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의 교설과 공정성 논변에 대한 시몬스의 분석에 대한 비판 : A Critique of Simmonss Analysis of the Consent Doctrine and the Fair Play Argumen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명순-
dc.date.accessioned2010-07-29T04:25:37Z-
dc.date.available2010-07-29T04:25:3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citation철학사상, Vol.36, pp. 423-457-
dc.identifier.issn1226-7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68761-
dc.description.abstract정치적 권위에 대한 시민의 복종의 의무를 자발성을 토대로 정당
화하는 논변에는 동의 교설과 공정성 논변이 있다. 동의 교설은 개인들의
자발적인 명시적 동의나 묵시적 동의를 통해, 공정성 논변은 정치 공동체
가 제공한 혜택의 상호 보답을 통해 시민의 복종의 의무를 정당화한다. 그
러나 시몬스는 로크의 동의 교설은 묵시적 동의 개념을 혼동되게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한편 그는 공정성 논변의 경우 단순한 수혜와 혜택의 수
용에 대한 구별을 통해 자발성을 담보하는 후자의 경우가 현실적으로 드물
다며 정치적 권위의 정당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두 논변에 대한 시몬스의 분석은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
다고 주장한다. 즉, 우리가 자발성을 보증하기 위해 의도 및 인식 조건에
의해 혜택의 수용과 단순한 수혜를 구별하게 되면 혜택의 수용은 선택 행
위가 되고, 나아가 관계적 선택 행위로서 묵시적 동의에 포섭된다. 이에
따라 공정성 논변은 동의 없이도 정치적 의무가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자신
의 설득력을 상실하고 동의 교설에 포섭되는 것이다. There are two types of transactional arguments which justify
individuals obligation to obey political authorities: the consent
doctrine and the fairness arguments. The former justifies it through
individuals giving express or tacit consent; the latter through
reciprocating the benefits a political community offers. However,
Simmons argues, for the former, that Locke confuses tacit consent
with accepting benefits; for the latter, there are few who accept
benefits and therefore, according to Simmons, both arguments do
not apply to the legitimacy of political authority in contemporary
political society.
However, I argue that Simmons faces a critical problem. If he
distinguishes the acceptance of benefits from the mere receipt of
benefits according to his intention and knowledge conditions, the former
becomes a sort of choice act and further is subsumed within tacit
consent as a relational choice act. Therefore, the fairness arguments
maintaining that political obligation arises without individuals consent
lose their convincing force and hence are subsumed into the tacit
doctrine.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dc.subject정치적 권위-
dc.subject정치적 의무-
dc.subject정당화-
dc.subject정당성-
dc.subject명시적 동의-
dc.subject묵시적 동의-
dc.subject공정성-
dc.subject혜택의 수용-
dc.subject단순한 수혜-
dc.subjectPolitical Authority-
dc.subjectPolitical Obligation-
dc.subjectJustification-
dc.subjectLegitimacy-
dc.subjectExpress Consent-
dc.subjectTacit Consent-
dc.subjectFairness-
dc.subjectAcceptance Of Benefit-
dc.subjectMere Reception Of Benefit-
dc.title동의 교설과 공정성 논변에 대한 시몬스의 분석에 대한 비판-
dc.title.alternativeA Critique of Simmonss Analysis of the Consent Doctrine and the Fair Play Argument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Myung-Soon-
dc.citation.journaltitle철학사상-
dc.citation.endpage457-
dc.citation.pages423-457-
dc.citation.startpage423-
dc.citation.volume3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