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충청도 平薪屯의 설치와 경영 :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hungcheong-do Pyeongsindun in the late Jose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태원-
dc.date.accessioned2012-03-26T05:28:42Z-
dc.date.available2012-03-26T05:28:42Z-
dc.date.issued2010-12-
dc.identifier.citation규장각, Vol.37, pp. 69-99-
dc.identifier.issn1975-628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5817-
dc.description.abstract평신둔은 조선후기 충청도 옛 서산군 대산목장ㆍ태안군 이원목장ㆍ면천군 창택목장에 위치한 군영둔토로써, 장용영 재정과 평신진 수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 등을 목표로 1794년(정조 24) 설치되었다. 먼저 평신둔의 세미와 둔아병의 신미가 장용영 재정으로 활용되었는데, 1796년의 경우 세미는 700여 석이고 신미는 140석이었다. 특히 둔아병 350명은 장용영외영에 소속되어 유사시 수원유수부의 방어에 참여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평신진이 관리하던 목장을 폐지하고 평신둔을 설치한 것은, 수군을 겸임한 평신진 목자의 어려움을 덜어주면서 수군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그러한 사실은 평신둔이 설치되기 직전 목장민의 호적을 해당 고을로부터 분리하여 평신진에 소속시킴으로써, 고을의 관리가 목장의 민을 침탈하는 것을 방지하려 한 데에서도 잘 나타난다.

평신둔의 구조는 1795년 평신진 수군첨절제사 김취명이 작성한 『충청도평신둔양안』에 잘 반영되어 있다. 평신둔이 설치된 3목장의 절모관둔사위진기전답의 합계는 754결 10부 7속으로, 기전답은 386결 53부 6속 그리고 진전답은 367결 57부 1속이었다. 전답 중에서 절은 절수를 그리고 모는 국가의 허락이 없이 몰래 진전ㆍ화전 등을 경작하다가 발각된 토지에게 붙여진 명칭으로 여겨진다. 때문에 절수답은 민결의 미 23두와 유사하게 미 22두를 징수하였고, 모경답은 미 66두를 징수하는 차등을 보였다.

평신둔 경영과 관련하여 도조ㆍ토지소유권 등을 둘러싸고 둔민과 정부의 갈등이 야기되었다. 먼저 평신둔이 장용영에 소속된 후 모경과 절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1결에 45두를 내도록 하자, 세금을 더 내야하는 절수답 경작자들의 불만이 제기되었다. 절수답을 경작하는 둔민은 절수답은 사전이라며 세금이 증액된 것에 불만을 표출한 반면, 정부는 평신둔은 목장둔이었을 때와 군영둔일 때를 막론하고 공전이므로 45두의 세는 목장 시절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다음으로 1900년(광무 4) 내장원이 평신둔은 공토이므로 탁지부에 결세를 그리고 내장원에 도조를 납부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도조를 징수하려 하자, 둔민은 평신둔은 사토이므로 일토양세는 잘못된 것이라며 결세만 납부하려 함으로써 내장원과 둔민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였다. 한편 수세권을 둘러싼 다툼이 1898년 선희궁과 지방대 및 탁지부 사이에 발생하였다.



Pyeongsindun (平薪屯) is Gunyoung-Dunto located in Daesan Stock Farm in the former Seosan-gun, Iwon Stock Farm in Taean-gun and Changtaek Stock Farm in Myeongcheon-gun, and was established in 1794 (the 2nd year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fter removing such stock farms aiming at steadily securing Jangyongyoung(壯勇營)s finance, the naval force of Pyeongsinjin (平薪鎭), etc. First of all, Semi(稅米) of Pyeongsindun and Sinmi (身米) of Dunabyeong (屯牙兵) were utilized as

Jangyongyoungs finance, and, in case of 1796, Semi was more than 700 seok (石) and Simmi was 140 seok. Especially, 350 soldiers of Dunabyeong, which belonged to Jangyongyoungs external barrack, was designed to participate in the defence of Suwon Yusubu. Next, the reason that the stock farm managed by Pyeongsinjin was abolished and Pyeongsindun was established was to effectively secure the naval force by

relieving difficulty of shepherds of Pyeongsinjin who also played a role as the naval force. Such a fact is also well revealed in the attempt to prevent officials of the village from disseising the people of the stock farm by separating the family register of the people, who lived in the stock farm before Pyeongsindun was established, from the relevant village and by having it belong to Pyeonsinjin.
-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07년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322-A00005).-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dc.subject평신둔-
dc.subject장용영-
dc.subject평신진-
dc.subject둔아병-
dc.subject충청도평신둔양안-
dc.subject세금-
dc.subjectPyeongsindun-
dc.subjectJangyongyoung-
dc.subjectPyeongsinjin-
dc.subjectDunabyeong-
dc.subjectChungcheongdo Pyeongsindun Yangan-
dc.subjectTax-
dc.title조선후기 충청도 平薪屯의 설치와 경영-
dc.title.alternative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hungcheong-do Pyeongsindun in the late Joseon-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 Tae-Won-
dc.citation.journaltitle규장각-
dc.citation.endpage99-
dc.citation.pages69-99-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volume3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