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희망직업의 부재가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 How uncertainty in occupational aspiration affects the transitions from school to work :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uncertainties
부재의 유형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명은

Advisor
권현지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희망직업노동시장 이행불확실성사회경제적 지위젠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4. 2. 권현지.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희망 직업 공백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 고, 이를 중심으로 개인의 사회적 위치와 노동시장 이행 간의 관계를 살 펴보았다. 최근 10년 동안 희망 직업이 없다고 답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상승했으나 학문 분야 간 관점 차이로 인해 이를 적절히 설명하려는 시도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는 Gottfredson 의 제한-타협 이론을 통해 희망 직업의 부재를 역량 결여와 선택 보류로 유형화했으며, 각 유형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희망 직업 없음'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그중에서도 자아 이해와 직업 정보가 부족 한 역량 결여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희망 직업의 부재가 노 동시장 진입 시기와 지위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희망 직업 없음'은 진입 시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SES와 결부되었을 때 획득 지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여성 은 역량 결여에 속할 때 대기업 정규직을 획득할 확률이 감소했다. 그리고 선택 보류에 속하는 청년은 더 나은 일자리를 위해 취업을 유보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구직 기간에서 나타나는 자원의 차이가 실제 지위 획득으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This study categorizes the gap in desired occupations among adolescents into two typ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social position and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centered on these types. Over the past decade, the proportion of adolescents reporting no occupational aspiration has increased, but attempts to adequately explain this due to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academic fields have been limited. To address this, the study typifies the absence of a desired occupation into 'lack of competence' and 'deferred choice' through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nalyzing the determinants for each type. The analysis found that men and thos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are more likely to fall into the 'no desired occupation' category, especially into 'lack of competence' due to insufficient self-understanding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study looked at the impact of the absence of a desired occupation on the timing of labor market entry and status attainment. While having no occupation aspiration did not affect the timing of entry, it did impact the status attained when associated with SES. Women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were less likely to obtain stable positions in large companies when they fell into the 'lack of competence' category. Moreover, young people classified under 'deferred choice' were more likely to defer employment for better job opportunities, indicating that differences in resources during the job search period lead to actual status attain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11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34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