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 후기 유력 가문 형성의 한 사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구

Issue Date
2003-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奎章閣, Vol.26, pp. 133-150
Abstract
조선 후기는 성리학적 宗法의 정착에 따라 부계 친족적 질서가 강한 규정력을 가지게 되었다. 그 표현 단위는 本貫과 하부 단위인 支派였다. 부계친족 집단 전체를 포괄하는 본관과 본관의 실제 운영 단위인 지파는 개개 삶의 영역 뿐만이 아니라 사회의 제반 영역에 조응하며 사회 질서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단적인 예로 19세기 초반 유력 가문들의 과두적 연합 권력이라 할 수 있는 세도정권이 출범한 것은, 지배층의 다양한 사회적 편제 가운데

가문이 국가권력을 좌우할 정도로 지대한 규정력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지배층을 가르는 여러 기준, 예컨대 붕당 · 학맥 · 지역 등의 요소와 마찬가지로 가문을 또 하나의 고리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ISSN
1975-628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640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