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 16세기 감로도의 위난 이미지를 통해 본 사회상 : The social impact through the danger images of the sweet Nectar Paintings in the Joson period, the 16th centur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경-
dc.date.accessioned2011-02-28T03:03:35Z-
dc.date.available2011-02-28T03:03:3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citation한국문화, Vol.49, pp. 25-49-
dc.identifier.issn1226-83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3073-
dc.description이 글은 '제2회 규장각 한국학 국제심포지움: 한국의 기록문화와 법고창신' 제3세션 '조선사회의 도상적 기록으로서의 감로탱화'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국내 현존하는 감로도는 70여 점이며, 그 가운데 조선 16세기에 제작된 사례는 다섯 작품이며, 16세기 이전에 조성된 감로도는 현재 확인된 바 없다. 다만 수륙재·우란분재 등의 의식과 관련할 때 이전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조선전기 마본불화의 출현 및 신중도, 삼장 보살도, 지장시왕도 등과 같은 중·하단신앙의 도상을 고려할 때 적어도 조선 1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출현하기 시작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이 시기의 작품사례는 현존하는 한국 감로도 사례 중에서는 가장 초기에 만들어진 초기 감로도라 할 수 있다.

이 초기 감로도 작품들은 산수를 배경으로 천공으로부터 강림하는 불보살상과 지상의 미혹한 자들의 재난상을 극명하게 대비시켜 나타낸 그림으로, 바로 허공에 떠도는 아귀들에게 천상묘미 감로를 베풀어 극락정토세계로 인도하고자 하는 시감로 제아귀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초기 감로도는 작품마다 차이는 있으나, 화면 중앙의 재단을 중심으로 화면을 위아래로 구획하고, 여기에 다양한 장면과 더불어 자연경관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것이 공통적이다. 화면 상단에는 인로왕보살을 선두로 아미타삼존상 및 칠여래상과 같은 불보살상이 배치되고, 중단에는 공양물과 공양구로 갖추어진 재단을 중심으로 의식을 거행하는 작법 승려 그룹과 재를 지내는 공양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에는 인간들의 여러 위난상을 묘사하고 있다. 하단의 장면에 대해서는 아귀도의 양상, 비명횡사한 고혼, 육도윤회의 제상, 지옥의 처참한 광경, 현실 세계의 반영 등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각종 재난상이 그려져 있다. 이처럼 하단에 표현된 여러 가지 위난상은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시각적 코드라 할 수 있다.

Existing Sweet Nectar Paintings in the 16th Joson dynasty are estimated about 70works. The Painting of private collection in Korea(1580), Yakusen-Ji (1589), Saiko-Ji(1590), and Joden-Ji(1591) in Japan represents 16th century"s the Sweet Nectar Paintings. These unique five paintings portrait Buddha and Bodhisattva descending from the heaven, laypeople"s ill-informed devotion to Buddhism that causes of disasters, and starving ghosts and spirits who guide laypeople onto the Pure Land of Sukhavati by offering the sweet nectar

Generally, the Sweet Nectar Painting is divided major three parts. In the upper part, there are Inrowang Bodhisattva, Amitabha Triad, and Seven Buddhas. In the middle part, Buddhist monks perform a sacred ritual and people provide offerings to Buddha. In the bottom part, the painting depicts crises and perils that provides a visual code and reflects its social aspect at that time as well.

Various icons painted on the bottom of the Sweet Nectar Paintirg, points out that the 16th century are less complicated than those of in the late Choseon Period. On the contrary, an unnatural death scenes occurring among laypeople and scenes that ghosts taste Sweet Nectar describe by parallel way. For example, a natural disaster, a calamity, a suicide, a dal disabout corporal punishment, a balquet, a life, a soul scene, and so forth. The reason that the Sweet Nectar Painting has various backgle,nd scenes in the bottom is considered as reflecting the social ior exs of disasters. Especially, a flood daster or a life, a livestock, and a cereal damage from some tigers was the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to people, Studies show that having bad years of harvest, caused losing jobs and starving to death. Reports present that people starved to death in the rice field.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dc.subjectsweet nectar-
dc.subjectsweet nectar painting-
dc.subjectbuddhist painting-
dc.subjectwater and land assembly-
dc.title조선 16세기 감로도의 위난 이미지를 통해 본 사회상-
dc.title.alternativeThe social impact through the danger images of the sweet Nectar Paintings in the Joson period, the 16th century-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k, EunKyung-
dc.citation.journaltitle한국문화-
dc.citation.endpage49-
dc.citation.pages25-49-
dc.citation.startpage25-
dc.citation.volume4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