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논증과 논증행위 -비판적 사고 교육의 관점에서- : Argument and Argumentation: in the light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식한-
dc.date.accessioned2012-04-10T10:18:17Z-
dc.date.available2012-04-10T10:18:1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citation철학사상, Vol.42, pp. 151-183-
dc.identifier.issn1226-7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6014-
dc.description.abstract효과적인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해서는 논증에 대한 형식 논리학적 분석보다는 논증행위 자체에 대한 분석에 치중해야 한다는 견해가 커지고 있다. 필자는 논증(argument)에서 논증행위(argumentation)로의 이러한 중심 이동이 가져올 효과와 한계를 점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전략은 논증행위 이론들로부터 확보될 수 있는 논증 및 논증행위 평가의 규범들을 최대한 뽑아내서 그것들을 비판적 사고 교육 과정에 적용시킬 때 전개될 모습을 구체화해보는 것이다. 필자는 먼저 논증에서 논증행위로의 중심 이동의 동기들을 페렐만과 올브레히츠-티테카, 툴민, 비형식 논리학
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리하고(II), 이들의 이론들로부터 형식 논리학적 타당성 규범을 대신할 논증행위 평가의 규범과 절차들을 얼마나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III).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렇게 뽑아낸 여러 규범들을 종합하는 하나의 모델을 만들고, 이를 비판적 사고 교육에 적용했을 때 나타날 구체적 모습을 형식적 논리학적 접근 모델과의 대조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논증행위 이론들의 성과들이 비판적 사고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구체화시켜보겠다(IV).
The methods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ve made a considerable change from concentrating on formal, logical analyses of arguments to focusing on informal, dialectical interpretations of argumentation over the last 20 years. I attempt to examine and evaluate the effects and limits of this shift from argument to argumentation. My strategy is to extract the norms for evaluating arguments or argumentations from theories of argumentation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at first and then to apply those norms to educational processes for critical thinking. Finally I show the concrete roles they play as regards
imp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s paper begins with a survey of the early stages of the change by concentrating on three main streams: the work of C. Perelman and L. Olbrechts-Tyteca, the work of S. E.
Toulmin, and the informal logic movement (II). This paper then scrutinizes how many norms which can be substituted for formal logical validity we can extract from these streams (III). The paper ends by formulating a synthetic model which integrates the extracted norms, applying the model to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and illustrating the concrete roles it plays in creating imp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IV).
-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09년도 성신여자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dc.subject비판적 사고-
dc.subject논증-
dc.subject논증행위-
dc.subject비형식 논리-
dc.subject논리적 타당성-
dc.subject규범-
dc.subjectCritical Thinking-
dc.subjectArgument-
dc.subjectArgumentation-
dc.subjectInformal Logic-
dc.subjectLogical Validity-
dc.subjectNorm Logical Validity-
dc.subjectNorm-
dc.title논증과 논증행위 -비판적 사고 교육의 관점에서--
dc.title.alternativeArgument and Argumentation: in the light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 Sik-Han-
dc.citation.journaltitle철학사상-
dc.citation.endpage183-
dc.citation.pages151-183-
dc.citation.startpage151-
dc.citation.volume4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