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직업의 성별 분리, 1970-90: 대수선형 및 승법모형의 적용 :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준-
dc.date.accessioned2010-01-21T05:41:39Z-
dc.date.available2010-01-21T05:41:39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citation한국사회과학, Vol.20 No.3, pp. 265-291-
dc.identifier.issn1226-732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406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성적 불평등의 두드러지고 중요한 현상의 하나로서 직업의 성별 분리의 추세를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1970년에서 1990년까지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직업의 성별분리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온 상이성지수 혹은 표준화지수 등이 직업구성 혹은 취업자 성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직업의 성별 분리의 추세를 살펴보는데 적합치 않다는 점은 지적하면서 직업구성과 성비를 모두 통제한 새로운 성별 분리의 지표로서 대수연관지수를 자료에 적용하여 직업의 성별 분리의 추세를 살펴보았다. 대수연관지수는 상이성지수 혹은 표준화지수와 달리 1980년에서 1990년 사이 성별 분리의 감소경향이 두드러짐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단일수치 지수만으로 변화의 복합성이 제대로 파악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경험적으로 검증한 결과, 단일수치 만으로는 변화의 양과 방향의 복합성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성별 분리의 추세를 부문별로 혹은 직업의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직업의 성별 분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요인들로서 여성에 대한 고등교육의 증가, 성평등주의의 확대, 산업구조의 심화와 정보화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평등주의의 효과는 민간부문보다 공론에 보다 민감할 것으로 여겨지는 공공부문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밖에도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생산직의 남성화, 정보화 부문에 대한 여성의 진출 등이 두드러졌다. 한편 고등교육의 효과는 제한적으로만 나타나서, 전통적으로 남성우위의 직종으로 여겨진 법률, 회계 등의 분야는 별다른 변화가 없으며, 자유직의 성격을 띤 전문직에서 성별 분리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trend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n Korea from 1970 to 1990.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s a prominent and important aspect of gender inequality. Index of dissimilarity of size-standardized index, both adopted widely for measuring occupational segregation, are not free from marginal distribution, either gender or occupation, and therefore could not get rid of bias in observing the trend of segregation. I take advantage of a new margin-free association index to control for confounding effects of gender and occupation. In contrast to the other measures, association index emphasizes the downward trend in segregation between 1980 and 1990. However, the results from estimating log-linear and log-multiplicative models showed that the changes in segregation are far more complex than can be represented by changes in values of scalar index, This suggests a need to examine trend in occupational segregation by sectors and occupational groups.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ch factors as increasing female educational attainment,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EEO) legislation,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I found that this effect of EEO legislation is more salient in public sector rather than in private business sector. As a consequence of industrial restructuring, the male dominate manufacturing occupations and the female increasingly enter information-related occupations. The effect of high education appears among selected freelance professional occupations, and traditionally male-dominated professions such as lawyers or accountants remain unaffected.-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dc.title한국 직업의 성별 분리, 1970-90: 대수선형 및 승법모형의 적용-
dc.title.alternative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n Korea-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한국사회과학-
dc.citation.endpage29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pages265-291-
dc.citation.startpage265-
dc.citation.volume2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