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십승지 고(考) : Survey of ten dispensation territor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선명-
dc.date.accessioned2009-06-15T06:13:13Z-
dc.date.available2009-06-15T06:13:13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citation종교와 문화, Vol.5, pp. 157-171-
dc.identifier.issn1976-79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4638-
dc.description.abstract정감록(鄭鑑錄)에서 말하는 굶주림과 병마가 없다고 하는 십승지지(十勝之地)는 풍기(豊基)의 금계촌(金鷄村), 안동(安東)의 춘양면(春陽面), 보은(報恩)의 속리산(俗離山), 운봉(雲峰) 두유산(頭流山), 예천(體泉)의 금당동(金堂洞), 공주(公州)의 유구(維鳩)와 마곡(麻谷) 영월(永越)의 정통상류(正東t流), 무주(茂州)의 무풍동(皮豊洞), 부안(扶安)의 변산(邊山), 성주(星州)의 만수동(滿水洞)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열 곳의 복 받은 땅은 자연 혹은 인문 지리적인 특별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서 선택된 것이 아니라, 그저 설화적으로만 전해 내려오는 관념상의 존재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자의 풍수사상이나 역술에 관심을 갖는 이들은 대체로 이 십송지지는 도선(道詵)이 계시한 조종지법(祖宗之法)에 따라 남사고(南師古)가 점정(占定)한 것이라고 믿고 있지만 실증할 만한 근거는 희박하다. 이 십숭지지의 관념은 근세에 들어와서 국사(國史)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위난의 상황에 접하게될 때마다 맹렬한 기세를 떨치면서 유언비어라든가 실제로 소규모의 민족이동을 방불케 하는 집단적 움직임을 시현(示顯)하게 했다. 이 십승지지설은 그것을 포괄하고 있는 정감록(鄭鍵錄)의 여러 비결류(秘訣類)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예언설이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예언설은 한국의 특수한 역사 문화 조건에서 양성된 것 으로서, 그것을 금과옥조로 신봉하고 설화상에서 말하는 풍수의 시조라고 일컫는 인물들을 신비화하는 풍수가(風水家) 내지 일반 작가의 주장과 종교사학의 입장 사이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전제하면서 본론에 들어가고자 한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dc.title십승지 고(考)-
dc.title.alternativeSurvey of ten dispensation territory-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wang, Sun Myung-
dc.citation.journaltitle종교와 문화(Religion and Culture)-
dc.citation.endpage171-
dc.citation.pages157-171-
dc.citation.startpage157-
dc.citation.volume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