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V 드라마 메시지의 낙인 효과 - 극 중 만성질환 신체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유리-
dc.contributor.author나은영-
dc.date.accessioned2012-03-21T07:29:59Z-
dc.date.available2012-03-21T07:29:5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citation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49 No.1. pp. 178-219-
dc.identifier.issn1738-619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55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우선 TV 및 신문에서의 심혈관계 질환 관련 메시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예비연구로서 실시했다. 이어서, 만성적 심혈관계 질환의 신체 장애인에 대한 TV 드라마 메시지 유형들(낙인 단서, 악인 캐릭터 단서)이 극중 장애 인물에 대한 부정적 감정,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 연구로 파악하였다. 심혈관계 질환 비관련 집단의 일반 남녀 대학생 및 회사원들에게서 수집한 최종자료를 바탕으로(N=350), 부정적 고정관념을 공 변인으로한 2(낙인형-반낙인형)×2(악인 캐릭터 단서 없음-있음) 공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극중 장애 인물에 대한 부정적 감정,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에 미치는 낙인 단서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낙인 단서와 악인 캐릭터 단서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부정적 감정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낙인 단서와 사회적 친밀감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가 배런과 캐니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디어에서의 특정 메시지 유형이 일상 관련 집단에 대해 가지는 태도에 부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국내에서 간과되었던 만성질환 신체장애인, TV 드라마 연구와 관련하여 낙인 효과를 처음으로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의 후반부는 서강대학교 교내연구비(201110071.01)의 지원으로 완성되었습니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dc.subject낙인 효과-
dc.subjectTV 드라마-
dc.subject만성질환-
dc.subject부정적 고정관념-
dc.subject사회적 친밀감-
dc.titleTV 드라마 메시지의 낙인 효과 - 극 중 만성질환 신체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을 중심으로-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dc.citation.endpage219-
dc.citation.number1-
dc.citation.pages178-219-
dc.citation.startpage178-
dc.citation.volume4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