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BIF)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지원요소 탐색 : Assessment of supporting factors i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the elementary grade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공립 초등교사와 대안학교 초·중등부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동일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 개념도 연구 ; 초등교사 ; 학교생활적응 ; 교사 인식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24. 2. 김동일.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pporting factors necessary for adapting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ity recognized by field educators. To this end, the dimension, cluster, and importance of the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adapting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were confirmed by using the conceptual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ree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focus questions with experience in research using the conceptual map research method set a research focus and confirmed the focus questions to be used for individual interviews. Second, by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1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BIF alternative schools, 392 idea statements were derived for the support elements for borderline intellig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apt to school life. Third, the four participants in the statement integration and feedback process integrated the statements based on the key word analysis method and finally confirmed 64 statements. Fourth,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field teachers on the final statement,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on all 20 study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idea generation stage. Fifth, the dimensionality and conceptual diagram were calculated by performing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n the results of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of the support elements necessary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dimensions were derived. The one-dimensional X-axis was named 'teacher support center-multiple subject cooperation support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pport subject, and the two-dimensional Y-axis was named 'recognition establishment center-direct support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support focus.
Second, eight cluster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he support elements needed to adapt to school life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ames of each cluster were cluster 1. Slow learner understanding education for parents and active participation by parents, cluster 2. Increa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low learners, cluster 3. Creating a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ization of slow learners, cluster 4. Establishing a teacher cooperation system in various fields, cluster 5. Enabling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s for slow learners, cluster 6. Multifaceted diagnosis process and mandatory diagnosis system, cluster 7. Self-esteem establishment and companionship formation, cluster 8. Specific learning and life guidance measures were named.
Third, the minimum value was 3.10, the maximum value was 4.75 and the average was 4.11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support factors necessary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ity on a 5-point Likert scale, indicating that priorities between importance levels were clearly calculated. The statement with the highest importance was '26. For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al effects, support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at least one to two years', followed by '1. We need to share growth cases through BIF support to instill awareness that we are receiving support for growth, not deficiency', and '11. Due to the nature of BIF with little success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ccess experiences through assignments that can be achieved in school life',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field educators recognized that support that saves the continuity and continuity of support programs and BIF's self-esteem was important. Among the eight clusters, the highest importance was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Group 2. BIF, followed by 'Group 1. Active participation of BIF understanding education and parents for parents', and 'Group 8. Establishment of Self-esteem and formation of companionship'.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field educators recognize the positive results of self-esteem and companionship through awareness establish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actical support elements were explored, focusing on school life, which is the daily life that BIF experiences most closely, and elementary school, which is the first school it meets. Most of the research on BIF has focused on ways to improve BIF's function, but this study focused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explored the support factors that the overall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BIF can provide them, suggesting that BIF's school life adaptation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organic cooperation acros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s of the parties. Second, sinc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opinions of field educator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t BIF alternative schools as well as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lso examined, and in-depth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teachers. Accordingly, a more specific plan containing the needs of the field could be presented. Thir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tatement were visualized into a conceptual diagram including dimension and cluster, providing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core stems through which support necessary for BIF's school life should be approached as well as understanding individual support e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육가들이 인식하는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지원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지원요소에 대한 차원과 군집 및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첫째,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수행 경험이 있는 3인의 초점질문 개발 참여자들이 연구초점을 설정하고 개별면담에 활용할 초점질문을 확정하였다. 둘째, 공립 초등교사 10인과 BIF 대안학교 초·중등부 교사 10인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지원 요소에 대한 392개의 아이디어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셋째, 4인의 진술문 통합 및 피드백 과정 참여자가 주요어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진술문을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64개의 진술문을 확정하였다. 넷째, 최종 진술문에 대한 현장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 참 여한 20인의 연구 참여자 전원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작업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결과를 다차원 척도 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차원 및 개념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지원요소에 대한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개의 차원이 도출되었다. 1차원 X축은 지원 주체의 관점에서 교사 지원 중심-다주체 협력지원 중심으로 명명되었으며, 2차원 Y축은 지원 초점의 관점에서 인식 확립 중심-직접 지원 중심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8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의 명칭은 군집 1.학부모 대상 느린학습자 이해교육 및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 군집 2. 느린학습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증진, 군집 3. 느린학습자 개별화 지원 시스템 마련, 군집 4.여러 분야의 교사 공조 시스템 구축, 군집 5. 느린학습자 대안학교 운영 활성화, 군집 6. 다면적 진단과정과 의무화된 진단 체계, 군집 7. 자존감 확립 및 교우관계 형성, 군집 8. 구체적인 학습 및 생활지도 방안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필요한 지원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한 결과 최소값은 3.10점, 최대값은 4.75점, 평균은 4.11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중요도 간의 우선순위가 명확히 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인 진술문은 26.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위해, 지원 프로그램은 최소 1~2년 이상의 단위로 진행되어야 한다였으며, 뒤이어 1. BIF 지원을 통한 성장사례를 공유하여 부족함이 아닌 성장을 위해 지원받는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11. 성공경험이 적은 BIF 특성상 학교생활 속 에서 달성 가능한 과제부여를 통해 성공경험을 제공해야 한다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 교육가들이 지원 프로그램의 지속성 및 연속성과 BIF의 자존감을 살리는 지원이 중요하다고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8개의 군집 중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인 것은 군집 2.BIF 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증진 이었으며, 뒤이어 군집 1.학부모 대상 BIF 이해교육 및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 군집 8.자존감 확립 및 교우 관계 형성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장 교육가들이 인식 확립을 통한 자존감 및 교우관계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F가 가장 밀접하게 경험하는 일상생활인 학교생활, 그 중에서도 처음 만나는 학교인 초등학교에 초점을 맞추어 실질적인 지원요소를 탐색하였다. BIF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 가 BIF의 기능 향상 방안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는 학교생활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BIF를 둘러싼 교육환경 전반이 이들에 게 제공할 수 있는 지원요소를 탐색하여 당사자의 기능향상뿐만 아니라 교육환경 전반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비로소 BIF의 학교생활적응을 이루어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현장 교육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살 펴볼 필요가 있기에 공립 초등교사뿐만 아니라 BIF 대안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함께 살펴보았으며 20인의 교사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현장의 요구가 담긴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진술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차원과 군집을 포함한 개념도로 시각화하여 개별 지원요소에 대한 파악뿐만 아니라 BIF의 학교생 활에 필요한 지원이 전반적으로 어떤 핵심줄기를 통해 접근해야 하는지 에 대한 구조적 이해를 제공하였다. 주요어 :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개념도 연구, 초등교사, 학교생활적응, 교사 인식 학 번 : 2022-25414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