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녹색·평화국가론과 한반도 평화체제: 국가형태와 남북관계 : A Theory of Green-peace State and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Forms of States and Inter-Korean Rel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구갑우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Citation
통일과 평화, Vol.2 No.1, pp. 3-44
Keywords
녹색국가평화국가발전국가안보국가국가형태국가행동의 이론남북관계비핵화한반도 평화체제
Abstract
이 글은, 남북이 추구했던 발전·안보국가가 한계에 직면하면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녹색·평화국가론의 시각에서, 국가형태와 남북관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
로, 한반도 평화체제 의제를 조망한다. 남북관계는 남의 발전·안보국가와 북의 발전·
안보국가의 갈등과 협력관계에서 남의 (발전주의적) 녹색·안보국가와 북의 약탈·군사
국가의 갈등과 협력관계로 변형되었다. 이 새로운 남북관계에서 의제화되고 있는 한반도
평화체제를 둘러싼 쟁점으로, 비핵화와 평화체제의 관계, 안보담론의 전환, 평화체제의
내용과 형태, 비핵화의 의미, 평화체제와 한미동맹, 평화체제와 유엔군사령부, 평화체제
와 다자간 안보협력 등을 검토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녹색·평화국가로 가는 경로와 녹
색·평화국가의 철학적 기초를 제시한다.
ISSN
2092-500X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10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er Institutes (연구소, 연구원)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통일평화연구원)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통일과 평화)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통일과 평화) vol.02 no.01/02 (2010)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