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모형 구축: 공익형 NGO의 형성 정도와 정책참여 수준을 중심으로 : Designing Local Governance Models in the Framework of Local NGOs' Policy Particip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영평-
dc.date.accessioned2010-12-11-
dc.date.available2010-12-11-
dc.date.issued2003-03-
dc.identifier.citation행정논총, Vol. 41 No. 1, pp. 47-71-
dc.identifier.issn1229-669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1110-
dc.description.abstract거버넌스는 정부의 관리 혁신과 민주척 정책 참여네트워크가 결합왼 새로운 의미의 정책관리 체제를 의미한다. 정부의 관리혁신으로 얻어지는 것온 고객만족 형 작은 정부이며,정책 참여 네트워크 형성으로 얻어지는 것은 정부 신뢰와 공 익 증진이다. 거버넌스의 한 축인 지방정부는 공익형 NGO와의 정책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정부의 관리 혁신과 정책에 대한 주민의 신뢰와 수용을 높여나가야 하며,지방의 공익형 NGO는 참여와 더불어 건전한 사회자본을 생산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지방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축, 즉 지방정부와 지방의 공익 형 NGO가 여하히 협동하느냐하는 것용 향후 삶의 질 향상에 시너지적 영향 (synergistic effects)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1) 공익형 NGO 의 형성 정도와 2) 참여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태도를 두 축으로 하여 4개의 거버넌스 모형 - 통치형 거버넌스,대립형 거버넌스,참여형 거버넌스,친화형 거버넌스을 도출하였다. 또한,정부와 정책창여 집단과의 상호작용의 형태에 따라 6가지 유형의 거버넌스 모형 - 일방형 거버넌스,특혜형 거버넌스,집합형 거버넌스,통합형 거버넌스,네트워크형 거버넌스,별거행 거버넌스 - 을 도출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거버넌스 모형 구축의 유용성과 한계,그리고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에 판하여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sponsorship이 연구는 2002학년도 대구대학교 연구조성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dc.subject거버넌스-
dc.subject거버넌스모형-
dc.subject지방정부-
dc.subjectNGO-
dc.subject참여네트워크-
dc.title지방정부의 거버넌스 모형 구축: 공익형 NGO의 형성 정도와 정책참여 수준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Designing Local Governance Models in the Framework of Local NGOs' Policy Participation-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 Young-Pyoung-
dc.citation.journaltitle행정논총(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dc.citation.endpage7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pages47-71-
dc.citation.startpage47-
dc.citation.volume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대학원)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과)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KJPA)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vol.41 (2003)
Files in This Item: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