탈소비에트 변화의 맥락에서 다양한 정서 공동체들간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학교의 심리적 담론에 주목한다. 연구 결과는 교사들, 학생들과 그들의 부모들이 소비에트와 탈소비에트의 심리적 모델을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카자흐스탄의 국민적 자아를 수행함을 드러내 준다. 특히 새로운 신자유주의적 의미에 봉사하는 집단적 자아 (collective self)라는 소비에트 문화 모델의 지속적인 영향을 드러낸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