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계 없는 집: 브룩스 시에 나타난 여성적 사유의 가능성 : Home without Boundaries: The Feminine Poetics of Home in Gwendolyn Brookss Poet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서현

Issue Date
2013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Citation
영학논집, Vol.33, pp. 77-96
Keywords
Gwendolyn Brookshomecommunityboundariesrace and genderfeminine mourning
Abstract
브룩스(Gwendolyn Brooks)는 이중적 의무(dual commitment; Mootry 3) 혹은 하나의 검은 몸에 담긴 두 개의 양립하지 않는 이상(two warring ideals in one black body; Baker Jr. 21)이라 표현되는 것, 즉 흑인들의 시에서 비평적으로 자주 언
급되는 이중적 의식(double consciousness)을 예술적으로 훌륭하게 승화시킨 시인으로 평가되곤 한다. 평자들은 브룩스가 빈민층 흑인 여성으로서 가지고 있었던 조건적 제약에 주목하며 그녀가 혼란과 고난 속에서 일궈낸 성취를 높게 평가한다. 흑인 여성 작가인 브룩스에게는 인종적 자부심과 인종차별 폐지론의 기조(integrationist ethos)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기묘하게 모순되는 작업이 요구되었고, 비평은 그녀가 백인 시 전통의 형식들을 차용하고 변형하면서도 인종적 정체성이라는 주제를 꾸준히 탐구했음을 강조한다. 특히 흑인 공동체에 대한 브룩스의 적극적 옹호 선언 이후 평자들은 브룩스의 시를 196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하는 두 시기로 구분하고 그녀가 역설하
는 인종적 정체성의 문제에 주로 주목해 왔다. 그러나 자신의 인종에 관한 제유로 축소되는 것―혹은 부풀려지는 것인가―이 어떤 의미인가(what it means to be reduced ―or is it inflated?―to a synecdoche for ones race; Lindberg 287)를 묻는 린드버그의 질문은 브룩스 시의 비평사 뿐 아니라 흑인 문학 전체에 관해 문제를 제기한다. 그녀의 시 세계를 두 시기로 나누어 읽는 단절적 읽기는 그녀의 시가 1960년대 후반 이후 예술적 가치를 잃고 정치화되었다는 단순화된 주장에 쉽게 복무한다.
Reducing Gwendolyn Brookss poetry to a successful example of The Black Arts Movement of the late 1960s, as is done by many critics, may be too impoverishing. While acknowledging the political and personal significance of the black community, Brooks focuses on the lives of women by exploring different dimensions of home. Home as the traditional, domestic, patriarchal space functions as an obvious limitation for women and produces rebellious
characters, whether successful or not, in Brookss early poems. Notably, the black community which collectively rebels against the discriminating society is also referred to as a home; this home, celebrated and cherished on the one hand, is severely criticized on the other for it retains oppressive attitudes
toward women. Brookss sensitive handling of the dynamics between race and gender demonstrates her exceptional insight. Although she has explicitly claimed to be a representative black poet, Brooks is keen on underscoring the condition of women among the socially justified collectivism of we who
share a home, both in literal and symbolical sense of the word. As is shown in the poets ironical affection for unconstrained women who break away from home, she creates a complex and multifaceted concept of home. Taking a step further, Brooks suggests a whole new home via examples of feminine mourning
that extend beyond the boundaries of any kind. Violence that dominated in the name of safe and proper home is dissolved as home expands, imaginatively and liberally embracing the other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14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