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석기토 상감기법 도자 작품 연구 : A Study of Stoneware Works Using Inlay Techniqu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황갑순, 허보윤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4. 2. 황갑순, 허보윤.
- Abstract
- 도자 상감기법은 태토에 원하는 문양을 새기고 그 문양대로 화장토를 감입하는 표면 장식기법이다. 연구자는 일상에서 포착한 장면들을 흙으 로 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감기법에 착목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작품 연구에 앞서 상감기법에 대한 역사적·현대적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시대가 변함에 따라 상감기법의 방식과 문양이 변화하는 양상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 인화문 상감분청사기의 추상 문양을 보 고 상감기법의 현대적 활용과 표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어서 상감기법의 시각적 효과와 기술적 한계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 을 통해 상감기법이 다른 도자 장식기법과 다르게 문양의 집약으로 나타 나는 특유의 회화적 특징과 물질적인 깊이감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상감기법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물의 전면을 여 백 없이 장식하고, 넓이의 제약이 없는 문양을 상감하는데 기술적인 한 계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상감기법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며, 기술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석기토 상감기법을 고안하였다. 또한 석기토 상감기법을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 하는 현대 도자 사례를 수집하였다. 이 사례 연구를 통해 연구자만의 조 형 언어를 상감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상감기법의 물질적 깊이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재료로서 석기 토를 개발하였고, 넓은 면적에 상감 장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화장토 수 축률 조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업의 효율을 위하여 물레 성형 제작 방 식을 택하였다. 추상 문양의 시각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단순하고 원 시적인 형태에 음각과 압인 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하였다. 점·선·면의 기 초 조형 요소를 활용한 추상적 패턴을 상감기법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 였다. 상감기법은 도자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는 장식기법이지만, 현대적 재 해석이 충분치 않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상감기법 효과와 한계를 고찰하고, 상감기법에 적합한 석기토와 상감 화장토를 직접 개발하여 현 대적 미감의 관점으로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발견한 점에서 의의가 있 다. 주요어 : 상감기법, 석기토, 화장토, 문양 학 번 : 2019-29835
The ceramic inlay technique is a surface decoration technique in which the pattern is engraved on the clay and the engobe is filled according to the pattern. The author started this study with the inlaid technique as a means to represent s enes captured in everyday life with clay.
Prior to the work study, historical and modern cases of inlay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method and pattern of the inlay technique as the times changed. In particular, the author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 inlay technique that can be used modernly by looking at the abstract patterns of Joseon Stamped Buncheong Ceramics.
The author analyzed in earnest the visual effects and technical limitations of inlaid techniques. Through this process, the author learned that unlike other ceramic decorative techniques, inlaid techniques can feel the unique painting characteristic and material depth that appear when patterns are concentrated.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 of these inlaid techniques,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technical limitation in decorating the front of the object without a blank and inlaid patterns without restrictions on their width. Therefore, a stoneware inlaid technique was devised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 of the inlaid technique and to compensate for the technical limitations.
In addition, the author collected cases of modern ceramic that produce original works using stoneware inlaid techniques as a means of expression. Through this case study, it was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applying the author's own formative language to the work using inlaid techniques.
The author judged that stoneware with excellent plasticity and various color characteristic was suitable for applying the inlaid technique, and chose the wheel-throwing molding method for the efficiency of the work. In addition, a engobe contraction rate adjustm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pply the pattern desired by the author. The author produced a simple and primitive form focusing on abstract inlaid patterns, and examined the patterns using carving and stamping techniques. The author formed an abstract pattern using basic formative elements of dots, lines, and planes and attempted various expressions through inlaying techniques.
Inlaid techniques have been actively used since the past, but reinterpretation of inlaid techniques is still stagnant. However,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does not imitate or follow traditional inlaid techniques, but attempts various expression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esthetic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lect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suitable for the inlaid technique and strives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inlaid technique.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