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
Religious Studies (종교학과)
종교학연구(Journal of Religious Studies)
종교학연구(Journal of Religious Studies) 01집(1978)
엘리아데의 상징론
- Authors
- Issue Date
- 1978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 Citation
- 종교학연구, Vol.1, pp. 3-22
- Abstract
- 象徵은 推物, 行動, 狀態, 性質,關係,理念 등 모든 것에 대한, 意味內 容을 밝히는 媒介手段으로 여러가지 記號, 言語,動作,具體物 事物에 의하여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象徵의 一般的 性格으로서 카시러나 랭거(S.Langer)는 사인(記號)과 심볼을 구별하여 前者가 指示(indicate)의 기능이 있다면 後者는 表象(represent)의 기능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宗敎에서 象徵은 일반적으로 숭배되는 自然物, 神像, 建築,祭典,記章등 눈으로 보이는 具體的인 象徵物(emblern)에만 한정하기도 하지만, 象徵의 一廄理論과 연관하여,動作에 의한 表現, 言語에 의한 表象도 宗敎的 象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광범위한 宗敎的 象徵의 문제를 W.R 콤스톡크는『宗敎 및 原始宗敎에 대한 研究』(The S셔요 of Religion and Primitice Rel-igion)란 冊에서 란 제목으로 다루면서,象徵化의 行爲를媒介로 하여 인간을 연구하는 解釋學의 方法이 宗敎學에서도 중요한 窓味를 가진다고 지적하고 있다.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