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중 '공'(공공성)문화 비교: 조직론의 관점에서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public' culture: organizational viewpoin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하영-
dc.date.accessioned2010-12-03T03:05:31Z-
dc.date.available2010-12-03T03:05:31Z-
dc.date.issued2005-03-
dc.identifier.citation행정논총, Vol. 43 No. 1, pp. 33-70-
dc.identifier.issn1229-669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0649-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행정학, 특히 조직론에서 행정의 목적인 공공성 혹은 그 하위개념인 공익에 대하여 문화적인 시각에서 한국과 중국의 공공성(문화)을 비교한 논문은 많지 않는 것 같다. 따라서 본고는 그동안 서구의 사회과학에서 논의 되는 공공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또한 동아시아의 철학계에서 논의 되는 동아시아의 공공성의 개념을 분석한다. 또한 동아시아(중·한)의 공의 기초인 가족구조를 비교분석한다. 그리고 이 가족구조를 유추해서 행정조직에서의 한·중 공문화를 비교한다. 연구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은 집단 속에 사적권리(자기 몫)가 존재하고 사적권리가 연합하여 연결의 공을 이룬다. 이에 비해 한국은 사적권리가 부정되며 출신 집단에 기반 한 우리의 공을 이룬다. 따라서 중국은 조직에 의존하면서도 자립하는 경향을 갖고 있으며, 또한 자주적이고 분산적인 구조를 갖는데. 이에 비해 한국은 권위주의, 즉 집권과 서열체제의 경향을 갖으며, 또한 획일주의적 구조를 갖는다. 둘째, 중국은 권력영역의 공의 경향이 많고, 한국은 권위영역의 공의 경향이 많다. 중국지도자의 권련영역의 공의 원천은 실력과 공정에 있고, 이에 비해 한국지도자의 권위영역의 공의 원천은 생득적이고 감투에 있다. 셋째, 중국은 평등적인 평균의 공이고, 한국은 차별적인 명분의 공을 지닌다. 중국 행정조직은 평균주의 이면서 실력주의가 우선시된다. 이에 비해 한국은 차별적 혹은 서열주의를 중시한다. In the organizational theory, here are not many published articles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public culture in terms of publicness or public good.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the context of Western social science, and then investigate the same concept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philosophy. After carefully reviewing the family structure in Korea and China, the paper continues to compare their public culture through organizational viewpoint. The findings are followings: First, Once the Chinese have their private right (or own shares) in the group, they have the public sense of connection based on accumulated private right. In the meantime, private right is not accepted in Korea but the Koreans have the publicness of Uli (us) according to their original group. In short, the Chinese tend to rely on their organization and come to self-reliance, at the same time they are both self-active and dispersive. On the other hand, the Koreans tend to depend on authoritarianism including the centralization of power, the rank system, and the principle of standardization. Second, whereas the Chinese tend to have the publicness of power, the Koreans tend to do the publicness of authority. The Chinese leader°øs source of publicness of power comes from their job-performance ability and fairness, but the Korean leader's one of publicness of authority does from the instinct of self preservation and the aspiration for government post. Third, the Chinese like the publicness of average, which is equal, but the Koreans like the publicness of justification, which is discriminative. The Chines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prefers the principle of average and the principle of job-performance ability, whereas the Korean one considers discriminative rank system.-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dc.subject공공성-
dc.subject평균-
dc.subject서열-
dc.subject자기 몫-
dc.subjectPublicness-
dc.subjectAverage-
dc.subjectRank system-
dc.subjectOwn shares-
dc.subject꽌시-
dc.subject우리-
dc.subject감투-
dc.subjectGuanxi-
dc.subjectUli-
dc.subjectGarntu-
dc.title한·중 '공'(공공성)문화 비교: 조직론의 관점에서-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public' culture: organizational viewpoint-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ng, Ha-Young-
dc.citation.journaltitle행정논총(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dc.citation.endpage70-
dc.citation.number1-
dc.citation.pages33-70-
dc.citation.startpage33-
dc.citation.volume4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