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 청년의 청년기 생애과정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의 의미와 양상 : Meaning and Aspect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Life Course of Young Adulthood in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경애

Advisor
유승현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청년의 신체활동생애과정 변화물리적 환경건강증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4. 2. 유승현.
Abstract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the active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has become a major public health issue. In South Korea, the promotion of a more active lifestyle in daily routines is encouraged through the Healthy Lifestyle Guideline. However, young adults in Korea today often lead sedentary lifestyles, dedicating relatively little time to physical activity. The rates of walking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among young adults have, on the whole, shown a stagnation or decline since 2014. While discussions on physical activity have predominantly centered on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delved into the context of young adults. Considering that lifestyle habits and health influences established during young adulthood can have lasting effects, there are cri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 advocating and promoting for increased physical activity during this life stage. Young adulthood marks a period of substantial life course changes, and individuals' physical activity behaviors and life contexts change depending on these changes. Given th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s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considered in promoting their physical activity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and aspects of physical activity practices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of young adults and explor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is demographic.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s Seoul, a city known for their high concentration of young adults, and especially focused on two districts exhibiting different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ractices during young adulthood. Based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the walking and aerobic activity practice rates were analyzed, leading to the selection of district A and district B, representing respectively higher and lower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ractice. The researchers utilize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data of 21 case collected from an existing research project in which the researcher participated. The 21 participants were young adults who had undergone at least one major life course change after entering young adulthood, ranging in age from 19 to 39. The data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explore how young adults' experiences of physical activity practice have evolved over the course of the life course, with implications for each, and the contex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kn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activity practice.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study's results indicated that young adults attribute different meanings to physical activity behaviors throughout their life course, and the triggers and modalities of their behaviors undergo changes. Young adults practiced physical activity with intention and purpose at each life stag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ime and space, all guided by an overarching pursuit of a healthy and enjoyable life. During their academic years, young adults primarily participated in sports for leisure, considering it an enjoyable activity for stress relief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contrast, dur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phase, physical activity shifted towards walking or strolling for health due to time constraints. Upon entering the labor market, physical activity was perceived as both a pursuit of current health and a long-term investment in future well-being. Interestingly, young adults without independent households were more inclin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for personal improvement, focusing on strength and fitness. On the other hand, young adults with spouses an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low-intensity physical activity practices, allowing for family time. The study also highlighted the impa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ommunities where young adults live and work across their life course. Contextual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example, safety concerns regarding access to assets being particularly relevant for women in early adulthood, and for young adults with children, the availability of spaces with their children was linked to their physical activity practic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voiding a one-size-fits-all approach in interventions targeting young adults. Understanding shared unique characteristics during young adulthood is crucial, but recognizing the distinct values specific to each life course stage is equally important. Young adulthood is characterized by dynamic life course changes, necessitating tailored support policies that align with the timing and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Considering the limited time and space available for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ies, coupled with their active use of a broad environmental area, the focus should shift from quantitatively increasing physical environmental assets to ensuring their accessibility and encouraging their utilization by young adults. Continuou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policies and support programs are essential for effectively promoting physical activity during young adulthood.
신체활동 참여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Bize, 2007), 신체활동의 적극적 실천은 공중보건의 주요 화두가 되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국내에서도 건강생활수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활동을 늘리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0). 그러나 현대의 청년은 많은 시간을 앉아서 보내는 반면, 신체활동 시간은 비교적 적었으며, 청년의 걷기 실천율 및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역시 2014년 이후 전반적으로 정체 또는 감소하는 추이를 보인다(보건복지부,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2021). 신체활동 실천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주로 노인과 같은 취약한 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청년의 경우 소수의 연구만이 다루고 있다(이재빈 외, 2020; 조정환, 2011). 청년기에 형성된 생활 습관과 건강의 영향은 생애주기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청년기 신체활동의 적극적 실천을 도모는 보건의 분야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여정희&김은영, 2010; 변혜민 외, 2018). 청년기는 생애과정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시기이며(김지영&전희정, 2021; 이삼식&최효진, 2010), 생애과정에 따라 개인의 신체활동 실천 양상과 생활의 터전이 달라진다(Sallis et al., 2006; 보건복지부, 2020). 청년의 신체활동 실천 촉구에 있어 이러한 청년기의 고유한 특성은 지금까지 잘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는 청년기 생애과정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의 의미와 양상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이들을 위한 개입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이 밀집하여 거주하는 서울시 중에서도 청년기 신체활동 실천 수준이 상이하게 다른 2개 자치구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 삼았다.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토대로 걷기 실천율 및 유산소 활동 실천율을 분석하여 신체활동 실천 수준이 종합적으로 높은 A구와 낮은 B구를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참여하였던 기존 연구과제로부터 동일한 연구대상지역에서 모집된 21건의 인구사회학적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 자료를 제공받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1건에 해당하는 참여자는 만19세에서 만39세의 청년기 진입 후 주요 생애과정 변화 중 1개 이상을 경험한 청년이다. 심층면담의 자료를 토대로 청년의 신체활동 실천 경험이 생애과정 변화에 따라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신체활동 실천에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진 물리적 환경의 맥락을 함께 탐색하였다.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은 생애과정에 따라 신체활동 실천에 부여하거나 받아들이는 의미가 달랐으며, 실천의 계기와 양상 역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년은 건강하고 즐거운 삶의 지향이라는 큰 방향성 하에서 각 생애과정에 따라 의도와 목적성을 가지고 시간과 공간의 영향을 받아 신체활동을 실천하였다. 학업 수행기의 청년에게서 스트레스 해소와 성취감을 추구할 수 있는 즐거운 행동으로서 받아들여지며 여가 차원의 스포츠 형태로 신체활동이 주로 수행되었다면 취업준비기에는 부족한 시간 속에서 건강을 위해 걷기나 산책을 통한 신체활동 실천이 두드러졌다. 노동시장에 진입한 이후로 청년은 현재의 건강을 추구하는 활동이자, 미래의 건강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로서 이해되었다. 또한 자신만의 독립적인 가정을 꾸리지 않은 청년은 스스로를 위한 목적에서 근력과 체력의 향상을 위한 신체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려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나, 배우자 및 자녀가 있는 청년에게서는 상대적으로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형태의 저강도 신체활동 실천이 수행 및 지향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년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은 전 생애과정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초기 청년기의 여성에게는 자산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치안의 문제가 특히 밀접하게 연관이 있었고 자녀가 있는 청년에게는 자녀와 함께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신체활동 실천과 연결되는 등 생애과정에 따른 맥락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년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고 개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시사하며, 청년기에 공유되는 고유한 특성들을 이해하되, 각 생애과정에 따라 더 중요한 가치가 존재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년기는 생애과정 변화가 매우 역동적으로 발생하며, 시기와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지원 정책을 펼칠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청년이 이용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동시에, 넓은 환경 반경을 활발히 이용함에 주목하여 물리적 환경 자산을 양적으로 증설하는 것에 치중하기보다, 청년의 실제 접근성이나 활용을 촉구하는 요소가 확보되어 있는지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실효성 있는 청년기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이러한 정책 및 지원사업의 방안이 지속적으로 고안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075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21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