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식의 통섭(通涉)과 인류학 : Consilience of Knowledge and Anthropolog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명석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ol.18 No.2, pp. 175-222
Keywords
통섭consilience생물학적 환원주의biological reductionism총체성holism사이버네틱 인식론cybernetic epistemology탈뉴턴적 자연과학Post-Newtonian natural scienceecological understanding생태적 이해anthrop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과학기술인류학cyborg사이보그
Abstract
이 글은 2000년대 들어 한국 학계에서 시대의 유행처럼, 아니 화두처럼 등장한 융복합적 연구, 학문의 통합, 지식의 통섭에 대한 논의 속에서 인류학이 어떻게 자리매김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필자의 짧은 소견을 인류학자를 염두에 두고 쓴 것이다. 이 글을 준비하면서 우선적으로 느낀 소감은 이러한 국내의 논의 속에서 인류학자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한국 인류학자들은 이 주제에 대해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또한 낯설게 느끼고 있는 것 같다. 이것은 좀 이상한 현상 아닌가? 이들 논의들이 지향하는 바가 결국 총체적 관점과 방법의 성취라고 한다면, 이는 인류학이 애당초부터 자신의 학문적 정체성의 핵심으로 간주하였던 바가 아닌가? 모든 인류학 개론서에 총체적 관점은 헌법처럼 기입되어 있지 않은가? 인류학자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어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일까? 사실 인류학자에게는 이러한 논의가 새삼스런 얘기는 아니다. 지식의 통섭은 이미 인류학 이란 학문 내부에 코드화 되어 있다. 그렇다면, 통섭의 시대에 인류학은 무슨 얘기를 할 수 있는 것일까? 우리의 오랜 경험을 풀어 놓으면 되지 않는가? 일리가 있는 얘기이다. 인류학은 그 어떤 분과학문보다도 이에 관한 많은 논의를 축적해 왔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황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은 것 같다.

융복합적 연구, 지식의 통섭이 우리에게 익숙한 것일 수 있으면서도,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관한 인류학 내부의 사정도 잘 정리되어 있지 못하고, 또한 현재의 시점에서 통섭이 논의되는 맥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으면 인류학자의 제안이 다른 분야의 학자들에게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기도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여, 우리 자신이 암묵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총체성의 관점에 대한 자기 성찰과 새로운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쓰여졌다.



This paper argues for the need to rethink the meaning of holism in anthropological tradition in the contemporary context in which unity of knowledge, or consilience of knowledge has been hotly debated in Korean academic world. Especially, the translation of Wilson's Consilience triggered various responses from Korean schola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his proposal of unif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paper, I focus on Korean cultural anthropologists' criticisms on Wilson's biological reductionism which they sensed in his sociobiological framework.

Though I agree, to some extent, with their criticisms, I rather try to re-criticize their arguments because it seems to me that their perspective maintains the western, modernist dualism which posit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mind and body, spiritual and material, human and nonhuman. This leads me to re-evaluate the anthropological notion of holism, which I find has become identified with cultural holism that excludes nature and body from its theoretical model.
ISSN
1226-056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96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