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 분석 : An Analysis on the Stages of Concer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ed on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oCQ)
태도 단계 설문지(SoCQ)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성화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교학점제특수교사특수교육태도 단계 분석태도 단계 설문(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고교학점제 지원 방안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24. 2. 김동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ges of concern tow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and the differences on the stages of concern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necessary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each stages of concern tow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ges of concern were analyzed primarily,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high school credit systems. The research employed a quantitative approach through a survey.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support measures at each stages of concern, henc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which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targe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s, that offered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different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in South Korea.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asks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ges of concern tow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aligned with the theoretical model of stages of concern development proposed by Hall & Hord (2001). Specifically, stage 0(Awareness), 1(Informational), and 2(Personal) were prominent, resembling the model of Non-users who have not implement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age 3(Management) exhibited characteristics between Non-users and Inexperienced users. From stage 4(Consequence) onward, a rising trend was observed, with stage 4 and 5(Collaboration) showing characteristics of Renewing users. Stage 6(Refocusing) reflected the form of Experienced users.
Secondly, differences on the stages of concern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were significant only in gender, experience in task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and experience in applying(or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stages of concern based on age, teaching experience, school type, grade level, homeroom teacher status, administrative role, career guidance and vocational education guidance status, experience of training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Thirdly, based on the stages of concern tow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30 support measures were derived with 4 or 5 opinions summarized at each attitude stage, resulting in a total of 7 sta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bjectively analyzes the stages of concer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us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oCQ), which i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By exploring the necessary support at each attitude stage,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The finding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preparing educational systems that reflect the current trends, especially as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is scheduled for March 2025. Additionally, it can help alleviate the confusion and concer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s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ew syste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stages of concer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 high school credit systems and stage-specific support measures are herewith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 특성과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태도 단계의 차이를 분석하고,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별 필요한 지원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에 관한 연구, 두 번째는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별 지원 방안 탐색에 관한 연구이다. 이 두 개의 연구에서 첫 번째 연구인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에 관한 연구는 일차적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차적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태도 단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다음으로, 두 번째 연구인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별 필요한 지원 방안 탐색에 관한 연구는 특수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의 고등학교 과정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경기도 각 지역별로 특수학급이 설치된 공·사립 고등학교 소속 특수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특수학교의 경우 고교학점제의 특성상 고등학교 과정의 특수교사로 제한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특수교사를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의 특성은 설문지 원제작자인 Hall & Hord(2001)가 제시하는 태도 단계 발달의 이론적 형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0단계(인식), 1단계(정보), 2단계(개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태도 단계 발달의 이론적 형태에서 고교학점제를 실행해 보지 않은 비실행자(Nonuser)의 모형을 띄었다. 3단계(실행방법)는 고교학점제를 실행해 보지 않은 비실행자(Nonuser)의 단계 모형과 초보 실행자(Inexperienced User)의 단계 모형의 중간 단계의 특성을 나타냈다. 4단계(결과) 이후부터 파동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4단계와 5단계(협력)에서는 재생산적 실행자(Renewing User)의 모형 특성을 보였다. 6단계(대안)에서는 숙련된 실행자(Experienced User)의 형태가 나타났다.
둘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태도 단계의 차이는 성별, 고교학점제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고교학점제 적용(또는 실행) 경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연령, 교직경력, 학교유형, 담당학년, 담임여부, 보직여부, 진로와 직업 교과 지도 여부, 고교학점제 관련 연수 이수 경험, 고교학점제 경험에 대한 느낌에서는 태도 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태도 단계에 따라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으로는 7개의 각 태도 단계에서 4개 또는 5개의 의견이 정리되었고, 총 30개의 지원 방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혁신 채택 모델인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의 태도 단계 설문지(SoCQ)를 사용하여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 단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각 태도 단계별 필요한 지원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25년 3월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기에 앞서 특수교사들의 현장 경험을 토대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으므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교육제도를 준비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교육제도의 변화에 따른 특수교사의 혼란과 걱정을 줄이고, 새로운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와 단계별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049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31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